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9세기 ‘중앙아시아철도’ 건설의 역사적 의미장: 러시아 제국의 형성과 실크로드의 상업로적 함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Historical Meaning of the Construction of ‘Central Asia Railway’ in the 19th Century: Focusing on the Formation of the Russian Empire and the Commercial Implications of the Silk Road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3-80(28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Central Asian railway was named “Trans-Caspian Railway” at the time of construction. The Trans-Caspian Railway was started construction in 1881. The railway was completed from Kracnovodck, Ashgabat, Merv and Charjou in the present-day Turkmenistan republic, in 1886 to Bukhara in Uzbekistan. The railway then went on to Samarkand and Tashkent. The Central Asian Railroad is a section from Krasnodówsk to Tashkent. This railway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Asian colonial rule of the Russian Empire. The railway line was finally completed in 1894, with a total extension of 2,000 km.
The 19th century Central Asian Railroad has various paradigms in which the history, civilization, society, and economic discourse of the dominated colonial space through Russian conquest of Asia has existed mutually overlapping. The trade routes were liberalized by the Russian conquest of Turkestan, and the new bass was established near the Indian border. Russia was able to establish national prestige as an empire. Railways played a big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empire. The railway was able to connect Central Asia, previously divided into desert. This paper focuses on what kind of historical discourse the Central Asian railway provided to the commercialization of Silk Road and what implications for Russian imperialism. It will be an attempt to ascertain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Central Asian Railroad.
중앙아시아 철도는 착공당시에는 ‘카스피해 횡단철도’(Trans-Caspian Railway, Закаспийская железная дорога)로 명명되었다. 카스피해 횡단철도는 1881년에 착공되었다. 지금의 투르크메니스탄 공화국 지역인 ‘크라스노보드스크’ (Kracnovodck ; 현재 아바자), ‘아쉬하바드’(Ashgabat), ‘메르브’(Merv; 현재 마리), ‘차르조’(Charjou)를 거쳐 1886년에 우즈베키스탄의 부하라 역까지 1차적으로 완성되었다. 이 철도는 이후 사마르칸트(Samarkand)와 타시켄트(Tashkent)까지 이어졌다. 중앙아시아 철도는 크라스노보드스크에서 타시켄트까지의 구간이다. 이 철도는 러시아제국의 아시아 식민 통치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철도선이 최종 완공된 시기는 1894년이었으며, 연장선은 총 2,000 km에 달했다.
19세기 중앙아시아 철도사는 러시아의 아시아 정복으로 말미암은 피지배 식민지 공간의 역사, 문명, 사회, 경제적 담론이 상호 중첩적으로 존재한 패러다임을 보였다. 러시아의 투르키스탄 정복으로 무역 경로가 자유스럽게 된 측면이 있으며, 무엇보다 견고한 변방지대를 창출하고 인도 인근에 새로운 베이스가 구축되었다. 러시아는 비로소 유럽제국과 함께 제국으로서 국가적 위신을 세울 수 있었고 제국형성에 철도는 큰 역할을 하였다.
본 논고는 중앙아시아 철도가 실크로드의 상업로에 어떠한 역사적 담론을 제공했으며, 러시아 제국주의에 어떠한 함의가 되는지를 중심적 논의로 하였다. 중앙아시아 철도의 역사적인 의미장을 고증하는 시도가 되겠다. 본 연구는 올해 한국과 수교 27주년을 맞이하는 중앙아시아에 대한 인문학적, 지역학적 담론을 고찰하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9-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 KCI등재 |
2009-09-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1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슬라브연구 -> 슬라브硏究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8 | 0.58 | 0.5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1 | 0.844 | 0.3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