KCI등재
서사민요 <진주낭군>의 형성과 전승의 맥락 = Context of Formation and Tradition of Narrative Song "Jinju Nanggun"
저자
서영숙 (한남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31-271(41쪽)
KCI 피인용횟수
3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amine the various contexts related to the formation and tradition of the narrative folk song "Jinju Nanggun". The song "Jinju Nanggun" has a narrative structure similar to the narrative context of the Goryeo folk song "Woljeonghwa", and is thought to be a song that was formed in the Goryeo period and handed down. It is believed that "Seodabnorae" is the oldest sound of the narrative song "Jinju Nanggun". Since the Wijeman incident happened in Jinju district, it may have been the motive for the formation of "Jinju Nanggun".
"Jinju Nanggun" became more well-known after it was compounded with "Sijibsalinorae", and after the modern era, it became popular and changed into typical tunes with middle-aged sounds called "Cheongchunga", "Noraegarak", and "Changbu Taryeong". In the 1980s, it was accepted as the folk song "Jinju Nanbongga". Through these various traditions over the years, "Jinju Nanggun" has become a popular song from the lower to the upper class, from the younger generation to the old, from the local to the central.
In addition, it was formed in the Jinju area, which is located in the corner of the country's southeast, and spread widely throughout the country. Hence it could change from the regional type to the widespread type. On the one hand, it has transformed not only into various middle-aged sounds, but on the other hand has preserved the old sounds. Indeed,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Jinju Nanggun", the song of Jinju district and of the whole country, need to be given their due attention.
이 글에서는 서사민요 <진주낭군>이 어떻게 형성, 전승되어 현재에 이르렀는지, 현전하는 <진주낭군>과 그 친족관계 노래들을 대상으로 형성과 전승에 관련된 다양한 맥락을 고찰하였다. <진주낭군>은 고려 속악가사 <월정화>의 서사 문맥과 유사한 서사구조를 지니고 있어 고려시대 이전부터 형성, 전승돼 온 노래로 짐작된다. 특히 현재 전승되고 있는 다양한 계열의 <서답(빨래)노래>를 바탕으로 추정해볼 때, 고려 시대에는 현전하는 중년소리 <진주낭군>보다 더 오랜 옛날소리인 <서답노래1(아내 모른체한 남편)>과 <서답노래2(상사병으로 죽은 총각)> 계열의 노래가 전승되다가 진주의 위제만 사건이 일어난 이후로, <서답노래1>에 ‘진주’, ‘진주남강’ 등의 고유명사가 붙으며 옛날소리 <진주낭군>이 형성된 것이 아닐까 한다. <진주낭군>은 이후 <시집살이노래>와 복합되면서 더욱 활발하게 확산되었고, 근대 이후에는 <청춘가>, <노랫가락> <창부타령> 등이 유행하면서 그 가락에 얹어 부르며 중년소리 <진주낭군>의 전형적 사설과 곡조로 변이되었다. 뿐만 아니라 1970-80년대에는 민중가요 <진주난봉가>로 수용되는 등 다양한 전승의 노정을 밟아왔다. <진주낭군>은 이렇게 오랜 세월에 걸친 다양한 전승 과정을 통해 기층에서부터 상층까지, 젊은 층에서부터 노년층에게까지, 지방에서부터 중앙까지 두루 사랑받는 노래가 될 수 있었다. 게다가 나라의 동남부 구석에 위치하고 있는 진주 지역에서 형성돼 전국으로 널리 퍼져나가 광포유형으로 불리며 ‘중년소리’로 변개되는 한편, 다른 한 편에서는 여전히 옛날소리의 모습을 지속적으로 보전하고 유지해 왔다는 점에서, <진주낭군>의 가치와 의의는 새롭게 주목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3 | 0.73 | 0.7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2 | 0.64 | 1.574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