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내과입원 노인환자에서 우울증상의 양상에 대한 연구 = Symptom Patterns of Depressive Disorder in the Elderly Medical Inpatients - Focused on Major Depressive Disorder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9
작성언어
-주제어
KDC
51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74-183(10쪽)
제공처
소장기관
연구목적 : 우울장애는 노인에서 가장 흔한 질병으로 특히 내과적인 신체질환이 있을 때 우울증이 더욱 많다고 알려져 있다. 우울증이 있을 때 학습, 기억, 주의집중, 지각 등 인지기능에 변화가 나타나게 되고 치료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부적절하게 반응하며, 여러 사회적 환경에서 병들기 전의 능력을 회복하는 것이 힘들다는 것은 널리 인정되는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울장애의 진단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대한 후속연구로 내과에 입원한 65세 이상의 노인환자에서 주요우울장애를 감별할 수 있는 우울증상의 양상과 인지기능장애의 양상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시행되었던 HDRS와 MMSE의 하위 척도를 분석하였다. 방 법 : 한 종합병원의 일반내과 병동에 입원한 65세 이상의 노인환자 228명에 대해서 두 명의 정신과 전문의가 HDRS과 MMSE-K의 선별검사와 반 구조화된 면담도구를 이용한 정신과적 면담을 하였으며, DSM-Ⅳ를 기준으로 진단하였다. 결 과 : 연구대상환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평균연령은 72±5.06(SD)이었으며, 남자가 119명 여자가 109명이었다. 결혼상태를 보면 140명이 기혼상태였고 이혼이 2명, 별거가 1명, 사별이 85명이었다. 평균교육기간은 3.64±4.34(SD)로 교육을 전혀 받지 못한 사람이 133명이었다. 평균재원기간은 12.9±10.63(SD)일이었으며, 평균 2.98±1.73개의 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우울장애환자는 검사완료환자 228명중 69명(30%)이었으며 그중 주요우울장애는 16명(23%), 경우울장애는 53명(77%)이었으며, 내과입원 노인환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대한 비교에서 나이, 교육정도, 성별 및 결혼상태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여성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우울성향을 나타내었다. 각 군에서 호소하는 증상의 순위를 살펴보면, 대조군에서는 증상을 호소하는 순위가 체중감소, 일반적인 신체증상, 위장관증상, 중기 불면증, 신체적 불안, 우울증의 순이었고, 경우울장애군에서는 우울증과 일반적인 신체증상 및 위장관증상을 호소하였고, 신체적 불안, 체중감소, 작업과 흥미를 같은 순으로 호소했다. 주요우울장애군의 경우 우울증, 신체적 불안과 정신적 불안을 호소하였고, 위장관증상과 작업과 흥미를 같은 순위로 그리고 자살을 호소하였다. 세 군 사이의 HDRS점수는 대조군 3.96±3.00(SD), 경우울장애군 10.87±4.01(SD), 주요우울장애군 19.75±5.72(SD)로 서로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우울증의 양상을 보기 위해 하위척도를 살펴보면 우울증, 죄의식, 자살, 작업과 흥미, 정신운동지체, 정신적 및 신체적불안, 건강염려증에서 세 군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1), 초기 불면증(p<0.01) 및 중기 불면증(p<0.05), 위장관계통(p<0.01) 및 일반적 신체증상(p<0.05)은 대조군과 우울군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경우울장애군과 주요우울장애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말기 불면증, 초조, 병식결여의 항목에서는 주요우울장애군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1), 대조군과 경우울장애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생식기증상과 체중감소에서는 세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MSE-K점수를 비교한 결과 대조군 23.70±3.38(SD), 경우울장애군 23.41±3.17(SD), 주요우울장애군에서 20.00±4.13(SD)으로 대조군과 경우울장애군에서는 차이가 없고 주요우울장애군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1) 하위척도를 통해 살펴본 결과 시간에 대한 지남력, 주의집중과 계산(p<0.05) 및 언어영역(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내과입원 노인 주요 우울장애환자들은 우울과 불안을 주로 호소하나 신체적인 증상들도 많이 호소하는 특징이 있으며, 더불어 초조, 병식의 결여, 말기 불면, 주의집중의 저하, 시간-지남력의 손상과 언어기능의 손상이 다른 두 군과 차이를 보였다. 그러므로 노인 입원환자에서 우울증상과 더불어 초조, 불면(특히 말기불면), 피로, 집중력의 저하와 인지기능의 감소를 보일 때 자문의는 주요우울장애에 주의를 기울여야겠다.
더보기Objects : Depressive symptoms are common in the elderly medical inpatients. But depressive disorders are considerably underdiagnosed and undertreated. Especially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show cognitive impairments and do not respond adequately to medical treatment. The goal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what are the patterns of depressive symptoms of major depressive disorders which differentiate from minor depressive disorders in the elderly medical inpatients. Methods : A 4-month prospective study of 312 patients (65 years and older) was conducted in a general hospital. Depression was screened with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and cognitive function was screened with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 The subjects were diagnosed according to DSM-Ⅳ for depression. And according to DSM-Ⅳ diagnosis, HDRS and MMSE-K subscales were analysed. Results : In the 228 patients who were investigated, 16 (7%) patients were major depressive disorder, 53 (23%) were minor depressive disorder. Females were more depressed than male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hile the patients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complained of depression and anxiety, the control subjects complained of loss of body weight, somatic symptoms and somatic anxiety, and the minor depressive disorders shows mixed symptoms of the two. The complaining frequency of the somatic symptoms and somatic anxiety were similar among the three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three groups in terms of HDRS total scores. Among the three groups in terms of HDRS subscale scores all subscale scores except for the genital symptoms and body weight were significantly high in depressive disorders. Initial insomnia (p<0.01), middle insomnia (p<0.05), GI symptoms (p<0.01) and somatic symptomgeneral (p<0.05)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subjects and the depressive disorder group. The subscales of terminal insomnia, agitation and loss of insigh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minor depressives and major depressives (p<0.01), but no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subjects and the minor depressives. MMSE total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in major depressive disorders among the 3 groups. Comparing subscales of the three groups, significant correlation were found in time orientation, attention and calculation (p<0.05) and language (p<0.01). Conclusion : Major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in elderly medical inpatients chiefly complained of depression and anxiety, but they also complained somatic symptoms. If elderly medical inpatients complain of agitation, terminal insomnia, cognitive impairment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consultants will pay attention for the major depressive disorders. This study suggests that further systematic study is necessary for the recognition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the elderly medical inpatient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