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MZ세대 특성이 글로컬리즘 특성과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에 미치는 영향 : SNS관여 유형을 기준으로 = Th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are the Glocalism Characteristics and Effect on the Perception of Conservative Fashion Design:Based on the Type of SNS Involvement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analyze the effect of MZ gener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NS involution on the recognition of glocalism characteristics and conservative fashion design, but also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 of glocalism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NS involution on conservative fashion design recogni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en and women in their late teens and late 30s who had Korean SNS accounts, and the survey method was used.
      The survey was conducted by a non-face-to-face survey method through online. The questionnaire was produced using Google Form, a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using Google. Of the total 354 questionnaires collected, a total of 316 were statistically analyzed, excluding the questionnaire of insincere and insincere responses.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luster classific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To summarize the dimensions of the variables, SNS involvement types were classified into 'SNS play-seeking type' and 'SNS information-seeking type'. The sub-dimens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were classified into 'cultural orientation', 'value orientation', 'communication orientation', and 'overview orientation'. The sub-dimensions of glocalism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into 'cultural identity', 'cultural diversity', 'interaction', 'cultural pursuit', and 'fashion play'. The sub-dimensions of conservative fashion design recognition were classified into 'Korean sustainable fashion', 'ethical fashion', 'efficiency-oriented fashion',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fashion'.
      By type of SNS involvement, the research hypothesis establish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on the recognition of glocalism characteristics and conservative fashion design was verified as follows.
      Hypothesis 1 by type of SNS involvement, The effect of the MZ generation characteristics on the glocalism characteristics was partially adopted to a significant level (p<.001). The cultural orientation of the SNS play-seeing type group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cultural identity. The value orientation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interaction. The communication orientation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cultural diversity and fashion play. The overview orientation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fashion play. The cultural orientation of the SNS information-seeing type group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cultural identity. The value orientation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interaction. The communication orientation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identity and fashion play. The overview orientation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cultural diversity, cultural pursuit, and fashion play.
      Hypothesis 2 by type of SNS involvement, The effect of the MZ generation characteristics on the perception of conservative fashion design was partially adopted to a significant level (p<.05). The cultural pursuit of SNS play-seeking type group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Korean sustainable fashion, ethical fashion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fashion. The value orientation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Korean sustainable fashion. The communication orientation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Korean sustainable fashion and ethical fashion. The cultural pursuitof SNS information-seeking type group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Korean sustainable fashion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fashion. The value orientation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ethical fashion. The communication orientation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Korean sustainable fashion and ethical fashion.
      Hypothesis 3 by type of SNS involvement, The effect of glocalism characteristics on the perception of conservative fashion design was partially adopted to a significant level (p<.05). The cultural identity of SNS play-seeking type group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Korean sustainable fashion and ethical fashion. The cultural diversity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Korean sustainable fashion and ethical fashion. The interaction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Korean sustainable fashion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fashion. The cultural pursuit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environmentally friendly fashion. The cultural identity of SNS information-seeking type group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Korean sustainable fashion, ethical fashion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fashion. The cultural diversity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ethical fashion. The interaction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ethical fashion. The cultural pursuit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ethical fashion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fashion.
      Therefore, by type of SNS involvemen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artially significant positive (+)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and the recognition of the conservative fashion design.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artially significant positive (+) relationship between the glocalism characteristics and the factors recognizing the conservative fashion desig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type of SNS involvement of the MZ generation is divided into 'SNS play-seeing type' and 'SNS information-seeing type'.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affected the glycolism characteristics and the perception of conservative fashion design according to the type of SNS involvement.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and interest of the MZ generation'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SNS influenced the glocalism characteristics and the perception of conservative fashion design.

      더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SNS 관여 유형별, MZ 세대 특성이 글로컬리즘 특성과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에 미치는 영향 뿐 아니라 SNS 관여 유형별, 글로컬리즘 특성이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대한민국 SNS 계정을 보유하고 있는 10대 후반에서 30대 후반의 남녀를 표본으로 선정하였고, 조사방법은 설문방법을 활용하였다.
      설문 조사는 온라인을 통한 비대면 설문 조사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구글 폼을 이용하여 제작하였고, 구글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수거된 설문지 총 354부 중 무성의하고 불성실한 응답 설문지를 제외한 총 316부를 통계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군집분식, 다중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하였다.
      변인들의 차원을 정리하면, SNS 관여 유형은 ‘SNS 유희추구형’과 ‘SNS 정보추구형’으로 분류되었다. MZ세대 특성의 하위차원은 ‘문화지향성’, ‘가치지향성’, ‘소통지향성’ 및 ‘과시지향성’으로 분류되었다. 글로컬리즘 특성의 하위차원은 ‘문화정체성’, ‘문화다양성’, ‘상호작용성’, ‘문화추구성’ 및 ‘패션유희성’로 분류되었다.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의 하위차원은 ‘한국적 지속가능 패션’, ‘윤리적 패션’, ‘효율중심적 패션’ 및 ‘환경친화적 패션’으로 분류되었다.
      SNS 관여 유형별, MZ세대 특성이 글로컬리즘 특성과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가설을 다음과 같이 검증하였다.
      가설 1인 SNS 관여 유형별, MZ세대 특성이 글로컬리즘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유의미한 수준으로 부분 채택되었다(p<.001). SNS 유희추구성 집단의 문화지향성은 문화정체성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가치지향성은 상호작용성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소통지향성은 문화다양성과 패션유희성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과시지향성은 패션유희성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SNS 정보 추구성 집단의 문화지향성은 문화정체성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가치지향성은 상호작용성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소통지향성은 문화정체성과 패션유희성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과시지향성은 문화다양성, 문화추구성 및 패션유희성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가설 2인 SNS 관여 유형별, MZ세대 특성이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유의미한 수준으로 부분 채택되었다(p<.05). SNS 유희추구성 집단의 문화추구성은 한국적 지속가능 패션, 윤리적 패션 및 환경친화적 패션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가치지향성은 한국적 지속가능 패션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소통지향성은 한국적 지속가능패션과 윤리적 패션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SNS 정보 추구성 집단의 문화추구성은 한국적 지속가능 패션과 환경친화적 패션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가치지향성은 윤리적 패션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소통지향성은 한국적 지속가능 패션과 윤리적 패션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가설 3인 SNS 관여 유형별, 글로컬리즘 특성이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유의미한 수준으로 부분 채택되었다(p<.05). SNS 유희추구성 집단의 문화정체성은 한국적 지속가능 패션과 윤리적 패션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문화다양성은 한국적 지속가능한 패션과 윤리적 패션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상호작용성은 한국적 지속가능 패션과 환경친화적 패션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문화추구성은 환경친화적 패션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SNS 정보추구성 집단의 문화정체성은 한국적 지속가능 패션, 윤리적 패션 및 환경친화적 패션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문화다양성은 윤리적 패션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상호작용성은 윤리적 패션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문화추구성은 윤리적 패션과 환경친화적 패션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그러므로, SNS 관여 유형별, MZ세대 특성이 글로컬리즘 특성과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글로컬리즘 특성과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 요인 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은 MZ세대의 SNS 관여 유형은 ‘SNS 유희추구형’과 ‘SNS 정보추구형’으로 구분되며, SNS 관여 유형에 따라 MZ세대의 특성이 글리컬리즘 특성과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MZ세대의 SNS에 대한 중요성 지각 정도와 관심에 따라 글리컬리즘 특성과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 Ⅰ. 서론 1
      •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배경 1
      • 2) 연구목적 6
      • 2. 연구 문제 및 설계 7
      • 1) 연구문제 7
      • 2) 연구설계 8
      • 3. 논문의 구성 9
      • Ⅱ. 이론적 배경 12
      • 1. MZ세대 특성 12
      • 1) MZ세대 개념 12
      • 2) MZ세대 특성 하위요인 15
      • 3) MZ세대 패션 소비관련 선행연구 22
      • 2. 글로컬리즘 특성 26
      • 1) 글로컬리즘 개념 26
      • 2) 글로컬리즘 특성 하위요인 29
      • 3) 글로컬리즘 특성 관련 선행연구 33
      • 3. 컨셔스 패션디자인의 인식 36
      • 1) 컨셔스 패션디자인 개념 및 인식 36
      • 2)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 하위요인 41
      • 3)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과 소비특성 관련 선행연구 47
      • 4. SNS 관여도 51
      • 1) SNS개념 51
      • 2) SNS 관여도 개념 53
      • 3) SNS관여 유형 55
      • 4) SNS 관여도 관련 선행연구 58
      • Ⅲ. 연구 방법 62
      • 1. 연구설계 62
      • 1) 연구모형 62
      • 2)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64
      • 2. 측정도구 65
      • 1) 조작적 정의 65
      • 2) 설문문항 구성관련 선행연구 66
      • 3. 연구가설 설정 69
      • 1) SNS관여 유형별 MZ세대 특성 및 글로컬리즘 특성의 관계 69
      • 2) SNS관여 유형별 MZ세대 특성 및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의 관계 71
      • 3) SNS관여 유형별 글로컬리즘 특성 및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의 관 계 72
      • 4. 자료분석 73
      • Ⅳ. 결과 및 논의 75
      •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75
      • 1) 인구통계학적 특성 75
      • 2) SNS 이용실태 77
      • 2. SNS관여 유형 79
      • 1) SNS관여도의 차원 79
      • 2) SNS관여 유형 차원을 기준으로 유형 분류 82
      • 3. MZ세대 특성, 글로컬리즘 특성,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의 각 차원 83
      • 1) MZ세대 특성의 차원 83
      • 2) 글로컬리즘 특성의 차원 86
      • 3)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의 각 차원 89
      • 4. 연구가설 검증 92
      • 1) 가설 1: SNS관여 유형별 MZ세대 특성이 글로컬리즘 특성에 미치는 영향 92
      • 2) 가설 2: SNS관여 유형별 MZ세대 특성이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에 미치는 영향 96
      • 3) 가설 3: SNS관여 유희추구 유형별 글로컬리즘 특성이 컬셔스 패션 디자인 인식에 미치는 영향 99
      • 4) SNS관여 유형별 MZ세대 특성이 글로컬리즘 특성과 컨셔스 패션디 자인 인식에 미치는 영향 비교 및 논의 102
      • 5) 가설검증 결과 113
      • Ⅴ. 결론 116
      • 1. 연구 요약 및 결론 116
      • 2. 제언 및 제한점 119
      • 참고문헌 120
      • &lt;부록&gt;
      • (영문초록) 135
      • (국문초록) 142
      더보기
      • 1 민동원, "문화적 배경과 체화된 인지", 파주: 집문당, 2016
      • 2 이화여자대학교, "지구지역 시대의 문화 경제",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 판부, 2009
      • 3 이정우, "MZ세대의 패션상품 구매여정", 박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2021
      • 4 고은주, "지속 가능 패션 브랜드 마케팅", 서울: 교문사, 2015
      • 5 박순형, "MZ세대의 특성과 언어 사용 연구", 한말연구(한말연구학회) 63.18 : 5-10, 2022
      • 6 이화여자대학교, "탈경계 시대의 지구화와 지역화",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0
      • 7 김소라, "현대 패션에 나타난 컨셔스 패션", 조형디자인연구(한국조형 디자인학회) 23.1 : 11-32, 2020
      • 8 강형철, "친환경 대나무 섬유소재 브랜드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8.2 : 151-160, 2020
      • 9 권윤희, "혜원 신윤복 傳神帖의 글로컬리즘적 고찰", 동양예술(한 국동양예술학회) 0.38 : 5-33, 2018
      • 10 Boyd, Danah M., Ellison, Nicole B,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13.1 (: 210-230, 2007
      • 11 김정현, "광주비엔날레의 글로컬리즘 전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 문. 홍익대학교, 2016
      • 12 손수연, "글로컬리즘 관점에서 본 지역축제에 대한 연구", 박사학위논 문. 동아대학교, 2018
      • 13 이유정, "한국 가신 캐릭터의 글로컬문화콘텐츠 활용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서경대학교, 2016
      • 14 안인숙, 이상윤, "패션 브랜드에 나타난 밀레니얼 세대의 특성 연구", 일러스트레이션 포럼(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55 : 59-68, 2018
      • 15 박강미, "부산국제영화제의 글로컬 문화정체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 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2012
      • 16 박미선, "현대 패션에 나타난 컨셔스 패션의 미적 특성 연구", 석사학 위논문. 홍익대학교, 2021
      • 17 윤영선, 이국용, "모바일 SNS 이용만족과 습관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자거래학회지(한국전자거래학회) 15.4 : 123-142, 2010
      • 18 정영주, "소비자의 SNS사용이 외식업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디 지털융복합연구(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6 : 143-150, 2018
      • 19 박혜숙, "신세대 특성과 라이프 스타일 연구-Z세대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인문사회21) 7.8 : 753-767, 2016
      • 20 유영선, 이지영,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접근 법", 복식(한국복식학회) 72.3 : 118-132, 2022
      • 21 김지영, "패션성향에 따른 지속가능패션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020
      • 22 김민, 홍소희, "MZ세대 특성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메소드에 관한 연 구", 조형미디어학(한국일러스아트학회) 24.1 : 113-120, 2021
      • 23 안영화, "수원 화성(華城) 문화원형 공연콘텐츠 개발을 위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2016
      • 24 신혜선, "지속가능성 유형의 패션트렌드 분석과 패션디자인 기획", 박 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2015
      • 25 김선영, "국내 라이선스 패션 잡지 화보에 나타난 글로컬리즘 경향",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한국패션디자인학회) 13.1 : 47-69, 2013
      • 26 김수현, 정현숙, 이재정, "오가닉 코튼(Organic Cotton)을 이용한 지속 가능한 패션디자인", 服飾(한국복식학회) 57.2 : 115-131, 2007
      • 27 신혜영, "패션 산업의 메가트렌드로 나타난 지속가능성에 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2011
      • 28 이주영, 조경숙, "MZ세대 특성이 나타난 패션 브랜드 콜라보레이션 사 례 연구", 복식(한국복식학회) 71.6 : 37-53, 2021
      • 29 이도형, "무엇이 한국의 MZ세대를 친환경제품 구매로 이어지게 하는 가?", e-비즈니스연구(국제e-비즈니스학회) 23.3 : 169-182, 2022
      • 30 조춘봉, 진익준, "소비가치에 따른 밀레니얼세대 카페 소비자 세분화에 관한 연구", 외식경영연구(한국외식경영학회) 55.1 : 187-208, 2022
      • 31 박상희, "MZ세대를 위한 제너러티브 디자인의 다양성과 허용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022
      • 32 남슬아, 주소현, "밀레니얼 세대의 금융지식 및 위험수용성향과 금융자 산투자행태", Financial Planning Review(한국FP학회) 15.2 : 23-49, 2018
      • 33 채혜숙, "시속 가능한 느린 디자인 특성과 현대 패션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한국의류학회) 33.4 : 531-542, 2009
      • 34 Abel, Troy D., Stern, Paul C., Kalof, Linda, Guagnano, Greg., Dietz, Thomas., "A Value-Belief-Norm Theory Of Support For Social Movements: The Case Of Environmentalism", 6.2: 81-97, 1999
      • 35 임준철, "글로벌 / 글로컬시대의 문화융합과 미디어콘텐츠 역할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2012
      • 36 허수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사회과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구성 및 실천 전략", 사회과교육연구(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9.3 : 63-84, 2022
      • 37 김민송, 김정열, "패션 온라인 쇼핑몰의 AI 추천 서비스 만족도 연 구: MZ세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한국디자인문화학회) 27.3 : 15-26, 2021
      • 38 이세연, 최종훈, "MZ세대의 멀티퍼소나 특성을 반영한 패션 쇼핑 앱의 UX요소에 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한국융합학회) 12.8 : 123-129, 2021
      • 39 허윤, 황진숙, "MZ세대의 자기표현가치, 패션리테일 아트마케팅 태도, 구전의도의 관계", 한국디자인포럼(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7.2 : 151-166, 2022
      • 40 두원원, "럭셔리 브랜드에 나타나는 스포티즘에 대한 MZ세대의 관점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021
      • 41 유홍식, "패션산업에서의 윤리적 패션 -지속가능한 패션의 실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패션디자인학회(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2.2 : 39-57, 2012
      • 42 권다영, "대학 내 글로컬 마인드 형성을 위한 CoP 기반 학습모형 개발 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16
      • 43 김록안, "비건에 대한 인식이 비건 코스메틱의 구매행동과 만족도에 미 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2020
      • 44 김보연, 편하선, "전통 디저트 브랜드 경험에 따른 소비자 인식 연구- MZ 세대를 중심으로 -", 브랜드디자인학연구(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 학회) 19.2 : 17-28, 2021
      • 45 문윤경, "패션 온라인 쇼핑몰의 AI 추천 서비스 만족도 연구 – MZ세대 를 중심으로", 패션과 니트(한국니트디자인학회) 17.3 : 50-57, 2019
      • 46 김선희, 김성수, "글로컬문화콘텐츠 기획과 연구 전망 고찰 : 비주얼텍스트 사 례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2012
      • 47 권호순, "e-Book 이용자의 유형별 특성과 수용 결정요인 탐색 연구 : MZ 세 대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020
      • 48 Chen, Yu., Zhang, Guoliang., Lin, Boqiang, "Impact Of Technological Progress On China's Textile Industry And Future Energy Saving Potential Forecast", 161: 859-869, 2018
      • 49 진호, "틱톡 플랫폼과 인플루언서의 특성이 MZ세대 소비자의 구매의도 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2
      • 50 노승화, 이세진, 방혜진, "유대강도, 정보의 속성 및 관여도가 SNS 내 구전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광고학연구(한국광고학회) 23.4 : 119-146, 2012
      • 51 김우성, 허은정,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 소비자들의 소비관련가 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비교", 소비문화연구(한국소비문화학회) 10.4: 31-53, null
      • 52 남지연, "21세기 한국음악축제의 글로컬 전략에 관한 연구 : 전주 세계소리축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20, 2020
      • 53 엄유민, "지속가능한 관점에서 마린 세르에 나타나는 업사이클링 패션 디자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021
      • 54 김낙한, "국내 MZ세대의 웰니스 라이프스타일과 숙박상품 선택속성에 따른 시장세분화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2022
      • 55 김은지, "글로컬화(glocalization)의 관점에서 본 라이선스 패션 잡지 : 보그 코리아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11
      • 56 엄경희, 엄태경, "2020-2030 문화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제품 선호도 연구 –밀레니얼세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한국디자인문화 학회) 26.2 (2020): 337-349, 2020
      • 57 서휘원, 현지은, 최민식, "경제교육에서 환경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 가?: 코어경제학(CORE Economy)을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이화여자대 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5.5 : 381-394, 2021
      • 58 김혜림, "글로컬리즘의 문화융합모델로서 패션디자인 연구 : 조선시대 포의 활용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20
      • 59 김영화, 정혜정, 오경화, "오친환경 아웃도어 웨어 제품 구매의도 결정 요인: 가치-신념-규범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한국의류산 업학회) 17.6 : 965-977, 2015
      • 60 이방형, "소셜미디어의 이용 지속과 효과적인 소셜미디어 마케팅전략 요 인에 관한 통합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13
      • 61 배수희, "MZ세대를 위한 라이프스타일 숍의 공간 디자인 표현 특성 : 인테리어 편집숍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성대학교, 2021
      • 62 Myers, Karen K., Sadaghiani, Kamyab, "Millennials In The Workplace: A Communication Perspective On Millennials Organizational Relationships And Performance", 25.2: 225-238, 2010
      • 63 장윤영, "텍스타일 콜라보레이션의 제품 특성이 MZ세대의 소비자 가치와 구 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2021
      • 64 김시내, "소셜미디어의 상호작용적 특성에 기반한 미술교육의 확장 가능 성 탐색을 위한 실행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13
      • 65 오승현, "헤어서비스 SNS 정보특성이 소비자 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SNS 이용경험 조절효과", 박사학위논문. 서경대학교, 2021
      • 66 성예림, "소비자의 환경가치관과 비건 화장품 소비가치에 따른 지속소비가 능성 –MZ세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022
      • 67 김유솔, "MZ세대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한 전통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 십이지신의 현대적 해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2021
      • 68 박지수, "친환경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및 구매의도 영향요인 연 구 : 한국과 미국의 MZ세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22
      • 69 이경진, "예식문화 구성요인의 중요도 인식 및 예식소비가치가 소비행 동에 미치는 영향 : - MZ세대를 중심으로 -",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2022
      • 70 추유은, "MZ세대 여성 패션소비자들의 인스타그램 기능 이용동기, 이용 방식 및 몰입, 이용충족에 관한 질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022
      • 71 남은영, "이모티콘 이용 동기가 사회적 거리감에 따라 사용자 태도, 구 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MZ세대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1
      • 72 김찬석, 이현선, 손정희, "MZ 세대의 커뮤니케이션 고유 특성에 대 한 각 세대별 반응 연구-MZ 세대, X 세대, 베이비붐세대를 중심으로", 커뮤니케 이션 디자인학연구(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77.0 : 202-215, 2021
      • 73 이임교, "SNS에 대한 관여도에 따라 SNS관광정보 특성이 한국관광의도 에 미치는 영향 :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 교, 2019
      • 74 김하윤, "외식기업의 SNS 마케팅 특성이 M Z세대의 고객 행동 의도에 미치 는 영향-SNS 관여도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호남대 학교, 2021
      • 75 홍정화, "MZ세대의 가치가 식품 친환경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치-신 념-규범 이론Value-Belief-Norm Theory)을 적용하여-", 호텔리조트연구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9.4 : 201-220, 2020
      • 76 서종현, 윤선중, "4차 산업혁명 기업의 R&D 역량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R&D 투자와 대표자 기술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 회지(한국기술혁신학회) 25.4 : 627-660, 2022
      • 77 이의국, "외식기업의 SNS특성이 기업이미지, 신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 관여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동의대 학교, 2021
      • 78 이상권, "MZ세대의 인식과 태도의 차이가 사회적 기업의 패션상품에 대 한 태도와 프리미엄 가격 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금오 공과대학교, 2022
      • 79 노정숙, 장형유, "패션의류산업의 소셜네트워크 및 개인특성이 사용자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여도 및 SNS지속이용의도와의 관련성", 고객만족 경영연구(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19.3 : 23-49, 2017
      • 80 윤지연, "패션기업의 친환경 브랜드 확장을 위한 디자인 소통 전략 : MZ 세대를 대상으로 한 브랜드 인플루언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여화여자대학교, 2021
      • 81 김성수, "두 개의 글로컬라이제이션, 두 얼굴의 글로컬 - 글로컬라이제 이션 개념을 배경으로 한 문화콘텐츠 기획의 허와 실", 글로벌문화콘텐츠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0.10 : 105-136, 2013
      • 82 오재균, "외식프랜차이즈의 SNS 특성이 기업이미지와 소비자 의사결정 에 미치는 영향 연구 : SNS 관여도를 조절효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경주대학교, 2020
      • 83 최현정, "기업의 SNS이벤트 유형이 이용자의 참여도에 따라 소비자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화장품 SNS이벤트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 문. 홍익대학교, 2016
      • 84 이소민, "SNS 이용을 통한 외식업체 관련 체험 마케팅이 공동 경험감과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공동 경험감의 매개 작용 중심으로", 박사학 위논문, 경기대학교, 2022
      • 85 김우진, 최은서, 이희정, 이규성, 박지인, 노은주, 김해찬, "MZ세대 소 비자의 SNS 능동적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인스타그램 및 유튜브 활용 전략 - 편의점 3사(CU, GS25, 7ELEVEN)를 중심으로 -", 고객만족경영연구(한국 고객만족경영학회) 23.4 : 45-70, 2021
      • 86 형미라, "MZ세대의 골프웨어 선택속성이 브랜드 신뢰도 및 충성도에 미 치는 영향 : 상징적 이미지와 기능적 이미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석 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22
      • 87 김선희, 이희찬, "소셜커머스 특성요인이 소셜커머스 만족과 특급호텔 뷔페레스토랑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SNS/소셜커머스 관여도의 조절효 과 -", 호텔리조트연구지(한국호텔리조트학회) 20.2 : 5-15, 2021
      • 88 김지은, 이진화, "소셜커머스 특성요인이 소셜커머스 만족과 특급호텔 뷔페레스토랑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SNS/소셜커머스 관여도의 조절효 과 -", 호텔리조트연구지(한국호텔리조트학회) 20.2 : 5-25, 2021
      • 89 조미령, "호텔기업 PPL 인식과 호텔 이미지, 브랜드 태도, 브랜드 선호 도 및 구매의도 간의 관계 연구 : 프로그램 관여도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 로", 박사학위논문. 동의대학교, 2020
      • 90 고은주, 채희주, 신지예, "연구논문 : 패션브랜드의 이미지 기반 SNS에 서 해시태그의 이용동기가 고객소셜참여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SNS 참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한국의류산업학 회) 17.6 : 942-955, 2015
      • 91 양영환, "웹사이트 및 SNS 특성이 공공기관 이미지와 정책 참여도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직-공중 관계성의 매개효과와 이용동기 및 정 책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목포대학교, , 46,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