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를 위한 다기관 협업체계 및 정보공유에 대한 고찰 = Multi-center collaboration system and information sharing to protect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주제어
KDC
36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9-80(32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가정폭력은 가정폭력에 대응하는 다양한 정책이 수립・시행되고 있음에도 우리 사회에서 여전히 해결해야 할 심각한 사회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는 가정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매우 다양한 차원에서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어 어느 한 기관이 가정폭력에 대응한다고 하여 가정폭력을 예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가정폭력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사법기관, 가정폭력 관련 전문기관들이 서로 협업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협업체계는 지역별 예산, 인력, 가정폭력 관련 상담소・보호시설 등 인프라의 차이로 서로 다른 형태로 운영될 수밖에 없으며, 실제로 각 지역의 협업체계는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각 지역별로 서로 다른 형태의 협업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피해자가 지역을 이전하는 경우 피해자에 대한 보호・지원서비스가 서로 달라서 서비스가 연계되지 않거나 피해자에게 적절한 보호・지원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가정폭력에 대응하기 위해 운영되고 있는 다기관의 역할을 조정하고, 유기적인 연계를 주도하는 기관을 설정하여 각 지역에서 제공하는 피해자 보호・지원 서비스의 양적・질적 관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법체계를 고려하여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경찰 등 사법기관과 가정폭력 관련 전문기관들이 연계하여 경찰 등 사법기관은 가해자에 대한 수사와 처우에 집중하면서 각 지역별 전문기관과 협력하여 피해자 보호・지원정책을 수립・운영해야 할 것이다. 각 기관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가정폭력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가정폭력사건 및 피해자에 대한 정보도 공유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정보공유는 가정폭력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요건이 될 수 있지만, 피해자의 개인정보를 실수로 또는 무단으로 유출하는 경우 피해자에게 중대한 침해를 발생하게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정보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장치가 함께 마련되어야 한다.
더보기Domestic violence is still being rais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to be solved in our society, even though various policies to respond to domestic violence have been established and implemented. This is because the factors affecting domestic violence are working in a wide variety of dimensions, and domestic violence cannot be prevented just because one organization responds to it. Accordingly, in order to effectively respond to domestic violence,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judicial institutions, and domestic violence-related specialized agencies must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with each other. However, these collaboration systems are inevitably operated in different forms due to differences in infrastructure such as regional budgets, manpower, and domestic violence-related counseling centers and protection facilities. In Korea, different types of collaboration systems are operated for each region, and this means that when the victim relocates, the protection and support services for the victim are different, so the service is not linked or adequate protection and support are not provided to the victim. In order to respond to domestic violenc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roles of multi-centers in operation, establish organizations that lead organic links, and manag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victim protection and support services provided in each region. In consideration of the Korean legal system, judicial institutions such as the police and domestic violence-related specialized agencies are linked with local governments as the center, and judicial organizations such as the police focus on investigation and treatment of perpetrators, while cooperating with specialized agencies in each region to protect and support victims.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Information on domestic violence incidents and victims should also be shared in order for each agency to effectively respond to domestic violence by linking with each other organically. However, information sharing can be a requirement to effectively respond to domestic violence, but if the victim s personal information is accidentally or without permission, it may cause serious infringement to the victim, so a device that can protect the safety of information.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7 | 1.37 | 1.4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5 | 1.38 | 1.729 | 0.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