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극장 밖으로 나간 커뮤니티 연극의 실천적 사례 - 월월축제: 마을공간과 스토리텔링의 융합을 통한 공감공동체를 향하여 = A Case of Community Theatre beyond Theatre - Wol-Wall Festival - Storytelling in Village Space towards Empathetic Communi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7-74(38쪽)
KCI 피인용횟수
5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월월축제는 필자가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성북구 북정마을에서 기획하고 실행했던 마을 축제이다. 월월(越-Wall) 이라는 제목은 계층과 계층사이, 세대와 세대 사이, 예술과 일상생활의 사이를 “뛰어넘다”라는 의미를 로서 축제는 세가지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첫째, 관청, 대학, 예술가, 주민들 사이의 창조적 파트너쉽 구축, 둘째, 예술교육을 통한 주민들의 창의적인 활동, 셋째, 이웃의 역사를 새롭게 바라봄으로써 세대간의 벽을 뛰어넘는 것이었다. 월월축제 2009: “달빛스케치”: 일상의 공간, 축제의 공간첫해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주민이 아닌 예술가들의 재능기부를 요청했다. 목표는 동네의 아름다운 자연과 역사에 새로운 빛을 비추는 것”으로 잡고 “이웃의 삶에 대한 회고”를 하는 것이었다.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 위원회는 전문 사진작가들의 도움을 받아서 이웃들의 삶과 일상의 공간들을 새롭게 조명해서 사진 전시를 했다. 또한 주민들은 다양한 예술을 경험하도록 했으며 학생들은 자신들이 공부하는 예술이 어떻게 사회적인 활동으로 펼쳐질 수 있는 지 깨닫도록 했다. 월월축제 2010: “별빛멜로디”: 배우고, 놀며, 주인공되기 두 번째 해는 주민들을 축제의 주인공으로 세우는 목표를 세우고 두 방향을 설정했다. 첫째, 주민들이 평소에 누릴 수 없었던 예술을 경험하게 해주고 예술 교육을 통해서 새로운 즐거움을 찾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주민들을 위해서 사진 교실과 무용강습을 열어서 창작의 즐거움을 찾고 서로가 하나되는 경험을 찾도록 했다. 그리고 연극학과 학생들이 주민들을 인터뷰해서 그들의 시대와 삶을 기록하고 그를 바탕으로 연극이나 영화 대본을 구성하도록 했다. 월월축제 2011: “노을빛 하모니” 역사적 공간, 이야기의 유산2011년의 세번째 축제는 정치적 상황에 따라 북정마을 중심의 장소를 산아래 성북동으로 옮기고 기존의 의미있는 장소들을 활용해서 “특정공간 공연”, 북정마을의 일상공간을 새롭게 공연공간으로 찾아내는 “발견공간 공연”을 올림으로써 각 장소의 독창성과 역사적 맥락을 부각시켰다. 한편 마을주민들이 직업 연극인들과 공연을 함께 만드는 과정에서 자신들의 삶을 회고하며 공동창작을 했는데 이는 디바이징 씨어터 개념을 실천에 옮긴 것이다. 월월축제의 연극 공연들은 마을 주민들과 함께 만들어져 마을 공간에서 공연하는 전형적인 커뮤니티 연극으로서 마을과 극장의 벽을 허물고 예술가의 생각과 일반인들의 생활의 벽을 뛰어넘게 하는 효과가 있었다. 이와 같은 시도가 우리 연극인 들이 영원히 신뢰하는 모토, 즉, “인생은 연극, 세상은 무대, 우리는 배우 (테아트룸 문디)” 사상으로의 초대이자영감을 주는 사례이기를 희망한다.
더보기Wol-Wall Festival was run by me from 2009 to 2011 in Sungbuk-gu. Wol-Wall means “to leap over” aiming to transcend the wall between the arts and everyday life. There were three goals of Wol-Wall. First, establishing a creative partnership between the local government, university, artists, and residents. Second, highligh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and involving the residents in creative activities through arts education. Third, revitalizing the history of the neighborhood to develop new cultural contents and transcend the wall between generations. Wol-Wall Festival 2009, “Moonlight Sketch”: Everyday Space, Festive Space The first festival in 2009 was held with the title “Moonlight Sketch” in Bukjeong Village. The goal was set as, “seeing in a new light the natural and historical beauty of the neighborhood,” and “reminiscing the lives of the neighbors.” To achieve this goal, the committee considered three sets of activities. First, to visualize the natural and historical beauty of the neighborhood, two professional photographers documented the houses and residents. Residents saw how their lives could be the focus of and fodder for cultural and educational activities. Students had the chance to apply and expand their technical art education for public service. Wol-Wall Festival 2010: “Starlight Melody”: Study, Play, Be the Hero The second year of the festival set as its goal to emphasize the residents as main characters of the festival. For that purpose, the committee pursued two directions: to introduce the residents to cultural experiences they normally do not get to enjoy, and to teach them the joy of creative activities through arts education. Wol-Wall Festival 2011: “Sunset Harmony”: Historic Space and Heritage Story The 2011 Festival required many drastic changes due to political and financial changes brought on by a newly elected major. For those reasons, we moved out of the neighborhood and to hold most of the festival programs outside of Bukjeong Village. 1) those listed on Seoul`s list of historic sites, 2) ordinary spaces, and 3) new public structures constructed for specific purposes were considered for festival grounds. The performance space, creative process, and content and format of these performances make them notable for their practice of the tradition of community theatre. The process allowed residents to pitch their own ideas, to reminisce their own lives affording an opportunity to practice collaborative creation, or more specifically devising (or devised) theatre. The ultimate goal was to let the residents experience and experiment with theatre by making it transcend the walls of the stage sharing the beauty and the meaning of the neighborhood and the lives of the people. I hope that this could be an inspiration for and an invitation to the spirit of the eternal motto, “Life is theatre, rld is the stage, and we are the actors (Theatrum Mundi)”.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7-05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연극학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4 | 0.34 | 0.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6 | 0.34 | 0.825 | 0.0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