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중 상대량(相对量) 표현에서의 공간 은유 표현 대조 =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Metaphorical Expressions for Spatial Orientation in the Relative Quantity Categor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53-289(37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In Korean and Chinese, expressions denoting quantity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which may be described as “expressions of quantities larger or smaller than the base value” and “expressions of quantities that fluctuates around the base value”. In both languages, most of those two usages take the form of metaphorical expressions of the container and orientational schemas.
For expressions of quantities larger or smaller than the base value, Korean and Chinese show similarity between expressions of the container and orietiantional schemas, which usually take symmetrical forms in both languages. There are two such types of expressions of the container schema. First, expressions in whic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are significant, such as “이외[i-oe]/이내[i-nae]” and “以外[yiwai]/以内[yinei]”, “밖[bakk]/안[an]”, “외[oe]/내[nae]” and “外[wai]/內[nei]”, “开外[kaiwai]”; the others are expressions in which the container boundary is significant, such as “만[man]” and “滿[man]”, “미만[mi-man]” and “未满[weiman]/不满[buman]”. Both languages are also similar in orientational expressions such as “이상[i-sang]/이하[i-ha]” and “以上[yishang]/以下[yixia]”, “위[wi]-아래[a-rae]” and “上[shang]/下[xia]”. This article analyz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usage of these counterpart spatial metaphorical expressions in the two languages, when they occur with expressions of material quantity, amounts of substance, spatial quantity, time capacity, amounts of behavior and degrees.
Korean and Chinese are different in spatial metaphorical expressions of quantities larger or smaller than the base value. In Korean, there are metaphorical expressions of the container schema, such as “내외[na-eoe]” and “안팎[an-bakk]”. However, there are no corresponding expressions in Chinese. The major orientational metaphorical expression in Korean is “전후[jeon-hu]” referring to front or back, and in Chinese the counterparts are represented as “左右[zuoyou]”, which means “left and right”, and “上下[shangxia]”, which means “up and down”.
This article analyzes whether or not these abovementioned expressions can occur with expressions of material quantity, amounts of substance, spatial quantity, time capacity, amounts of behavior and degrees. This paper claims that language contact can account for similarities in spatial metaphorical expressions in both languages, whereas uniqueness in people’s ways of thinking can help us interpret the differences. The present comparative study can prove significant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for Chinese students, as well as teaching and learning of Chinese for Koreans.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어떤 수량을 기준으로 하는 상대량(相对量) 표현은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하나는 ‘기준 수량보다 많거나 적은 경우의 언어 표현’이고 다른 하나는 ‘기준 수량보다 많든 적든 불확정한 경우의 언어 표현’이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이러한 상대량(相对量) 표현은 대부분 그릇 도식 표현과 방향 도식 표현으로 나타난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기준 수량보다 많거나 적은 경우에서의 표현’에는 그릇 도식 표현과 방향 도식 표현이 있다. 이런 표현은 흔히 대칭적인 존재로 나타난다. 그릇 도식 표현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그릇의 내부와 외부에 있는 것인데, 예를 들면, ‘이외/이내’와 ‘以外/以内’,‘밖/안’, ‘외/내’와 ‘外/內’,그리도 ‘开外’가 있다. 또 하나는 그릇의 경계에 못 미치는 것과 그릇의 경계에 미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만’과 ‘满’,‘미만’과‘未满/不满’등이 그것이다. 두 언어에서 같은 방향 도식 은유 표현은 ‘이상/이하’와 ‘以上/以下’,‘위/아래’와 ‘上/下’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중 두 언어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는 것처럼 보이는 공간 은유 표현들이 제각기 물량, 공간량, 시간량, 행위량, 등급량 표현과 어울릴 때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한·중 두 언어에서 ‘기준 수량보다 많든 적든 불확정한 경우의 언어 표현’에서 쓰이는 공간 은유 표현은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 한국어에서 쓰이는 그릇 도식 표현은 ‘내외’와 ‘안팎’이지만 중국어에는 이런 그릇 도식 표현이 없다. 한국어에서 쓰이는 방향 도식 표현은 주로 앞과 뒤를 표시하는 ‘전후’지만 중국어에서 쓰인 방향 도식 표현은 왼쪽과 오른쪽을 표시하는 ‘左右’와 위와 아래를 표시하는 ‘上下’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표현들이 물량, 공간량, 시간량, 행위량, 정도량, 등급량 표현과 함께 쓰일 수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같은 공간 은유 상대량(相对量) 표현이 쓰이는 것은 언어의 접촉(language contact)에 의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보고 다른 공간 은유 상대량(相对量) 표현이 쓰이는 것은 한국 사람과 중국 사람들의 사유 방식이나 언어적인 습관의 차이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두 언어에서 나타나는 그릇 도식 표현과 방향 도식 표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작업은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교수-학습, 한국어권 학습자의 중국어 교수-학습과 같은 제2언어의 학습과 교수에도 일정한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4-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6 | 0.96 | 0.8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7 | 0.91 | 1.378 | 0.3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