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관음신앙의 불교사적 의의와 신라 海水觀音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주제어
KDC
9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35(31쪽)
제공처
관음신앙은 사람들의 온갖 바람을 실현해주는 신앙이다. 관음은 여러 유형의 경전 내용으로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현세적 신앙에 더하여 아미타불의 극락왕생 제도를 돕는 협시보살, 여러 가지 요청에 응하기 위해 32 또는 33가지 형태로 나타나는 변화신 등이 생겨났다. 그리고 관음이 일정한 곳에 항상 머물고 있다는 신앙이 『화엄경』에 수용되었다. 『법화경』을 토대로 한 현세구원적 관음신앙은 7세기 무렵에 가장 보편적인 신앙이 되어 다음 세상에서의 구제를 바라는 아미타신앙과 짝을 이루며 사람들에게 널리 환영받았다. 아들을 낳기 위해, 바다에 고기잡으러 나갔다가 소식이 끊긴 아들의 무사 귀환을 위해, 고치기 어려운 병을 낫기 위해, 눈먼 이가 광명을 얻기 위해 사람들은 진실한 마음으로 관음을 찾았다. 관음의 현실 구원을 더욱 구체화한 것이 관음보살이 이 땅에 직접 살고 있다는 眞身常住 신앙이다. 진신상주 신앙은 관음이 풍광 좋은 바닷가 바위에 앉아 신앙인들에게 바람을 성취해 준다는 설정으로 인도에서 시작하여 동아시아 각국이 자국에 관음도량을 설정하는 것으로 확대되었다. 신라에서는 洛山 관음도량을 개설하여 신앙인들의 순례길을 이끌었다. 낙산 관음도량은 義相이 7세기에 시작했다고 전승되어 9세기 梵日에 이르러 확인되고 이후 고려에서 더욱 왕성하게 전개되었다. 중국의 동해안 普陀山 관음도량은 9세기 중반 일본승 慧鍔의 개창으로 전승되었지만, 이미 7세기 중반 王勃이 보타산으로 부른 것처럼 그 유래는 더 이전으로 올라간다. 이들 모두 바닷가에 자리를 마련한 海水觀音들이다. 보타산 관음도량은 그 개창에 신라인들이 깊숙이 관여했다. 혜악의 개창에 신라 상인이 크게 도움을 주었고, 『고려도경』에서는 觀音像 봉안의 주인공을 혜악이 아닌 신라 상인이라고 밝혔다. 이런 기록들은 보타산 觀音院 개창에 신라인들의 역할이 적지 않게 작용했음을 입증한다. 보타산 관음원의 주 목적은 개창자들의 성격에서도 드러나듯이 黃海를 오가는 해상 안전의 도모였다. 이는 신라인들이 크게 활동하던 赤山 法華院의 신앙과도 상통한다. 그리고 이런 지향은 적산 법화원 활동의 토대를 열었던 張保皐 船團의 신앙 지향과도 다르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보기The belief of Avalokitesvara realizes all kinds of wishes of people. Avalokitesvara was developed in various types of canons. In addition to the help of this world, Avalokitesvara help Amitabha lead to purified world, and he appeared in 32 or 33 forms to respond to various requests. Moreover the belief that Avalokitesvara always stays in a certain place in this world was accepted in Gandhavyuha. Based on the Lotus Sutra, the secular Avalokitesvara belief became the most common belief around the 7th century in Silla. The Avalokitesvara belief was widely welcomed by people in the idea of realizing the wishes in the present world. To give birth to a son, to the safe return of fishing son in the sea, to open eyes who had blind, to heal a disease that was difficult to cure, people seeked for Avalokitesvara with a sincere heart to get over every problem. One aspect that helps Avalokitesvara is the belief of he lives in this land really. This Avalokitesvara’s residence belief began in India with the setting that Avalokitesvara sat on a scenic beach rock and achieved the wishes to the believers, and expanded to East Asian countries setting Avalokitesvara site in their own countries. In Silla, Naksan Avalokitesvara’s residence was opened to lead the pilgrimage route of believers. Naksan Avalokitesvara’s residence was began by Uisang in the 7th century, and was confirmed in Beomil in the 9th century, and later developed more vigorously in Goryeo. Avalokitesvara’s residence, Putuoshan on the east coast of China, was began in the mid-9th century with the Japanese monk Egaku, but its origin is expected to be longer in Tang poets. In the opening of Avalokitesvara’s residence in Putuoshan, Silla merchants greatly helped the opening of Egaku, and Goryeo Dogyeong revealed that the main character of the enshrinement of statue of Avalokitesvara was a Silla merchant, not Egaku. This prove that Silla peopl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opening of the Putuoshan Guanyinyuan. The main purpose of Putuoshan Guanyinyuan was to promote maritime safety in the Yellow Sea. This is also in line with the religious tendency of Jeoksan Beophwawon, where the Silla people were largely active. And this orientation will be no different from the belief orientation of the Jangbogo fleet, which opened the foundation for the activities of the Jeoksan Beophwawon.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