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동아시아 가족 로맨스 영화의 초상: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와 <아호, 나의 아들> 속 부성과 양육의 이데아 = Family Romance in East Asian Cinema: Fatherhood and Parenting Ideals in Like Father, Like Son(2013) and A Sun(2019)
저자
박은지 (부산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3-68(26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동아시아 가족 영화에 나타난 가족 로맨스의 초상을 고찰한다. 특히 동아시아에서 가족 로맨스 영화는 아이의 가족 로맨스가 아닌, 아버지의 부권적 가족 로맨스를 투영하는 점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동아시아 가족 로맨스 영화에서 부성과 양육의 테마는 어떠한 이데올로기를 지향하는지 질문을 던진다.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그렇게 아버지가 된 다>(2013)와 청몽홍의 <아호, 나의 아들>(2019)은 이 질문에 직면하는 전형적 사례로 분석 대상이 된다. 두 편의 영화는 부권적 주체로서 욕망과 좌절을 아 들에게 투사하는 아버지들의 이야기, 즉 부성적 가족 로맨스를 그려낸다.
본 연구는 먼저 가족 로맨스의 이론적 개념을 정리하고, 이어서 두 영화에 나타난 동아시아적 성향을 띤 부성적 가족 로맨스의 재현 양상을 살펴보며, 부 권적 열망과 양육의 이데아가 어떻게 각별히 ‘동아시아적’ 문제의식을 체화하 는지를 규명한다. 결론적으로 동아시아 가족 영화들 속 가족 로맨스의 초상을 탐구하는 과제는 신자유주의적 주체의 불안, 유교적 아비투스, 동아시아적 정 동 등이 얽혀 있는 세대적 풍경의 초상과 마주하는 과제와 중첩된다.
This study explores the portrayal of family romance in East Asian family films, focusing on how these films often address not the child's family romance but the father’s patriarchal family romance. The central question examines how these films articulate paternal aspirations and parenting ideals within the framework of family romance. Hirokazu Kore-eda’s Like Father, Like Son(2013) and Chung Mong-Hong’s A Sun(2019) serve as key examples for analysis. Both films depict fathers projecting their expectations and frustrations onto their sons, offering distinct portrayals of paternal family romance.
The study begins by engaging with theoretical frameworks surrounding the concept of family romance. It then delves into the articulation of paternal family romance in these narratives, emphasizing the ways paternal desires and parenting ideals reflect culturally specific concerns, particularly those rooted in East Asian characteristics and problematics. Ultimately, this study situates the depiction of family romance in East Asian family dramas within broader generational landscapes, underscoring the intersection of neoliberal subjects’ anxieties, Confucian familism, and East Asian affective experience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