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신라가 이슬람 세계로 수출했다는 물품 목록에 관한 재고 -이븐 쿠르다지바(820~912)의 『諸도로와 諸왕국지』를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4-160(27쪽)
제공처
본고는 중세 이슬람 세계와 동아시아 간의 무역 형태, 특히 신라와의 관계를 9세기 압바스 조 궁정의 행정지리서인 이븐 쿠르다지바의 저서 제도로와 제왕국지의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 책은 당시 칼리파들의 지근 상대이자 제국의 우편, 통신, 정보의 수장이었던 저자가 제국의 성립과 관리에 필요한 행정 지리 수요를 충족하고자 저술했다. 이 원고는 저서에 적시된 ‘중국의 동쪽 바다’에서 이슬람 세계로 오는 11가지 품목의 역사적 사실성을 고찰하고, 그 물품들이 신라 원산인지 아니면 다른 지역산이거나 전혀 허구의 기록인지 여부를 문헌과 인지적 접근을 통해 풀어낸다.
문헌 연구를 통하여 본고는 저자와 저자의 경향, 저술 목적, 자료 획득과 유통, 변경, 왜곡, 편집 여부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이 목록은 실제 무역을 충실히 반영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하지만, 저서속의 신라가 차지하는 빈도와 분량을 중국과 비교하고, 무슬림 상인들의 항로와 각 물품들의 특징, 그리고 당대 신라 상인들의 활동과 신라와 무슬림들간의 양자 교류를 종합해본 결과, 목록 상의 모든 물품들이 신라에서 왔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결과적으로, 본고는 저서 속 모든 품목들이 신라에서 왔다고 믿긴 어렵지만 이서방 선원들은 해당 11가지 상품들을 신라와 중국, 그리고 아마도 다른 동아시아 지역들의 여러 곳에서 온 제품들을 모아놓은 것이라고 본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pattern of medieval Islamic world’s trade with East Asia, particularly with the Silla Dynasty, by examining the ninth-century Abbasid court’s administrative geographic book, Kitāb al-Masālik wa-al-Mamālik, by Ibn Khurdādhbih. This book was published to meet the demands of the administrative geography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the Islamic empire by the time’s chief in charge of the post, communication, and intelligence who was also the boon-friend of the caliphs. This article scrutinizes the historicity of the elaborated list of the eleven items that came from “the sea east of China” and the origin of these items whether they came from Silla, elsewhere, or just imagined, by textual and conceptual approaches.
By analyzing the text, the author and his tendency, the purpose of the compile, data acquisition, distribution, modification and edition, this paper concluded that the list faithfully reflects the actual trade. However, the imports in the text look hardly believable as all of them came from Silla when we consider the frequencies and volumes for Silla in the book compared to ones for other places including China, the itineraries of Muslim sailors and the features of local items, the activity of the contemporary Silla merchants and the mutual exchanges between them and Muslims. Consequently, this paper concluded that not all of these goods came from Silla but seamen from the West collected the eleven commodities from multiple places in East Asia including Silla, China, and probably other places in the reg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