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920년대 만주 다베이거우(達貝溝) 토지분쟁을 둘러싼 한인과 중국인의 갈등 = The Conflict Between Koreans and Chinese Over the Dabeigou Land Dispute in Manchuria During the 1920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05-236(32쪽)
제공처
다베이거우 토지분쟁은 1917년 3월, 다베이거우 관산의 중국인 관리인들이 관산의 절반을 한인에게 소작으로 제공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사건은 1931년 만주사변에 이르기까지 10년 넘게 중일 양국의 외교 현안으로 떠올랐다. 다베이거우 토지분쟁은 한인과 중국인, 그리고 중국 정부와 일본 정부 사이의 경제적, 정치적 이해관계를 둘러싼 복잡한 갈등으로 발전했다.
만주지역에서 한인과 중국인 간의 갈등은 경제적 이해관계, 이방인에 대한 차별, 중국과 일본의 갈등 등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했다. 다베이거우 토지분쟁은 중국인과 한인이 소작 계약을 맺은 후 상호 불신이 어떻게 분쟁으로 발전하는지를 그대로 보여준다. 만주지역의 한인과 중국인 간의 토지분쟁에서 한인을 일방적인 피해자로만 볼 수 없으며, 중국인들 또한 일방적인 가해자가 아니었다. 이 갈등은 상호 간의 현실적인 이해관계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만주지방행정당국과 일본영사관은 이를 자신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이용했다.
남만주에 거주하던 한인들은 중국과 일본 사이에서 자신들의 생존과 처지를 보장해줄 주체를 실리적으로 선택했다. 중국으로 귀화하여 한인으로서의 차별을 피하고 중국 정부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되면 귀화를 선택했지만, 그렇지 않으면 일본을 현실적인 보호자로 삼았다.
The Dabeigou land dispute began in March 1917 when Chinese estate managers of the Dabeigou public land leased half of it to Koreans. This event became a major diplomatic issue between China and Japan for over a decade, lasting until the Manchurian Incident in 1931. The Dabeigou land dispute developed into a complex conflict involving economic and political interests among Koreans, Chinese, and both the Chinese and Japanese governments.
Conflicts between Koreans and Chinese in Manchuria were shaped by various factors, including economic interests, discrimination against foreigners, and the broader tensions between China and Japan. The Dabeigou land dispute vividly illustrates how mutual distrust between Koreans and Chinese developed after entering into tenancy agreements. In the land disputes between Koreans and Chinese in Manchuria, neither group can be viewed as purely victims or aggressors. Instead, the conflict was shaped by the realistic interests of both parties, with both the local Manchurian authorities and the Japanese consulate leveraging the situation to their advantage.
Koreans living in southern Manchuria pragmatically chose the side that could best guarantee their survival and protect their status, navigating between China and Japan. Some opted for Chinese citizenship to avoid discrimination as Koreans and receive protection from the Chinese government, while others saw Japan as a more realistic protector when such options were not viabl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