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 특성이 글로컬리즘 특성과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에 미치는 영향 : SNS관여 유형을 기준으로 = Th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are the Glocalism Characteristics and Effect on the Perception of Conservative Fashion Design:Based on the Type of SNS Involvement
저자
발행사항
대구 :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3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계명대학교 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섬유패션학과 , 2023. 8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대구
형태사항
vi, 145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준화
UCI식별코드
I804:22003-000000121047
소장기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analyze the effect of MZ gener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NS involution on the recognition of glocalism characteristics and conservative fashion design, but also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 of glocalism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NS involution on conservative fashion design recogni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en and women in their late teens and late 30s who had Korean SNS accounts, and the survey method was used.
The survey was conducted by a non-face-to-face survey method through online. The questionnaire was produced using Google Form, a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using Google. Of the total 354 questionnaires collected, a total of 316 were statistically analyzed, excluding the questionnaire of insincere and insincere responses.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luster classific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To summarize the dimensions of the variables, SNS involvement types were classified into 'SNS play-seeking type' and 'SNS information-seeking type'. The sub-dimens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were classified into 'cultural orientation', 'value orientation', 'communication orientation', and 'overview orientation'. The sub-dimensions of glocalism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into 'cultural identity', 'cultural diversity', 'interaction', 'cultural pursuit', and 'fashion play'. The sub-dimensions of conservative fashion design recognition were classified into 'Korean sustainable fashion', 'ethical fashion', 'efficiency-oriented fashion',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fashion'.
By type of SNS involvement, the research hypothesis establish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on the recognition of glocalism characteristics and conservative fashion design was verified as follows.
Hypothesis 1 by type of SNS involvement, The effect of the MZ generation characteristics on the glocalism characteristics was partially adopted to a significant level (p<.001). The cultural orientation of the SNS play-seeing type group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cultural identity. The value orientation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interaction. The communication orientation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cultural diversity and fashion play. The overview orientation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fashion play. The cultural orientation of the SNS information-seeing type group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cultural identity. The value orientation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interaction. The communication orientation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identity and fashion play. The overview orientation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cultural diversity, cultural pursuit, and fashion play.
Hypothesis 2 by type of SNS involvement, The effect of the MZ generation characteristics on the perception of conservative fashion design was partially adopted to a significant level (p<.05). The cultural pursuit of SNS play-seeking type group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Korean sustainable fashion, ethical fashion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fashion. The value orientation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Korean sustainable fashion. The communication orientation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Korean sustainable fashion and ethical fashion. The cultural pursuitof SNS information-seeking type group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Korean sustainable fashion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fashion. The value orientation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ethical fashion. The communication orientation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Korean sustainable fashion and ethical fashion.
Hypothesis 3 by type of SNS involvement, The effect of glocalism characteristics on the perception of conservative fashion design was partially adopted to a significant level (p<.05). The cultural identity of SNS play-seeking type group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Korean sustainable fashion and ethical fashion. The cultural diversity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Korean sustainable fashion and ethical fashion. The interaction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Korean sustainable fashion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fashion. The cultural pursuit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environmentally friendly fashion. The cultural identity of SNS information-seeking type group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Korean sustainable fashion, ethical fashion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fashion. The cultural diversity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ethical fashion. The interaction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ethical fashion. The cultural pursuit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ethical fashion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fashion.
Therefore, by type of SNS involvemen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artially significant positive (+)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and the recognition of the conservative fashion design.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artially significant positive (+) relationship between the glocalism characteristics and the factors recognizing the conservative fashion desig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type of SNS involvement of the MZ generation is divided into 'SNS play-seeing type' and 'SNS information-seeing type'.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affected the glycolism characteristics and the perception of conservative fashion design according to the type of SNS involvement.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and interest of the MZ generation'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SNS influenced the glocalism characteristics and the perception of conservative fashion design.
본 연구의 목적은 SNS 관여 유형별, MZ 세대 특성이 글로컬리즘 특성과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에 미치는 영향 뿐 아니라 SNS 관여 유형별, 글로컬리즘 특성이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대한민국 SNS 계정을 보유하고 있는 10대 후반에서 30대 후반의 남녀를 표본으로 선정하였고, 조사방법은 설문방법을 활용하였다.
설문 조사는 온라인을 통한 비대면 설문 조사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구글 폼을 이용하여 제작하였고, 구글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수거된 설문지 총 354부 중 무성의하고 불성실한 응답 설문지를 제외한 총 316부를 통계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군집분식, 다중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하였다.
변인들의 차원을 정리하면, SNS 관여 유형은 ‘SNS 유희추구형’과 ‘SNS 정보추구형’으로 분류되었다. MZ세대 특성의 하위차원은 ‘문화지향성’, ‘가치지향성’, ‘소통지향성’ 및 ‘과시지향성’으로 분류되었다. 글로컬리즘 특성의 하위차원은 ‘문화정체성’, ‘문화다양성’, ‘상호작용성’, ‘문화추구성’ 및 ‘패션유희성’로 분류되었다.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의 하위차원은 ‘한국적 지속가능 패션’, ‘윤리적 패션’, ‘효율중심적 패션’ 및 ‘환경친화적 패션’으로 분류되었다.
SNS 관여 유형별, MZ세대 특성이 글로컬리즘 특성과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가설을 다음과 같이 검증하였다.
가설 1인 SNS 관여 유형별, MZ세대 특성이 글로컬리즘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유의미한 수준으로 부분 채택되었다(p<.001). SNS 유희추구성 집단의 문화지향성은 문화정체성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가치지향성은 상호작용성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소통지향성은 문화다양성과 패션유희성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과시지향성은 패션유희성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SNS 정보 추구성 집단의 문화지향성은 문화정체성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가치지향성은 상호작용성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소통지향성은 문화정체성과 패션유희성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과시지향성은 문화다양성, 문화추구성 및 패션유희성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가설 2인 SNS 관여 유형별, MZ세대 특성이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유의미한 수준으로 부분 채택되었다(p<.05). SNS 유희추구성 집단의 문화추구성은 한국적 지속가능 패션, 윤리적 패션 및 환경친화적 패션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가치지향성은 한국적 지속가능 패션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소통지향성은 한국적 지속가능패션과 윤리적 패션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SNS 정보 추구성 집단의 문화추구성은 한국적 지속가능 패션과 환경친화적 패션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가치지향성은 윤리적 패션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소통지향성은 한국적 지속가능 패션과 윤리적 패션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가설 3인 SNS 관여 유형별, 글로컬리즘 특성이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유의미한 수준으로 부분 채택되었다(p<.05). SNS 유희추구성 집단의 문화정체성은 한국적 지속가능 패션과 윤리적 패션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문화다양성은 한국적 지속가능한 패션과 윤리적 패션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상호작용성은 한국적 지속가능 패션과 환경친화적 패션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문화추구성은 환경친화적 패션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SNS 정보추구성 집단의 문화정체성은 한국적 지속가능 패션, 윤리적 패션 및 환경친화적 패션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문화다양성은 윤리적 패션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상호작용성은 윤리적 패션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문화추구성은 윤리적 패션과 환경친화적 패션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그러므로, SNS 관여 유형별, MZ세대 특성이 글로컬리즘 특성과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글로컬리즘 특성과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 요인 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은 MZ세대의 SNS 관여 유형은 ‘SNS 유희추구형’과 ‘SNS 정보추구형’으로 구분되며, SNS 관여 유형에 따라 MZ세대의 특성이 글리컬리즘 특성과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MZ세대의 SNS에 대한 중요성 지각 정도와 관심에 따라 글리컬리즘 특성과 컨셔스 패션디자인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