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학기제를 위한 오페라 콜라주 프로그램 활동
저자
발행사항
서울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2020.2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서울
기타서명
An opera collage teaching program for free-semester system
형태사항
vi, 106장 : 삽화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장지원
UCI식별코드
I804:11046-000000523122
소장기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educational value of opera collage and to suggest a novel method of instruction for opera by research in the opera collage program’s teaching/learning method applicable to free-semester music activity.
The free-semester system and the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purposes of opera and opera collage are reviewed before the proposal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section. A 14-class teaching/learning plan for 1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pplying opera collage is suggested based on this section.
The opera collage program consists of 3 stages. Students learn abou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opera and opera collage in the first introductory stage. The second developmental stage focuses on student participation and opera music. Students choose an opera song based on their preference and practices a drama performance founded on the chosen piece. The final stage concludes with a performance and review. All class content consists of student-participation focused activities such as collaborative learning and discussion typical of the free-semester system. The grading method uses the free-semester system’s process-based grading and other various evaluation tools. To facilitate a link between the free-semester system and general semesters, the choice of opera pieces was limited to ones in middle school textbooks.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a creative musical drama specified by the intent of its creator can be conceived based on the comprehensiv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opera. Second, the musical experience of students can be augmented by learning about the numerous opera music contained in textbooks. Third, a drama can be recreated based on students’ real life to be used as a musical tool to express their emotions. Fourth, students’ problem-solving skills can be improved through student-focused creative processes. Fifth, students are able to explore careers by roleplaying and experiencing positions in opera.
The opera collage program allows a comprehensive experience in the broad artistic characteristic of opera based on these results. Furthermore, it will inspire intrinsic motivation in music, popularize opera in the public sphere by changing the perception of opera as being difficult and obscure, and provide a positive effect of students adopting opera in daily life. Thus, there is hope for this study to be actualized as a real class and for further research to continue developing opera collage.
본 논문의 목적은 오페라 콜라주의 교육적 가치를 도출하고 자유학기제 음악 활동에서 활용 가능한 오페라 콜라주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여 새로운 오페라 지도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필자는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기 앞서 이론적 배경에서 자유학기제의 개요, 오페라와 오페라 콜라주의 개념 및 특징과 교육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오페라 콜라주를 적용하여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수·학습 지도안 14차시를 제안하였다.
오페라 콜라주 프로그램은 총 3단계로 구성된다. 도입 단계는 오페라와 오페라 콜라주의 이론적 배경을 학습한다. 전개 단계는 오페라 제재곡을 학습하고 학생 참여 활동이 중심이 된다. 학생들은 선호에 따라 제재곡을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극을 창작하며 오페라 콜라주 공연을 위한 연습으로 수업이 진행된다. 마무리 단계는 본 공연과 평가를 실시한다. 오페라 콜라주 프로그램 활동의 주요 수업 내용은 자유학기제에 추구하는 협동 학습, 토론 등 학생 참여 중심의 활동으로 구성된다. 평가 방식은 자유학기제의 과정 중심 평가와 다양한 평가 도구를 활용한다. 또한 자유학기제와 일반 학기와의 연계를 실천하기 위해 중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제재곡을 선정한다.
본 연구를 통한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페라의 종합 예술 특성을 바탕으로 창작자의 의도에 따라 창의적인 음악극을 창작할 수 있다. 둘째, 교과서에 수록된 다양한 오페라 악곡을 학습하여 학생들의 음악적 경험을 확장시킬 수 있다. 셋째, 학생들의 실생활과 관련된 주제로 극을 재창작하여 그들의 정서를 표현하는 음악적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다. 넷째, 학생 중심의 창작 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문제 해결력을 고양시킬 수 있다. 다섯째, 오페라와 관련된 직업 탐구와 역할 체험을 통해 진로 탐색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오페라 콜라주 프로그램은 오페라의 종합예술 특성을 포괄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음악의 내재적 동기를 고취시키고 오페라가 어려운 음악이라는 인식을 전환 시켜 오페라의 대중화를 기대할 수 있으며 학생들이 오페라를 생활화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실제 교육 현장에서 수업 되기를 바라며 후속 연구를 통해 오페라 콜라주의 다양한 발전이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