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철학적 예술세계론과 예술사회학 = 단토, 디키, 울프를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59-193(35쪽)
KCI 피인용횟수
7
제공처
이 논문의 목적은 분석철학자들인 단토와 디키의 예술세계론을 영국의 사회학자 울프의 사회학적 미학이론과 비교하는 것이다 단토와 디키의 예술세계론은 예술의 정의나 본질을 해명하기 위한 철학적 노력의 일환이다. 단토의 의미에서 예술세계는 하나의 사회적 제도라기보다는 가상적 세계이고 언술적 세계다. 이에 반해 디키는 예술의 정의나, 예술 작품의 식별을 예술 자체의 특질이나 본질로 정의하기보다는 예술세계라는 사회제도에 의해 규정되는 것으로 보았다는 점에서 단토보다 더 사회학적이다. 울프는 맑스주의적 시각에서 예술적 작업을 다른 자유로운 노동, 예컨대 과학이나 사상, 신앙이나 윤리, 철학과 구분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본다. 다만 미학적 가치는 정치적, 도덕적 가치로 환원될 수 없는 어떤 특수성을 가졌다는 점에서 다를 뿐이다. 이 예술의 특수성을 밝히는 것이 예술사회학의 주요 과제 가운데 하나인데, 그것은 미학적 경험의 사회적, 역사적 조건을 인정하고 탐구하는 사회학적 미학에 의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후의 저작에서는 미학적 가치가 예술 공동체에서의 대화와 의사소통을 통해서 협상된다는 미학적 담론이론을 전개함으로써 단토와 본질적으로 유사한, 그러나 사회학적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간 이론을 제시한다. 즉 단토는 철학적 미학의 울타리 내에서 예술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고, 울프는 사회학적 미학에서 예술의 철학적 문제를 해명하려는 것이다. 미학과 사회학의 만남은 역사적으로 필연적인 만남이다. 그 결과가 아직 분명한 것은 아니지만 오늘날처럼 일상생활의 미학화가 급속도로 진행된다면, 결국은 미학이 종말을 고하고 예술사회학이 그것을 대체하는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는 예측도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더보기The purpose of thes paper is to compare the theories of artworld by analytic philosophers, Danto and Dickie, with Wolffs sociological aesthetics Danto Dickers’s theories of artworld are philosophical attempts to address athe definition and nature of art An artworld in Danto’s sense is an imagined and discursive world, while Dicket defines it as a social institution On the other hand, wolff, from the Marxist perspective, treats artistic work same as other free labor such as science, thoughts, faith, ethics and philosophy Only difference between them is that aesthetic values have certain specific qualities that can not be reduced to political or moral values It is one of the major tasks for the sociology of art to specify these qualities unique to the aesthetic values, which, according to Wolff, is only possible by sociological aesthetics that recognizes and investigates social and historical conditions of aesthetic experience In her later work, Wolff proposes a theory of aesthetic discourse that aesthetic values are negotiated through dialogues and communications in an art community, which is similar to Danto’s theory, but sociologically advances one step further Danto tries to approach the art sociologically within the purview of philosophical aesthetics, while wolff attempts to address philosophical problems of the art whin the boundary of sociological aesthetics The meeting between aesthetics and sociology is historically inevitable It is too soon to speculate what the consequences of the encounter would be But it is at least possible to predict that aesthetics will eventually demise and the sociology of art will replace it if the present rapid phase of aestheticization of everyday life will continue.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7 | 0.97 | 1.2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2 | 1.07 | 2.101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