現代中國語 否定詞「不」와 副詞의 共起 關係 硏究 = A Study on The Co-occurrence of Negative "Bu" and Adverds in Modern Chinese
저자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 중국어교육전공 , 2011. 2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108 p. ; 26cm
DOI식별코드
소장기관
现代汉语的语法特征是语法、语义、语用。语法的特点也就是语序和虚词。很多虚詞当中,副词的个性最大、最强,它跟实词具体而实际的词意不一样,抽象而随机的意义比较强。正如这样,关于副词的研究简直不知其数。但是无论是国内还是国外,大部分相关研究的主题一般都偏向于个别副词的特征一面,而关于否定词与副词共现问题的研究几乎少见。
因而本研究要基于前人的研究状况,否定词与其他副词共现时的例子为重点分析找出它的共性和异性,还有具体而深层地分析否定词与其他副词的共现与否以及共现时它们相对的语序。
研究为了保持客观性,根据《實用現代漢語語法》的分类法,把《漢語水平詞滙與漢字等級大綱》的324个副词为标准,参考《實用現代漢語語法》、《現代漢語詞典》、《現代漢語虛詞詞典》、《現代漢語語法信息詞典詳解》等四书,把它们共同收载的副词限定为研究范围,在以下几点进行了研究。
首先,第一章为序论,介绍本文的研究对象、理论背景及研究方法,以及国内外相关研究概况,说明语料来源。然后从文章的语序随着副词的语义和否定词的位置而改变着手,考察了「不」与副词的共现现象。
第二章为本研究的基础,为了打好副词的基本概念,先详细介绍意义、修饰功能、句法等几个角度的副词的不同定义,并对否定词不同的位置引起的其修饰范围的不同加以具体的阐述。
第三章为本研究的骨架,对否定词与时间副词、范围副词、重复ㆍ频度副词、程度副词及语气副词的共现语序,通过'語料庫'大量的例子和统计数据,予以详细而逻辑的分析。
第四章提出了在教育现场学习并运用副词的难点及其理由,然后重点讨论了其对策方案。作者认为第四章的内容对现职教师们以及未来的教师们有一定的帮助。
第五章是全文的结语,根据在前几章研展的一些观点,总结了论文的整个内容及研究意义,同时也指出了本文的不足。
현대중국어의 가장 큰 어법적 특징은 어순과 허사虛詞이다. 허사 중에서도 副詞는 개성이 가장 강하고 복잡한 품사인데, 實詞가 나타내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의미와는 달리 기능적이고 추상적인 의미가 비교적 강하다. 이러한 복잡한 특징을 반영하듯 부사에 관한 연구는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하지만 국내, 국외를 막론하고 기존 연구의 대부분은 대체적으로 개별 부사의 특징적인 면에 치우쳐 있으며, 부정사와 부사 간의 共起 문제를 다룬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사와 부정사 「不」에 관한 선행 연구들의 기초 위에서, 부정사와 기타 부사들 共起 시의 용례를 중심으로 그들의 관계를 조명하여 共起 여부 및 共起 시 각각의 부사들의 상대적 어순을 파악하고 그 원인의 논리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객관성을 기하기 위해 《實用現代漢語語法》의 분류방법에 따라 《漢語水平詞滙與漢字等級大綱》에 나오는 부사 324개를 기준으로 하고 《實用現代漢語語法》, 《現代漢語詞典》, 《現代漢語虛詞詞典》, 《現代漢語語法信息詞典詳解》 등 네 권의 저서를 참고로 해서 이들 다섯 권에 공통으로 수록된 부사들을 연구 범위로 한정하여 다음과 같이 논의를 진행하였다.
먼저 서론에서는 기존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연구의 대상 및 내용이 대부분 개별 부사의 특징적인 면에 치우쳐 있다는 한계를 지적하였고, 본고는 이를 보완하고자 부사의 의미관계 및 부정사의 위치 이동에 따라 부정사와의 共起 語順이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부정사 「不」와 부사 간의 共起 관계를 고찰하였음을 밝혔다.
연구의 토대가 되는 제2장에서는 먼저 부사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확립하기 위하여 의미, 수식 기능 및 통사적 측면에서 보는 부사의 개념을 소개하고 나서, 부정사의 위치 변화에 따라 그 수식영역 범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의 가장 중요한 뼈대에 해당하는 제3장에서는 부정사 「不」가 시간부사, 범위부사, 중복ㆍ빈도부사, 정도부사, 어기부사와 어떻게 共起 관계를 형성하는지에 대해 각각 분리하여, 語料庫에 실려 있는 대량의 용례를 중심으로 그 논리적 관계를 분석, 증명하였다.
이어서 제4장에서는 현직교사들 그리고 장래의 교사들이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현장에서 제기되는 ‘부사 習得이 어려운 이유’와 ‘習得 및 활용의 난점’을 살펴본 후 그 대책을 고민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위에서 전개한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언급하고 논문 전체의 내용을 종합, 정리하였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