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미술치료에서의 그림(Bild)과 그림 시각화 과정에 대한 고찰 = Uberlegungen zur Bildbedeutung und ihres Visualisierungsprozesses in der Kunsttherapi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교육의 이론과 실천(영: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 독: Theorie und Praxis der Erziehung)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주제어
KDC
37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5-123(29쪽)
KCI 피인용횟수
8
제공처
Auf der Basis des Begriffes, der Art und der Funktion des Bildes geht es in der Studie um Uberlegungen zur Bedeutung und zum Visualisierungsprozess des Bildes in der Kunsttherapie. Dafür wurde zunächst das Wort ‘Bild’ und seine Bedeutungen erklart. Daraufhin wurde die Art des Bildes im weiteren Sinne in die Kategorien primäres und
sekundäres Bild eingeteilt und die darin vorhandenen Charakteristika beschrieben. Aus der Einsicht unterschiedlicher Funktionen des Bildes wurde die Art des Bildes definiert, das in der kunsttherapeutischen Theorie und Praxis unterschiedlich wahrgenommen und verwendet wird. Um den Visualisierungsprozess des Bildes erklären zu können, wurde das kreative Schema von Peirce(1903) eingeführt. Auf dieser Basis wurde ein allgemeines Schema des
Visualisierungsprozesses des Bildes vorgestellt und in drei Typen unterteilt, deren jeweilige Besonderheit dargestellt wurde. Damit wurde verdeutlicht, dass ein durch unterschiedliche Materialien fertig gestelltes Bild nicht nur aus einem Bild, sondern aus mehreren Arten von Bildern gemischt visualisiert worden sind. Damit ist erkennbar, dass das daraus resultierende Verstandnis von Bildern für den Kunsttherapeuten als eine grundlegende Theorie akzeptiert
und eine wichtige Rolle spielen kann, weil er in der Praxis den ganzen Prozess des malerischen Verhaltens des Klienten beobachten kann. Schließlich ist sicher, dass die hier vorgestellte Erkenntnis nicht nur für die Annäherung an das Bild des Klienten, sondern auch fur das Verstehen von bildhaften Informationen in Zusammenhang mit den Charakteristika des Visualisierungsprozesses sinnvoll sein kann.
본 연구는 그림(Bild) 개념 및 이의 종류와 기능에 근거하여 미술치료에서의 그림의 의미와 이의 시각화 과정에 대하여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일상적 단어인 그림에 함의된 의미와 이에 부합되는 그림의 종류를 일차적, 이차적 그림으로 분류하고 이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그림이 제공하는 기능을 살펴보고 다양한 미술치료적 관점에서 각기 다르게 언급되는 그림의 종류에 대하여 논하였다. 그림 시각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Peirce(1903)의 창조적 도식을 근거로 이를 도식화한 후 세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이들 각각의 특성을 서술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매체로 시각화된 그림 그
자체는 다양한 그림의 종류를 내포하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특히, 그림 시각화 과정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미술치료사에게 다양한 예술적 매체를 사용하여 내담자가 완성한 그림과 이 과정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는 하나의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였다. 그리하여 미술치료의 핵심요소인 그림에 대한 접근뿐만 아니라 이에 내재한 다양한 그림화 정보와 시각화를 이해하는 데 유용하리라 본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6-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91 | 1.91 | 1.6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8 | 1.8 | 2.369 | 0.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