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Прагмастилистический анализ разновременных переводов романа Дж. Д. Сэлинджера «The Catcher in the Rye»: «советская школа» и современный перевод «бе = Pragmastilistic Analysis of the Russian Translations of J. D. Salinger's The Catcher in the Rye: “Soviet School” and Modern Interpret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Russi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9-209(41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case of the of J. D. Salinger's The Catcher in the Rye in Russian is in many respects a peculiar example of diachronic retranslation, when a new translation designed to eliminate the shortcomings of the first translation and free the text from the seal of Soviet censorship faced rejection with a great part of its readership. As a result, not only did it fail to replace the previous “ideologised” translation, but in fact entered into active competition with it, and now the two translations, one by the renowned Soviet translator Rita Rait-Kovaleva and one by the contemporary translator Max Nemtsov, co-exist in one publishing house for the readers to compare and choose.
This paper focuses on the pragmastylistic aspect of literary translation and present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ranslation strategies of Reith-Kovaleva and Nemtsov in terms of how stylistic choices of the translators influenced the pragmatic effect of the target text. As the base of our comparison we adopt the concept of style as audience design at two narrative levels, the primary level of interaction between the text/narrator and the reader, and the secondary level of interaction between the characters.
The analysis showed how different approaches to the selection of stylistic techniques influenced the rendition of the communicative goals and orientations of the novel, and revealed why the first translation, despite its significant deviation from the source text, was perceived by a great number of readers as a better representation of the novel, whereas in the contemporary translation the excessive adherence to form led to a distortion of the content, as well as highlighte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of the two translations.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에 대한 러시아어 번역은 통시적 재번역의 독특한 예이다. 1960년 Р. Я. Райт-Ковалёва에 의해서 옮겨진 기존 번역의 단점을 보완하고 소비에트시대 검열의 흔적을 지우면서 동시에 현대 러시아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겠다는 목적으로 2008년 М. В. Немцов가 새로 번역한 2차 번역본이 비평계와 독자들의 거센 비판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이데올로기적인 이유로 변형된 1차 번역본을 대체하겠다는 2차 번역본의 목표는 실현되지 못했고, 하나의 출판사에서 두 번역본을 나란히 재출간해서 시장에서 경쟁하게 만드는 상황이 빚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번역가의 문체적 선택이 작품을 읽는 독자들에게 어떤 화용적 효과를 불러일으켰는지를 중심으로 화용 문체론적 관점에서 두 번역본을 비교, 분석하고, 통시적으로 50년이라는 차이를 두고 생산된 두 번역이 재출간을 통해 공존하는 상황이 야기된 원인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작품 속 등장인물들 사이의 관계, 그리고 서술자인 주인공과 그것을 읽는 독자 사이의 관계라는 두 가지 층위에서 독자설계(audience design)가 두 번역에서 어떻게 상이하게 나타났는지를 중심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1차 번역본은 원문에 대한 형식적 충실성은 떨어진다 하더라도 대화 참여자가 누구인지 혹은 처한 상황이 어떠한지에 따라 달라지는 주인공의 섬세한 어조 변화를 문체에 적절하게 반영한 반면, 2차 번역본에서는 비속적 표현이 유지 혹은 원문보다 오히려 더 강화되면서 대화와 독백을 통해 드러나는 주인공의 성격이 왜곡되거나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결과를 낳았다. 1차 번역본은 소비에트 시대 검열로 인해 형식적 측면에서 원문의 많은 부분을 전달하지 못했지만 등장인물들 사이의 관계, 서술의 주체인 주인공과 독자 사이의 관계라는 측면에서는 2차 번역본에 비해 더 충실했다. 1차 번역본이 50년이라는 시간적 한계, 소비에트라는 시대적 한계를 극복하고 아직까지도 러시아 독자들에 의해 선호되는 이유도 바로 이러한 화용 문체론적 충실성과 연관이 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9-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 KCI등재 |
2009-09-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1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슬라브연구 -> 슬라브硏究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8 | 0.58 | 0.5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1 | 0.844 | 0.3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