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경주 미탄사지 삼층석탑의 구조와 특징 =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Mitansa Temple site, Gyeongju
저자
김지현 (동국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7-128(42쪽)
제공처
본 연구는 미탄사지 삼층석탑의 구조와 특징에 대한 검토이다. 미탄사지 삼층석탑에서 가장눈에 띄는 조형적 특징은 이전의 전형양식 석탑에서는 등장하지 않았던 3단 옥개받침과 1층 탑신부의 분할 구조이다. 경주지역의 석탑을 규모를 중심으로 ‘대형’, ‘중대형’, ‘중형’, ‘중소형’, ‘소형’의 5 가지로 분류했을 때 분할 구조는 대형 석탑에서만 나타나며, 중형 석탑으로는 미탄사지 삼층석탑이 유일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분할 구조는 미탄사지 삼층석탑의 특징적 요소라 할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특징적 현상은 미탄사지 삼층석탑이 월성 근처 도심에서 제작된 석탑에서 기인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坊里制에 의해 바둑판처럼 구축된 도로를 중심으로 구획된 坊 내에 석탑이 조성될 경우 탑재의 수급 및 운반에 문제가 발생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기단부를 제외하고 가장 큰 규모이자 옮기기 힘든 부분인 1층 탑신부에서 탑재를 분할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미탄사지 삼층석탑의 조영계획은 불국사 삼층석탑의 것을 토대로 변화·조성되었음 확인하였다. 이는 미탄사지 삼층석탑의 조성시기가 불국사 삼층석탑보다 늦은 시기임을 시사한다. 불국사삼층석탑의 설계방식을 활용한 석탑으로 8세기 말기의 경주 이거사지 삼층석탑, 8세기 말기~9세기 전기인 울산 영축사지 동서삼층석탑이 있다. 미탄사지 삼층석탑도 이 시기 즈음인 8세기 말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이 탑들은 미탄사지 삼층석탑과 지대석 규모가 13.0尺으로 동일한데, 미탄사지 삼층석탑이 이들보다 설계방식에 더 많은 수정을 가했던 것으로 확인된다. 그리고그 원인은 3단 옥개받침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거사지 삼층석탑과 울산 영축사지 동서삼층석탑은 5단의 옥개받침으로 제작되었다. 미탄사지 삼층석탑도 5단의 옥개받침으로 만들었다면 이들보다 설계방식을 더 수정하는 수고로움은 없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미탄사지 삼층석탑은 3단 옥개받침을 조성하였고, 3단 옥개받침의 옥개석과 이들 석탑과의 차이점은 앞서 언급했던 종분할 구조이다.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옥개석에서 종분할 구조를 보이는 예는 흔치 않으나, 국립경주박물관 옥외전시장에 있는 옥개석편에서 확인된다. 그런데 이 옥개석편은 종분할 구조뿐만 아니라 옥개받침도 3단을 갖추고 있어, 종분할 구조와3단 옥개받침은 관련성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짐작컨대 종분할로 인한 옥개받침의 맞댄이음의 연결 작업에 용이성을 위해 3단 옥개받침으로 제작하지 않았을까 생각해 보지만 이에 대해서는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a review on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Mitansa Temple site, Gyeongju. A conspicuous aspect of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in the Mitansa-ji (Mitan Temple Site) 3-Story Stone Pagoda is the division structure of 3-phase Okgaebatchim which supports the roof consist of layers and the body part of the pagoda in the first story that had not shown in the previous conventional stone pagodas. When classifying the stone pagodas in the Gyeongju region in 5 types of ‘large-scale’, ‘mid-to large scale’, ‘medium scale’, ‘mid-to small scale’ and ‘small scale’, the division structure appears only in the large-scale stone pagodas, and it is not an overstatement to say that the Mitansaji 3-Story Stone Pagoda is the only one of the medium-scale stone pagoda. Therefore, the division structure is considered a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Mitansa-ji 3-Story Stone Pagoda.
However, this type of characteristic phenomenon is highly likely to be caused by the stone pagoda produced in the city region around Wolseong for the Mitansa-ji 3-Story Stone Pagoda. In the event a stone pagoda is built within Bang that is zoned around the road structured like the ‘Go’ board by the Bang-Ri system, it is deemed to have the issues in supplying and transporting the pagoda materials and supplies. Accordingly, In the first story body part of the pagoda that is the largest size and most difficult to move other than the base part of the pagoda, it is assumed that the pagoda supplies and materials were divided.
It has been affirmed that the construction plan of the Mitansa-ji 3-Story Stone Pagoda was modified and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ose of 3-story stone pagoda of Bulguksa (Bulguk-Temple). This implies that the time to construct the Mitansa-ji 3-Story Stone Pagoda wa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3-story stone pagoda of Bulguk-sa (Bulguk-Temple) As the stone pagoda that facilitated the architectural method of 3-story stone pagoda of Bulguk-sa (Bulguk-Temple), there are Eageosa-ji (Eageo Temple Site) 3-story stone pagoda of Gyeongju at the end of 8th century, Youngchuksa-ji (Youngchuk Temple Site) East and West 3-story stone pagoda of Ulsan at the end of 8th century to early of 9th century. Mitansaji 3-Story Stone Pagoda is also estimated to be from around this time, at the end of the 8th century. These pagodas have the same scale for 13.0 cheok as the scale of the base stone scale for the Mitansa-ji 3-Story Stone Pagoda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Mitansa-ji 3-Story Stone Pagoda have much more revisions in the architectural design method than others. And, the cause is presumed to be attributable to the 3-phase Okgaebatchim.
The Eageosa-ji 3-story stone pagoda of Ulsan and Youngchuksa-ji East and West 3-story stone pagoda were produced by the 5-phase Okgaebatchim. If the Mitansa-ji 3-Story Stone Pagoda was made by the 5-phase Okgaebatchim, it would not require any further works to revise the design method from the earlier ones. Notwithstanding such fact, the Mitansaji 3-Story Stone Pagoda had the 3-phase Okgaebatchim, and the difference of the stone for top cover for the 3-phase Okgaebatchim and these stone pagodas is, as mentioned earlier, shown to be the longitudinal division structure. It is rare to find an example that display the longitudinal division structure in the stone for top cover in the stone pagodas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but it is confirmed in the stone for top cover in the outdoor exhibition premises of National Gyeongju Museum. However, this stone for top cover is equipped not only the longitudinal division structure but also the 3-phase Okgaebatchim that the longitudinal division structure and 3-phase Okgaebatchim may be considered with respective relative features. It may be conceivable to consider that it was produced by the 3-phase Okgaebatchim for easier connecting works of the joint of Okgaebatchim from the longitudinal division but further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