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국내 바이러스 검사 건강보험 행위 등재 및 수행 현황 = Current Statu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on Viral Tests in Korea
저자
Jeong Seri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Hallym University Kangnam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 Kim Chang Ki (Seoul Clinical Laboratories Academy, Yongin, Korea) ; Park Younhee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 Bang Hae In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 Sung Heungsup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 Yoo Soojin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anggye Paik Hospital, Seoul, Korea) ; Kim Hyun Soo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Hallym University Dongtan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Hwaseong, Korea) 연구자관계분석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39-347(9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배경: 바이러스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은 중요하다. 국내 진단검사의학과 검사실에서 실시되지 않는 바이러스 검사 항목중 국외에서 검사되거나 질병관리청에서 검사할 수 있는 항목에대한 현황을 조사하여 바이러스 검사에 대한 국내 건강보험요양급여비용 행위 등재 도입의 계기와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방법: 바이러스 검사 건강보험 행위 등재 현황에 대해서는 건강보험요양급여비용과 미국의 Current Procedural Terminology (CPT) 를 참고하여 정리하였다. 국내 검체검사전문수탁기관을 통한 국외재위탁 바이러스 검사 현황은 국내 주요 5개 검체검사전문수탁기관의 10년간(2013–2022년)의 해외 위탁 검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질병관리청에서 검사하고 있는 항목과 진단검사 방법은 질병관리청에서 발간한 감염병 신고 현황 연보와 법정감염병 진단검사 통합 지침을 참고하였다.
결과: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의 바이러스 검사 하부에는 검사원리별로 특수배양, 일반면역검사, 정밀면역검사, 면역형광법, 중화시험, 웨스턴블롯으로 분류된다. 분자검사법에 해당하는항목은 검사원리별로 핵산증폭, 핵산교잡, 염기서열분석을 포함한다. 미국 CPT 코드집은 미생물 검사 방법하에 바이러스 검사가 포함되어 있다. 국내 주요 검체검사전문수탁기관에서 해외 검사기관으로 의뢰한 검사와 질병관리청에 의뢰된 다빈도 바이러스 검사결과를 토대로 수가 신설이 제안된 검사 항목은 홍역 분자검사법, A형 간염, 일본뇌염, 아데노바이러스 및 엔테로바이러스 형(type) 에 대한 분자검사법과 뎅기바이러스 감염증 항원검사였다.
결론: 국내 바이러스 검사 건강보험 행위 등재 및 수행 현황 자료와 제안이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진단 및 관리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Background: Rapid and accurate diagnosis of viruses is importa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viral tests that could be performed overseas or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to provide a basis for the introduction of viral tests into the Korean health insurance service.
Methods: We summari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health insurance service for viral tests by referring to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llowance of medical care and the Current Procedural Terminology (CPT) in the USA. We analyzed the status of viral tests performed overseas from the 10-year (2013–2022) data of five major Korean referral laboratories. The items tested by KCDC were based on the annual reports and the integrated guidelines for diagnostic testing published by KCDC.
Results: According to the viral tests in the health insurance service, special cultures, immunological, immunofluorescence, and western blotbased tests could be listed. The molecular tests included nucleic acid amplification and hybridization as well as sequencing. In the CPT coding system, the viral tests were included under each microbiological test method. Based on the high-frequency virus tests performed overseas and by KCDC, the proposed tests included molecular assays for measles, hepatitis A, Japanese encephalitis, adenoviruses, and enterovirus types as well as antigen tests for dengue virus infection.
Conclusions: The hereby presented data and suggestions on the current status of health insurance service of virus testing in Korea would be potentially helpful in viral infec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