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인방송 공익광고 효과에 대한 연구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본 연구는 장애인방송 공익광고의 광고태도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봄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장애인방송 홍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방송 인지도, 관여도, 공익광고 노출빈도는 광고태도와 행동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인방송에 대한 관여도가 인지도나 공익광고 노출빈도에 비해, 광고태도와 행동의도에 큰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관여도와 인지도, 노출빈도 모두 그 평균 수치가 높지 않아, 광고태도와 행동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검증되었으나, 그 효과가 매우 크다고 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실질적으로 대다수 비장애인 시청자에게 장애인방송에 대한 관여도를 높이는 것이 수월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차선책으로 장애인방송 공익광고를 다양한 채널과 플랫폼을 통해 자주 노출하고, 그 과정에서 인지도를 높이는 방법을 강구해보는 것은 어떨지 제안해본다. 이와 함께 폐쇄자막방송과 화면해설방송이 비장애인에게도 때때로 유용하고 필요한 미디어접근서비스라는 것을 홍보하고 알려주는 방안을 고려하는 것도 필요하다. 30초의 짧은 공익광고로 장애인방송의 존재와 의미, 가치를 전부 보여주기는 역부족일 수 있다. 따라서 그 대안으로 유튜브나 SNS 등 새로운 플랫폼을 통해 시청자들이 함께 체험하는 방식으로 홍보 방안을 구상해볼 것을 제안한다. 유명 인플루언서들과의 협력을 통해 각 채널과 콘텐츠 성격에 맞는 홍보 방식을 적용한다면 장애인방송에 대한 정보와 시·청각장애인에 대한 이해, 그리고 모두가 동등하게 함께 보고 듣고 즐기기 위해 제공되는 폐쇄자막방송, 화면해설방송, 한국수어방송의 목적과 가치가 충분히 전달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더보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the advertising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of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for the disabled. It was intended to propose an effective way to promote broadcasting for the disabl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wareness, involvement, and frequency of exposure to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in broadcasting for the disabled have a positive effect on advertisement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In addition, the degree of involvement has a greater influence on the advertisement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than the awareness or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exposure frequency. However, since the average level of involvement, awareness, and exposure frequency is low, the effect on advertisement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will not be large.
    In fact, it is not easy to increase engagement with non-disabled viewers. Therefore, as the next best solution,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for the disabled broadcasting should be frequently exposed on various channels and platforms, and methods should be devised to raise awarenes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ublicize that broadcasting for the disabled is a useful and necessary media access service even for non-disabled people. It is difficult to include the existence, meaning, and value of broadcasting for the disabled in a short 30-second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As a solution, we should devise a promotional plan in a way that viewers experience through new platforms such as YouTube and SNS. If a public relations method suitable for the nature of the content is applied with famous influencers, the understanding of broadcasting for the disabled, the visually and hearing impaired, and the purpose and value of broadcasting for the disabled can be fully conveyed.

    더보기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논의
    • 3. 연구문제 및 분석방법
    • 4. 연구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 1 한현숙, "환대공익광고 수용자의 감정과 감정반응이 광고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관광경영학회 18 (18): 559-579, 2014
    • 2 이두희, "환경보전 캠페인의 공포소구 효과에 관한 연구 - 효익 비용 모형 접근" 한국소비자학회 12 (12): 23-36, 2001
    • 3 박유식, "환경보전 공익광고에서 소구방향, 관여도, 자기검색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16 (16): 105-123, 2003
    • 4 방송통신위원회, "해외 선진국과 국내의 장애인방송 운영제도 비교 연구" 2014
    • 5 홍종배, "한국 장애인방송 편성실태 및 내용분석 연구: 자막, 수화, 화면해설방송을 중심으로" 2011
    • 6 이승미, "포용적 캠페인에 관한 질적 탐색: 장애인이 등장하는 광고사례를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0
    • 7 박현수, "지상파 TV 광고 노출 빈도분포 예측과 검증을 위한 사례 연구: BBD 응용 모델과 지상파 TV 광고의 중복 노출 규명을 중심으로 " 한국광고홍보학회 10 (10): 218-244, 2008
    • 8 김화진, "저가항공사의 혼잡성이 고객의 감정반응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26 (26): 185-199, 2011
    • 9 전영, "장애인의 방송접근권에 관한 연구 - 프랑스 사례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39) : 397-420, 2012
    • 10 송종길, "장애인의 방송접근권 확대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한국방송학회 2003 (2003): 147-178, 2003
    • 11 이준호, "장애인방송 접근권 향상을 위한 개선 방안 연구-수신환경 실태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3) : 263-298, 2011
    • 12 송종길, "장애인방송 접근권 보장연구" 웹 접근성 연구소 2003
    • 13 오경수, "장애인방송 수신기 보급사업에 대한 시청각 장애인의 인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6 (16): 221-244, 2012
    • 14 이영희, "장애인 방송접근권 확대를 위한 화면해설방송 편성의 개선방안 연구: 지상파 3사의 편성 현황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16 (16): 37-83, 2015
    • 15 김호연, "장애인 방송 접근권 연구 : 시각장애인의 화면해설방송을 중심으로"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5 (25): 85-105, 2009
    • 16 문성철, "자막·수화 방송 이용자들의 이용 행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77) : 134-161, 2012
    • 17 조형오, "자궁암 검진광고의 메시지프레이밍 효과분석: 사전 건강신념과 메시지 프레이밍 기대수준의 매개역할" 10 (10): 123-148, 1999
    • 18 이희욱, "음주운전예방을 위한 공익광고의 메시지프레이밍 효과: 관여도의 조절효과" 한국전략마케팅학회 14 (14): 123-141, 2006
    • 19 홍영일, "유머광고의 표현유형과 관여도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07
    • 20 이진희, "위협소구 강도에 따른 공익광고의 효과: 낙관적 편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0 (20): 231-257, 2009
    • 21 김현주, "우리나라 다문화 사회의식의 현황과 문제점 - 다문화 공익광고를 중심으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1 (21): 93-109, 2015
    • 22 김민기, "우리나라 공익광고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14) : 5-49, 2009
    • 23 김혜영, "온라인 1인 미디어 개인방송 BJ에 대한 매력도와 신뢰성이 미디어 채널에 대한시청 몰입, 상호 작용성, 인지된 즐거움과 이용자의 반응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118) : 78-126, 2018
    • 24 곽지연, "여행사 브랜드이미지가 브랜드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여행리얼리티 프로그램 속 PPL 광고 시청자를 대상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7 (27): 39-53, 2018
    • 25 김호연, "시각장애인의 방송접근을 위한 화면해설방송 연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6 (26): 1-25, 2010
    • 26 임상철, "시각장애인의 방송접근권 확대를 위한 화면해설 서비스 실시 방안 연구" 2 : 1-6, 2000
    • 27 이영희,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면해설서비스 연구 - 관련 법령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중심으로 -" 한국소통학회 18 (18): 7-46, 2019
    • 28 김수기, "시·청각 장애인의 방송 불만족 원인 규명을 위한 탐색적 연구:디지털 디바이드 관점에서" 11 (11): 275-325, 2010
    • 29 박상현, "스포츠이벤트와 기업의 유사성 유형과 광고노출빈도에 따른 광고태도 및 광고효과 분석"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6 (26): 85-103, 2015
    • 30 이정실, "서비스접점에서 고객 평가요인이 감정적 반응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22 (22): 17-36, 2007
    • 31 정만수, "사물인터넷 기반의 디스플레이 광고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인지도, 감각추구성향, 혁신성향, 사생활침해우려를 중심으로" 한국OOH광고학회 14 (14): 50-74, 2017
    • 32 조형오, "비만예방광고의 메시지 유형별 설득효과 차이분석" 11 (11): 165-185, 2000
    • 33 최은경, "방송접근권 보장을 위한 장애인방송 서비스 정책 현황분석: 한국과 영국의 장애인방송 서비스 정책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45) : 22-39, 2012
    • 34 최현석, "방송사 공익광고, 황금시간대 편성 10건 중 1건 불과"
    • 35 안정임, "방송 소외계층과 수용자 복지 : 다양성 개념으로 살펴본 정책 현황과 방향" 한국방송공사 16 (16): 8-8, 2004
    • 36 최명일, "메시지 유형에 따른 에이즈 예방 캠페인 효과:공포소구와 메시지 측면성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8 (18): 185-206, 2007
    • 37 이재진, "매체이용자로서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면해설서비스의 법제도적 현실과 개선점" (주)에스비에스 13 (13): 54-100, 2015
    • 38 김옥현, "드러난 메시지, 숨겨진 메시지 - 다문화 관련 공익 광고에서 보여지는 카메라와 조명, 사운드 기법" 한국광고홍보학회 18 (18): 354-383, 2016
    • 39 나장함, "다문화 관련 TV 공익 광고물에 대한 질적 텍스트 분석 -기업 광고물 2편과 정부기관 광고물 2편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45) : 221-261, 2013
    • 40 황경아, "다문화 공익광고의 메시지 유형이 수용자의 신념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실험을 통한 양적 분석과 발성사고법(Think Aloud)을 통한 질적 분석"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2) : 257-293, 2012
    • 41 양정혜, "다문화 가족의 TV 재현: 공익 광고를 중심으로" 98-103, 2014
    • 42 김흥규, "다문화 가정을 위한 공익광고의 수용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85) : 44-77, 2010
    • 43 김완석, "노출빈도와 광고유형에 따른 광고태도와 상표태도의관계- 감정전이가설과 현출속성가설" 11 (11): 21-38, 1998
    • 44 남인용, "광고주 유형, 메시지 유형, 자기 검색도, 관여도가 공익광고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46 (46): 116-146, 2002
    • 45 김효규, "광고의 반복 노출과 광고 효과에 관한연구 - 노출 기회 및 노출 인지의 반복 횟수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4 (14): 244-268, 2012
    • 46 김완석, "광고심리학" 학지사 2006
    • 47 김나미, "광고 주제와 소구 유형 및 모델이미지에 따른 공익광고 효과" 한국광고학회 26 (26): 317-341, 2015
    • 48 안병선, "광고 모델의 속성이 광고 이미지와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아파트 광고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 49 장승현, "관여도에 따른 호기심 유발 라디오 커머셜의 광고효과"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01
    • 50 김재휘, "공해방지광고의 프레이밍 효과" (49) : 55-75, 2002
    • 51 이민진, "공포수준, 공포유형 및 자기감시가 공익광고의 설득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광고공사 (75) : 187-212, 2007
    • 52 양병화, "공익광고캠페인의 호감도와 몰입의 관계에서 자기조절체계의 매개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199-206, 2018
    • 53 이수현, "공익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 : 금연에 대한 관여도와 지식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7
    • 54 문주원, "공익광고의 수용자 실태조사" (2) : 155-188, 1989
    • 55 박재진, "공익광고의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 -해석수준이론을 중심으로-"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7 (17): 63-87, 2013
    • 56 권중록, "공익광고의 메시지 전달유형에 따른 의제설정 효과: 실험실적접근" 8 (8): 67-86, 1997
    • 57 권중록, "공익광고에 나타난 문화적 가치와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56 : 127-159, 2002
    • 58 이미선, "공익광고를 활용한 다문화 인권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효과"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53 : 133-146, 2015
    • 59 한선, "공익광고가 재현하는 한국식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적 독해"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9 (9): 173-195, 2015
    • 60 김정숙, "공익광고 캠페인에 대한 수용자의 잠재효과 측정 연구: 2006년과 2008년의 WTP(willingness to pay) Methodology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12) : 79-127, 2009
    • 61 방송통신위원회, "공익광고 제도개선을 위한 편성고시 개정안의결"
    • 62 부경희, "공익광고 메시지의 귀인효과에 관한 실증 연구: 메시지 프레이밍 중개요인들을 중심으로" 12 (12): 7-35, 2001
    • 63 김승필, "공익광고 메시지 프레이밍과 주제유형이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광고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PR학회 17 (17): 5-39, 2013
    • 64 조용석, "공익 광고의 주제 유형별 효과: 이슈 유형(사회적-개인적)에 따른 메시지 및 수용자 변인의 영향" 한국광고홍보학회 9 (9): 71-104, 2007
    • 65 박정환, "공식스폰서와 앰부시 마케팅 집행사의 인지여부에 따른 광도태도, 브랜드태도, 기업이미지, 그리고 구매의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2 (12): 17-29, 2007
    • 66 손애리, "고등학생의 에이즈 지식, 낙인 및 감염인 차별: 에이즈 공익광고 노출여부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학회 (34) : 211-235, 2013
    • 67 이제영, "건강 공익광고의 수용효과에 관한 연구 -광고홍보학과 전공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6 (16): 85-93, 2016
    • 68 김성훈, "감정적 반응이 공익광고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16 (16): 163-181, 2005
    • 69 김재휘, "가치지향에 따른 환경광고 메시지의 설득효과" 한국방송광고공사 56 : 81-99, 2002
    • 70 이수범, "가상광고의 노출횟수 및 수용자 속성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 한국방송학회 14 (14): 77-107, 2013
    • 71 구채은, "[2019 국감] 지상파·종편, 공익광고 황금시간대 편성10%"
    • 72 Block, L. G., "When to accentuate the negative: The effects of perceived efficacy and message framing on intentions to perform a health-related behavior" 32 : 192-203, 1995
    • 73 Baker, W. E., "When can affective conditioning and mere exposure directly influence brand choice?" 28 (28): 31-46, 1999
    • 74 Aaker, D. A., "Warmth in advertising : Measurement, impact, and sequence effects" 12 (12): 365-381, 1986
    • 75 Zajonc, R. B., "U Michigan Research Ctr for Group Dynamics, Ann Arbor . Source" 35 (35): 151-175, 1980
    • 76 MacKenzie, S. B., "The role of attitude toward the ad as a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 A test of competing explanations" 23 : 130-143, 1986
    • 77 Appel, V., "The reliability and decay of advertising measurements" 1966
    • 78 Rothman, A. J., "The influence of message framing on intentions to perform health behaviors" 29 (29): 408-433, 1993
    • 79 Naples, M. J., "The importance of effective frequency, Effective frequency: The relationship between frequency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the Association of National Advertisers 1-15, 1979
    • 80 Krugman, H. E., "The impact of television advertising:Learning without involvement" 29 (29): 349-356, 1965
    • 81 Burke, M. C., "The impact of feelings on ad-based affect and cognition" 26 : 69-83, 1989
    • 82 Goldsmith, R. E., "The impact of corporate credibility and celebrity credibility on consumer reaction to advertisements and brands" 3 : 43-54, 2000
    • 83 Petty, R. E.,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of persuasion" Springer Verlag 1986
    • 84 Davis, J. J., "The effects of message framing on response to environmental communications" 72 (72): 285-299, 1995
    • 85 Leckenby, J. D., "The declining reach phenomenon in exposure distribution models" 15 (15): 13-20, 1986
    • 86 Zeithaml, V. A., "The behavioral consequences of service quality" 60 (60): 31-46, 1996
    • 87 Obermiller, C., "The baby is sick/the baby is well : A test of environmental communication appeals" 24 (24): 55-70, 1995
    • 88 박현수, "TV광고 노출량과 빈도분포를 활용한 광고 커뮤니케이션 효과의 예측" 한국방송학회 19 (19): 165-197, 2018
    • 89 안정선, "TV 프로그램으로 유도된 시청자의 기분과 메시지 조절초점이 공익광고의 설득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PR실학회 11 (11): 57-76, 2018
    • 90 김하나, "TV 정치광고의 반복노출효과 : 미국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0 (10): 260-300, 2010
    • 91 마정미, "TV 광고 텍스트에 나타난 다문화 사회에 대한 고찰 - 공익광고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2 (12): 223-258, 2010
    • 92 Bornstein, R. F., "Stimulus recognition and the mere exposure effect" 63 : 545-552, 1992
    • 93 Wilson, E. J., "Source effects in communication persuasion research : A meta analysis in effect Size" 21 (21): 101-112, 1993
    • 94 Rothman, A. J., "Shaping perceptions to motivate healthy behavior : The role of message framing" 121 (121): 3-19, 1997
    • 95 Jakobovits, L., "Semantic Satiation and Cognitive Dynamics" 1966
    • 96 Dhanesh, G. S., "Relationship management through social media influencers : Effects of followers’awareness of paid endorsement" 45 (45): 1-13, 2019
    • 97 Cox, D. S., "Product novelty : Does i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 attitudes and brand attitudes?" 16 (16): 39-44, 1987
    • 98 Janiszewski, C., "Preattentive mere exposure effects" 20 (20): 376-392, 1993
    • 99 Donovan, R. J., "Positive versus negative framing of hypothetical infant immunization : The influence of involvement" 27 (27): 82-95, 2000
    • 100 Lynn, J., "Perception of public service advertising : Source message and receiver effects" 50 : 673-679, 1973
    • 101 이영희, "OTT시대, 장애인의 방송접근권에 관한 연구 시·청각장애인의 비실시간 방송서비스 이용 행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114) : 38-83, 2021
    • 102 Tom, G., "Mere exposure and the endowment effect on consumer decision making" 141 (141): 117-125, 2007
    • 103 Metheringham, R. A., "Measuring the net cumulative coverage of a print campaign" 4 (4): 23-28, 1964
    • 104 Zaichkowsky, J. L., "Measuring the involvement construct" 12 : 341-352, 1985
    • 105 Hofmans, P., "Measuring the cumulative net coverage of any combination of media" 3 (3): 269-278, 1966
    • 106 Petty, R. E., "Issue involvement as a moderator of the effects on attitude of advertising content and context" 8 (8): 20-24, 1981
    • 107 Agostini, J. M., "How to estimate unduplicated audiences" 1 (1): 11-14, 1961
    • 108 Bornstein, R. F., "Exposure and affect : Overview and meta-analysis of research 1968-1987" 106 : 265-288, 1989
    • 109 Lynn, J., "Effects of persuasive appeals in public service advertising" 51 : 622-630, 1974
    • 110 Wilson, D. K., "Effects of contract framing, motivation to quit, and self-efficacy on smoking reduction" 20 (20): 531-547, 1990
    • 111 Goodhardt, G. J., "Duplication of television viewing between and within channels" 6 (6): 169-178, 1969
    • 112 Engel, J. F., "Consumer behavior" The Dryden Press 1990
    • 113 Engel, J. F., "Consumer behavior" Dryden Press 1982
    • 114 Antil, J. H., "Conceptualization and operation of involvement" 11 : 1984
    • 115 Hovland, C. I., "Communication and persuasion" Yale University Press 1953
    • 116 Petty, R. E., "Cognitive responses in persuas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1
    • 117 Bierley, C., "Classical conditioning of preferences for stimuli" 12 (12): 316-323, 1985
    • 118 Bagozzi, R. P., "Attribute, intention and behavior : A test of some key hypotheses" 41 (41): 607-627, 1981
    • 119 Lutz, R. J., "Attitude toward the ad as a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10 : 532-539, 1983
    • 120 Mitchell, A. A., "Are product attribute beliefs the only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s on brand attitude" 18 (18): 318-332, 1981
    • 121 Stayman, D. M., "Are all the effect of ad-induced feelings mediated by ad?" 15 (15): 368-373, 1988
    • 122 Lutz, R. J., "Affective and cognitive antecedent of attitude toward the ad, information processing research in ad" Lawrence Erlbaum 1983
    • 123 Wells W. D., "Advertising:Principles and practice" Prentice-Hall Int. Inc 1989
    • 124 Rossiter, J. R., "Advertising & promotion management" McGraw-Hill, Inc 1987
    • 125 박희원, "AIDS 예방 공익광고에서 메시지프레이밍, 조절초점과 관여도가 광고태도와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 126 Bloch, P. H., "A theoretical model for the study of product importance perceptions" 47 : 69-81, 1983
    • 127 Zinkhan, G. M., "A test of two consumer response scale in advertising" 22 (22): 447-452, 1985
    • 128 Petty, R. E., "A social judgment and intergroup relations: Essays in honor of Muzifer Sherif" Springer Verlag 147-174, 1992
    • 129 Boulding, W., "A dynamic process model of service quality : From expectations to behavioral intentions" 30 (30): 7-, 1993
    • 130 시청자미디어재단, "2018년 장애인방송 이용실태 및 만족도 조사" 2018
    • 131 이영희, "2015 장애의 재해석 논문집" 61-114,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6 1.36 1.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46 2.108 0.75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