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중앙아시아와 일대일로: 중국식 개발모델의 한계 = Central Asia and BRI: Limitations of the Chinese Development Model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7-52(26쪽)
KCI 피인용횟수
4
DOI식별코드
제공처
We will examine the responses and policies of Central Asian countries against China's BRI. Central Asian countries are responding differently depending on their own resources and finances, but they think BRI as an opportunity and a threat at the same time. China has become the largest trading partner of Central Asiann countries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China mainly exports its manufacturing products and Central Asian countries mainly export their energy resources. An important reason why China is interested in Central Asia is due to its enormous reserves of energy resources. China imports energy resources in Central Asia, and on the other hand, Central Asia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market.
China has established the ‘Silkroad Fund’ in 2014 with a capital of 61.525 billion Yuan to promote BRI routes to Central Asia and constructed the ‘New Eurasian Land Bridge’(International Railway), ‘Asia-West Asia’(oil and gas pipeline) energy corridor is under construction. However, Kazakhstani people rallied against China, the largest investor to the country, for anti-Chinese protests in 2016. Financially rich Turkmenistan is almost indifferent about BRI, while poor Kyrgyzstan and Tajikistan are actively welcoming the initiative. Uzbekistan, which is not bordering with China, does not reject BRI as long as it is helpful to the Uzbekistan’s economy.
However, Central Asian countries are becoming more and more negative on BRI. In particular, the Chinese development model eventually benefits only for Chinese companies, the local residents are still unemployed, the main resources are plundered, and the national debt is getting bigger and bigger. Historically, Central Asian countries viewed China as a factor of external insecurity not less than Russia.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Chinese empire and the nomadic tribes in Central Asia has been disappeared a long time ago, but on the other hand, China is appearing both as an opportunities and a threats.
이 논문은 중국의 일대일로에 대응하는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반응과 정책을 고찰하고 중국식 해외 인프라 투자모델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일대일로를 기회이자 또 다른 위기로 생각한다. 중국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최대 교역대상국이 되었다. 중국은 주로 제조품을 수출하고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주로 자원을 수출한다. 중국이 중앙아시아에 관심을 가지는 중요한 이유는 막대한 에너지 자원 매장량 때문이다. 중국은 중앙아시아의 에너지 자원을 수입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중앙아시아를 중요한 시장으로 생각한다.
중국은 중앙아시아에다 일대일로를 추진하기 위해 자본금 615억 2,500만 위안 규모의 ‘실크로드기금(Silkroad Fund)’를 2014년 설립하고 ‘신유라시아 대륙교량(국제철도)’과 ‘중국-중앙아시아-서아시아(석유·가스 수송관)’ 에너지 회랑을 건설 중이다. 그러나 카자흐스탄 국민은 최대 투자 국가인 중국을 경계하여 2016년 반중국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풍부한 재정을 가진 투르크메니스탄은 일대일로에 대해 거의 무관심한 반면, 빈국인 키르기스스탄과 타지키스탄은 적극적으로 환영하고 있다. 중국과 국경을 접하지 않은 우즈베키스탄은 일대일로 정책이 우즈베키스탄 경제에 도움을 되는 한 거부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갈수록 일대일로에 부정적이다. 특히 중국식 인프라 투자모델로 인해 결국 중국 기업만 혜택을 받게 되고 주요 자원을 약탈당한 지역 주민은 여전히 실업에 시달리는 한편, 중국발 부채규모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중국을 러시아 못지않은 대외불안요인으로 간주하였다. 중화 제국과 중앙아시아의 유목민 간의 종족 대결은 오래 전에 사라졌지만 일대일로는 또 다시 중국의 영향력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9-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 KCI등재 |
2009-09-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1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슬라브연구 -> 슬라브硏究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8 | 0.58 | 0.5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1 | 0.844 | 0.3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