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백제 근초고왕대 移都漢山 기사의 해석과 그 의미 = Analysis of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Hansan (移都漢山) and its meaning in Geunchogo-king(近肖古王) of Baekje(百濟)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5
작성언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7-72(36쪽)
KCI 피인용횟수
5
제공처
소장기관
Hansan(漢山), which was referred as the new capital of Baekje(百濟) in the period of Geunchogo-king(近肖古王), was used as the capital until the basin of Hangang(漢江) was occupied by Goguryu(高句麗). Hanseong(漢城) was the castle where the king lived. And Hansan was the area which included Hanseong when considering that the name of Hanseong came from Hansan. In addition to Hansan, Wereyi was connected with the capital of Baekje, too. But Wereyi was not same as Hansan. And Hansan was used widely to the capital's title more than Wereyi aft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Hansan’(移都漢山) was referred. There were Hansan and Wereyi at the same time. And regionally, Hansan was located in the center of Wereyi.
Originally, Hansan was the holy area of Chogo-lineage(肖古系). Geunchogo- king(近肖古王) of Chogo-lineage(肖古系) raised Hansan to the nation's holy area and then, he professed the transfer of the capital. He purposed to justice of succession to the throne for professing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Hansan‘ for his succession was unusually. In this process, Hansan had been focused as the capital since the period of Onjo-king(溫祚王). However, Hansan was located in the center of Wereyi, traditional center of Baekje. So,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Hansan’ meant that Hansan was decided as the capital.
Organizing the center area was urgent for subordinating the nobles of former chief-class to the royal authority as well as establishing a unified ruling system. Therefore Geunchogo-king set up 'Bu'(部) in the capital and revised administrative districts. In addition, he had established an aristocracy under the royal authority by means of reversion of the nobles' military, compilation of Seogi(書記), diplomatic relations of Dongsin(東晋). This ruling system established around the period of Chimryu-king(枕流王) was based on the settlement of the capital, Hansan and its organization.
근초고왕 때의 천도지로 전하는 한산은 고구려에 의해 한강유역이 함락될 때까지 백제의 王都로 이용되었다. 한산에서 한성이라는 명칭이 파생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한성은 王城이며, 한산은 이를 포함하는 지역적 범주였다. 한산 이외에도 위례 역시 백제의 중심지와 관련이 있다. 그러나, 위례와 한산은 동일지역이 아니며, '移都漢山'이 거론된 이후 왕도의 명칭으로서 한산이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 한산과 위례는 동시대에 존재했던 지명이며, 지역적 관계로 볼 때, 한산은 위례의 중앙에 위치해 있었다.한산은 원래 초고계의 신성지인데, 초고계와 연결된 근초고왕은 한산을 국가 전체의 신성지로 격상시키면서 천도를 표방했다. 근초고왕은 비정상적인 방법을 통해 즉위했기 때문에 '이도한산'을 표방함으로서 왕위계승의 정당성을 확보하려 했던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한산은 온조왕 이래의 도읍지로 강조되기도 했다. 다만, 한산은 백제의 전통적 중심지였던 위례 내부에 위치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도한산'의 기사는 한산을 왕도로 확정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과거 수장층 출신의 귀족을 국왕권 아래에 편입시키면서 일원적 통치체제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중앙에 대한 편제가 시급했다. 왕도에 '부'를 설치하여 행정구역을 정비한 것은 바로 이런 목표에서 추진되었다. 이와 함께 근초고왕은 귀족의 군사력 흡수, 『서기』의 편찬, 동진과의 외교교섭 등을 통해 왕권 중심의 귀족국가체제를 확립해 갔다. 한산의 왕도확정과 정비는 침류왕 때를 전후해 완비된 통치체제의 토대가 되었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7-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9 | 1.69 | 1.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4 | 1.57 | 3.463 | 0.1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