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오류에서 진실로, 죽음에서 삶으로 -《오이디푸스 왕》에 나타난 눈의 이미지 연구- = De l`erreur a la verite, de la mort a la vie Recherche sur l`image de l`œil de Œdipe-Roi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3
작성언어
-주제어
KDC
6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25-157(33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소장기관
La trage´die de Sophocle, <(Edipe-Roi> est une pie`ce essentielle dans la culture occlture occidentale et nulle pie`ce grecque antique plus qu`(Edipe-Roi n`a e´te´ traduite, adapte´e et repre´sente´es en Core´e. La fable oedipienne pose la question essentielle. L`histoire d`(Edipe permet d`inte´grer les diffe´grer les proble`mes ge´ne´alogiques en re´flechissant sur la question centrale de l`inceste et en inte´grant les cas de figure le´gaux et structurels de la famille-cite´. C`est aussi une pie`ce d`un re^ve terrible, avec lequel (Edipe Roi est urgent de vivre et de savoir la ve´rite´ malgre´ tout ce qu`il de´voile. Mais nous avons parfois oublie´ les e´le´ments fondamentals de cette pie`ce et les aspects esthe´tiques. Si l`espace antique permet une distance ou un rejet, il est ne´cessaire de relire cette pie`ce avec une autre proble´matique qui autorise I`interpre´tation de prises de position the´orique. L`inceste, le parricide, l`adoption, la de´construction et la reconstruction du principe Pe`re dans des poe´tiques particulie`re, date´es par le the´a^tre tragique sont des notions qui ont a`la fois une pe´renite´ et une histoire. En fait, les re^ves de cette pie`ce sont d`une tragique re´alite´. C`est pourquoi il est imposible de re´duire cette pie`ce a`une simple de´monstration de la mise`re de l`homme. Cette de´marche m`a donc conduit a´ mettre au primier plan de cette lecture l`image du l`oeil. Dans cette e´tude, j`al voulu relire cette pie`ce avec l`image de l`oeil et distinguer entre l`erreur et la ve´rite, entre la mort et la vie, entre le passe´ et le pre´sent de la trage´die, entre les intenitions et les actes. Pour cela, j`ai reconstitue´ dans cette e´tude la signification de cette pie`ce a`travers les notions langusitiques de l`oeil et de la relation entre la pie`ce dramatique et l`oeil. et puis j`ai de´montre´ de toute e´vidence que les efforts de l`homme pour e´chapper au destin voulu par les dieux n`aboutissent a`rien. Mais pour (Edipe qui est le roi malheureux passant de l`inconnu proble´matique au terrible connu, la solution finale est de perdre une partie de son corps pour atteindre la ve´rite´. C`est justment la perte de l`oeil pour enque^ter sur sa vraie nature. En fait il est devenu un aveugle. Le seul reme`de a`la ve´rite´ qu`(Edipe a fait, apre`s bien des re´flexions, c`est de ne pas voir le monde visible. L`image de l`oeil est d`un vrai de´bat sur les fondements de tout le´gitimite´ qu`il est ici question, celle de la me`re, celle du fils, celle de pe`re, celle du roi et celle cle Dieu. Certes, les hommes ne peuvent pas saisir la ve´rite´ du monde avec l`oeil. Sans l`oeil, (Edipe est donc a`la fois la nature du gouvernement et le renversement de la nature humaine. Et II est devenu un homme qui n`est plus que l`ombre de lui-me^me, une victime passive d`une force surnaturelle. Et il voit l`essence de la vie et le malheur qu`il a commis des cimes horrible. II est l`aveugle-clairvoyant. Dans cette pie`ce, l`aveuglement, figure majeure de la fable, est l`image vers laquelle tout converge. (Edipe a du^ savoir et s`aveugler. Comme Ho¨lderlin a dit, L`image de l`homme a des yeux. Le roi (Edipe a un oeil en trop, peut-e^tre. Vivre est mort et la mort elle aussi est une vie.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7-05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연극학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4 | 0.34 | 0.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6 | 0.34 | 0.825 | 0.0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