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북한 미술의 유의미한 담론 구성을 위한 제언 - 웃음 코드를 중심으로 - = Suggestions for constructing meaningful discourse in North Korean art -Focusing on Laughter Cod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KDC
920.0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99-239(41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Suggestions for constructing meaningful discourse in North Korean art -Focusing on Laughter Code
So-Young Lee ‧ Joo-Young Lee
In the midst of severe constraints and censorship, North Korean artists have created a highly trained depiction to emotionally persuade the ideology of Juche aesthetics, creating originality that does not belong to any genre of contemporary art. This article focuses on the laughing code that is used as an optimized tool of Juche aesthetics while for North Korean artists seeking its own way and overcoming the formal limitations of Chosun painting. I will examine the three codes that are mediated laughter, namely, 1) de-authoritarian and critical laughter against hypocrisy and deception, 2) laughter in which fantasy coexists, and 3) laughter in emotional politics. This will be followed by the analysis of the implications of laughter in North Korean art, and the function of art as a regime propaganda. This will be cross-examined with the discourses and expressions of laughter that are being addressed in contemporary art.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paper aims to suggest the conditions of discourse for a balanced evaluation of North Korean art.
Despite North Korean society being closed, art is a powerful medium that breaks the wall of disconnected time. This paper argues that North Korean art should be translated into another version. This is because, even if North Korea's art is a political means externally, it cannot be equated with the meaning of the work. It is the art that the spiritual world and the physical world are linked to form a dynamic form of life. Therefore, existing studies that have limited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art to closed society should be interpreted on ex post facto. Cultural bargaining is possible when the culture is competing in a fluid state without involving or absorbing either side. In addition, if it is not a prejudice or a sense of heterogeneity, but a sense of understanding and embracing of the North Korean culture, the difference in cultural identity will lead to a step toward reflection into a rich and diverse Korean society.
북한의 미술가들은 심한 제약과 검열 속에서도 주체미학의 사상성을 정서적으로 설득시킬 수 있을 만큼 고도로 훈련된 묘사력을 갖추어 현대 미술의 어느 장르에도 속하지 않는 독창성을 만들어 내었다. 이 글은 조선화의 제한된 형식적 한계를 극복하며 독자적 양상을 모색하는 가운데 주체미학의 최적화된 도구로 사용하고 있는 웃음에 담긴 코드에 주목하고자 한다. 웃음으로 매개된 세 가지 코드, 즉 1)위선과 기만에 대한 탈-권위적‧ 비판적 웃음, 2)환상성이 공존하는 웃음, 3)감성 정치 속의 웃음을 검토한다. 북한 미술에서 웃음에 내포된 의미, 체제선전 전략으로서 예술의 기능 분석이 이어진다. 이는 동시대의 미술에서 다뤄지고 있는 웃음에 대한 담론 및 표현방식들과 교차 분석될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논문은 북한 미술에 대한 균형 잡힌 평가를 위한 담론의 조건을 제시하고자 한다.
북한 사회가 폐쇄되어 있음에도 예술은 단절된 시간의 장벽을 허물 수 있는 유력한 매개체가 될 수 있다. 이 글은 북한 미술을 또 다른 버전으로 번역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주장한다. 왜냐하면 북한식 예술이 외형상 정치적 수단이라고 할지라도 그 내면까지 온전히 동일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정신세계와 물리세계가 연결되어 역동적 삶의 형식을 구현하는 것이 예술이다. 그러므로 북한 미술의 특성을 사회적 폐쇄성에 한정하여 논의해 온 기존의 연구들은 사후적 해석 방법의 도입이 필요하다. 그러할 때 문화를 어느 한쪽으로 포섭하거나 흡수하지 않고 유동적인 상태로 경합하게 만드는 노정 위에서 도래할 문화 교섭의 가능성이 열릴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생경해져 버린 북한 문화에 대하여 편견이나 이질감이 아닌 이해와 포용의 관점이 동반된다면, 문화 정체성의 차이를 통해 풍요로움과 다양성을 담보한 민족사회로의 성찰로 한 걸음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12-2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서양문화사학회 -> 한국세계문화사학회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Western Civilization -> Korea Association of World History and Culture | KCI등재 |
2018-12-2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서양 역사와 문화 연구 ->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Western History and Culture -> World History and Culture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12-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서양사학연구 -> 서양 역사와 문화 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Western History -> Journal of Western History and Culture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 | 0.3 | 0.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2 | 0.29 | 0.671 | 0.0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