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론 관점에서 본 지식창조 시대의 정원문화에 대한 고찰 - 진화정원론의 시작 - = Speculations on the Evolution of Garden Culture in the Knowledge-Creation Era with Special Reference to View Point of Evolutionary Theory - The Beginning of the Theory of Evolutionary Garden -
저자
조세환 (한양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3-71(9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thesis is aimed to syudy the cause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evolution of contemporary garden culture in the coming of knowledge-creation era. The research method take the book review in special focuses on the evolutionary theories of Charles Darwin, Stuart Kauffman and others related, and speculated on the garden phenotypes in the combination of the evolutionary theories and the rapidly rising garden environment in the contemporary era. The research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two tracts of evolution theories. The one is Charles Darwin’s the natural selections theory, and the others is Stuart Kauffman’s self-organization theory. Followed by Darwin’s theory, Homo Sapience have two kinds of genotype in the DNA. The one is bio-gynotype and the other is cultural-gynotype. Two kinds of genotypes also have garden phenotypes in each. Seconds, the garden phenotype by bio-genotype could be revealed in the types of Biotope Garden, Water Recycling Garden, Roof Garden, Vertical or Wall Garden, Farm Garden, Green Street Garden, Nature Regeneration Garden in city. And also, Ecological Garden, Forest Garden etc. could be manifested in country.
Thirds, the culture-genotype of garden are categorized by seven elements. They are the Tradition Succession, the Freedom from wants of Foods, the Learning of Garden, the Freedom from Spiritual Defects without Nature, the Paradigm of Urban Regeneration and the Economical Creation Wills.
Finally, This thesis concludes that all of these garden genotypes and phenotypes could’t be revealed in the phenotype or evolved itself in the course of culture adaption. The efforts of self-organizations by the accentuation of the attitudes, the world view toward garden and actions by garden specialists, citizens,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could lead to the successful evolution of garden culture in this era.
본 연구는 지식창조 시대의 정원 문화 진화의 원인과 향후 정원의 진화 방향 탐색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방법론으로는 찰스 다윈의 진화론과 스튜어트 카우프만의 복잡성이론 등 관련 연구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토대로 정원관련 진화론을 도출하고, 이를 동시대 급격하게 부상하고 있는 정원 환경을 배경으로 정원 진화의 문화 형질과 거기에따른 정원 표현형을 고찰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화론에는 찰스 다윈의 진화론과 스튜어트 카우프만의 자기조직화론 등 2가지 트랙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찰스 다윈의 진화론을 뒷받침하는 유전자 이론에는 문화 유전 형질과생물 유전 형질 등 2가지 속성의 유전 형질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유전 형질들은 각각의 표현형으로서의정원 유형을 가지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둘째, 생물적 유전 형질에 의해 발현되는 정원의 표현형은 도시의 경우, ‘비오톱정원’, ‘수순환정원’, ‘옥상정원’, ‘수직정원’, ‘농업정원’, ‘그린 스트리트 정원’, ‘자연재생정원’ 등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시골의 경우, ‘생태정원’, ‘ 숲정원’ 등으로 분류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시대 정원의 문화 유전 형질은‘전통 계승의 형질’, ‘식품 결핍으로부터의 자유 형질’, ‘정원 학습 형질’, ‘ 자연 부재로 인한 정신적 결함의 자유 형질’, ‘도시재생과 경제성 창출 의지 형질’ 등 7가지로 분류될 수 있었다. 이상의 7가지 정원 문화 유전 형질의 표현형으로의정원의 발현은 다윈의 진화론처럼 반드시 환경선택에 의해서만 진화하는 것이 아니고, 정원에 대한 정원 전문가, 공공또는 민간 조직, 시민 등의 태도, 세계관 등의 고취와 같은 카우프만이 주장하는 자기조직화적 활동과 노력에 의해 진화해나갈 것으로 논의되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 |
202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