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良志의 국적과 활동 시기-아시아미술사의 맥락에서 본 ‘석장사지 탑상문전’을 중심으로- = Monk Yangji’s Nationality and Period of Activities
저자
소현숙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3-58(26쪽)
제공처
본 연구는 석장사지 출토 塔像文塼과 영묘사 관련 기록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해 양지 스님의 국적 및 활동 시기를 새롭게 고찰한 것이다.
석장사지 출토 탑상문전은 틀을 사용해 제작한 ‘模印泥像’에 속한다. 이런 제작법은 인도에서유래했으며, 7세기 후반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크게 유행했다. 석장사지의 탑상문전은형태, 기능, 화면의 구성과 형식 등에서 이 지역들의 모인니상과는 다른 신라만의 독창적 특징을갖고 있다. 그러므로 탑상문전을 제작한 양지는 서역이나 동남아 등지에서 온 외래인으로 보기 어렵다.
『三國遺事』는 양지가 선덕왕대에만 자취를 드러냈다고 했지만, 양지의 작품으로 전하는 석장사지와 사천왕사지 출토 유물은 그의 주요 활동시기가 7세기 후반임을 가리키고 있다. 본고는 기록과 유물의 모순을 영묘사의 중건과 관련해 해결하고자 했다. 즉, 문무왕 6년(666) 영묘사 화재로 大赦가 이루어졌고, 그 이듬해 大酺가 열렸다는 『三國史記』 기록에 주목, 양지가 영묘사 장육상을 조성한 시기는 창건기인 선덕왕대가 아니라 중창 불사가 이루어진 문무왕대로 추정했다.
This study examines the nationality and period of activities of Monk Yangji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of clay bricks depicting Buddhist images and stupas excavated from Seokjangsa Temple site in Gyeongju and records related to Yeongmyosa Temple.
The Buddhist-motif bricks excavated from Seokjangsa Temple were made using molds.
This technique originated in India and became popular in China, Japan, and Southeast Asia in the late-7th century. The clay bricks of Seokjangsa Temple have the uniqueness of Silla,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regions in terms of form, function, composition and format of the picture, etc. Therefore, Yangji, who made such clay bricks, cannot be seen as foreigners from the West or Southeast Asia.
Samguk Yusa recorded that Monk Yangji only showed traces during the reign of Queen Seondeok, but the relics excavated from Seokjangsa Temple and Sacheonwangsa Temple, which are said to be Yangji's works, indicate that his activities were in the late 7th century.
This study attempted to resolve the contradictions between records and relics in relation to the reconstruction of Yeongmyo Temple. In other words, this study noted the records of the Samguk Sagi that King Munmu pardoned prisoners after the Yeongmyosa Temple fire in 666, and hosted a large banquet the following year. Based on this records, I estimated that Yangji produced a clay Buddha statue of Yeongmyosa Temple, not during the period of Queen Seondeok, but during the period of King Munmu.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