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일제초기 일본인의 사회적 존재형태와 토지소유관계 : 삼랑진 지역 사례 = The Modes of Living and the Forms of Landownership of the Japanese under the Early Japanese Colonial Rule : A Case Study on Samlangjin
저자
최원규 (부산대학교 사학과)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Center for Korea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05.00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3-135(63쪽)
제공처
소장기관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no analyze the modes of living and the forms of landownership of the Japanese's who resided in Samlangjin, the key point of waterway and railroad traffics by the crossing of the Nakdong River and the Milling River, and the Gayangbu line and the Mason line.
The Japanese entered in Samlangjin in earnest with the opening of the Gyeongbu line in 1905. they occupied a lot, built up a town, and run a farm around Samlangjin station(Songjili). On the other hand, most Chosen people lived and worked around Nakdong River station. The former mainly dealt in goods for the Japanese, while the latter did Korean goods and imported cotton goods.
Looking an Japanese occupation, 20-30 percent of the Japanese engaged in agriculture and same percent worked as managers and railroad worker. Except for that, they worked in the various fields of commerce, engineering, a service industry, agriculture. Although they were from a master race, There were non a few the lower laborer and a penny and poor farmer.
Most cultivated lands were fields. A vegetable, a mulberry tree, and a fruit tree as well as a been and a barley were widely cultivated in these field. Cash crops were mainly cultivated by Japanese independent farmers.
Looking an the possessive relations of land, the Japanese owned many lands in Songjili, while The Korean in Samlangli. Sun, most regions around stations was owned by Pajama and Korea Development Company, and others. There were so many absentee landlords in Samlangjin, but there were also many independent farmers and penny farmers as compared with other. Most Korean landowners were local people. There were few large landowners, bun many independent farmers. Sun the majority of Korean people were poor farmers or people who didn't have land.
A decrease in population of the Japanese showed that Japanese imperialism abandoned a colonial policy for a permanent settlement of Japanese. The last measure was no make the Korean assimilate no the Japanes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