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고등학교 경쟁률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환경에 대한 공간적 분석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e School Choice Program aims to provide students and parents with the opportunity to choose a school and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through competition between schools. However, a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onditions change, it needs to be supplemented. Most parents consider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as well as the school's reputati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an important criterion for choosing a place to live. The decrease in school-age population due to low birth rate promotes the movement of residence to a place with good educational environment. Urban spaces are clustered according to real estate, financial assets, and residential forms, and spatial cohesion is systematically structured. This spatial gap makes another difference. In addition, a decrease in school age population will reduce the size of all schools. In particular, it will alienate the less-favored schools, cause a gap in the number of students and classes between schools, and reduce the quality of education. This will create a negative perception that schools with a small number of students and classes can adversely affect college admissions performance. This negative reputation has the potential for a vicious cycle that continues to alienate schools of low preference. Therefore, when students and parents choose a school, looking at what factors to consider and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school selection can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policy making.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round the school using population data. Under the School Choice Program, students and parents applying to the General Education High Schools in Seoul are analyzed for school selection criteria. It also analyzes the impact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cities on the high school competition rat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as divided into internal and external school factors,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the impact of external school factors on the high school competition rate. To this end, five years (2008, 2009, 2010, 2014, 2018) were analyzed by merging population data, School Announcement Data, and National Spatial Data in Seou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distance to school for the General Education High Schools in Seoul, the distance to school went up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School Choice Program. However, in 2018, eight year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School Choice Program, it was showing a return to school distance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hoice Program. Also, the pattern of high school selection chang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group and school location to which the student belongs. This means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distance to school that can take the inconvenience of attending school during the school selection process.
    Second, school distance, school competition rat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facto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between school groups. Spatial analysis of school competi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Heterogeneous characteristics in space appeared locally. As a result of school unit analysis, the school competition rate was affected by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se results may be more of a problem with the school location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urrounding the school than with the school itself.
    Third, the competition rate of schools was influenced by internal and external school factors. The school development fund,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enrolled students, and the revitalization of after-school programs increased the school's competition rate. This is because it is expected to inspire children's learning motives and achieve good results in educational performance. Schools with high access ratios had a high school competition. This is interpreted as a large number of applicants from other school districts reside at the border of the school group, reducing the inconvenience of school distance compared to the benefits of school selection.
    This study revealed the school selection criteria for students and parents who applied to the General Education High Schools in Seoul under the School Choice Program using the population data in Seoul.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the effect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n the high school competition rate. The factors of school distanc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were different for each region. The spatial gap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ill affect not only regional gaps, but also the size of non-preferred schools. This can also negatively affect the quality of education. This is not a school problem, but a regional gap. In order to develop regional balance, a policy that takes into account school group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is necessary. It is clear that the number of school-age populations will decrease in the future, reducing the size of all schools. As a result, schools with low competitive rates are inevitably widening the gap between students and classes. Therefore,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MOE) and the local governments need active efforts to close the gap between schools as well as the gap between schools and regional districts.

    더보기

    학교선택제는 학생과 학부모에게 진학하고자 하는 학교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고, 학교선택이라는 방식으로 학교 간 경쟁을 통해서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시행되었다. 하지만, 교육환경여건이 변화하면서 보완이 필요한 시점에 이르렀다. 대부분의 학부모들은 학교선택기준으로 학교 교육의 질은 물론이고 학교의 평판 등을 고려한다. 거주지 이동 결정과정에서 교육환경이 거주지 선택의 중요기준이 되기 때문에 저출산에 의한 학령인구 감소는 교육환경이 좋은 곳으로 거주의 이동을 쉽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거주지 이동으로 도시 공간은 부동산, 금융 자산, 그리고 주거형태에 따라 클러스터 되어 공간적 응집 현상이 체계적으로 구조화되어 있으며, 이러한 공간적 격차는 또다른 차이의 인과 기제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학령인구의 감소는 모든 학교의 규모룰 축소시킬 것이며, 특히 선호도 낮은 학교들을 소외시키면서 학교간 학생·학급 수의 격차를 야기하며 교육의 질을 하락시킬 것이다. 이렇게 되면 학생·학급 수가 적은 학교의 경우 대학 입시 실적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부정적인 인식이 형성될 것이고 부정적 평판으로 인해 낮은 선호도의 학교는 계속 소외되는 악순환이 반복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학생과 학부모가 학교를 선택할 때 주요 선택 기준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학교선택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은 차후 정책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 연구는 배정결과에 대한 전수자료를 통해서 기존 선행연구들이 잘 다루지 않았던 학교주변의 교육환경을 학교선택기준의 관점에서 실증분석하였다. 고교선택제하에서 서울시 교육감선발 후기고등학교에 지원하는 학생과 학부모들의 학교선택기준과 도시에서의 교육환경이 고등학교 경쟁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교육감선발 후기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거주지 학교군 및 타 학교군 소재 고등학교를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교육환경을 학교내적요인과 학교외적요인으로 구분하여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학교외적요인이 경쟁률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춰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5개년도(2008, 2009, 2010, 2014, 2018학년) 전수자료인 서울시 배정자료와 학교알리미자료, 국가공간정보자료를 병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교육감선발 후기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통학거리를 측정해 본 결과, 고교선택제 시행직후 통학거리는 상승하였으나, 고교선택제 시행 8년이 지난 2018년에는 일부 학교군을 제외하면, 고교선택제 시행 이전의 통학거리로 회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학교 선택 과정에서 거주지 학교군 및 타 학교군 소재 고등학교 선택 여부는 학생이 소속된 학교군과 입지의 특성에 따라 다른 선택양상을 보였다. 이는 학교선택과정에서 통학의 불편함을 감수할 수 있는 통학거리의 한계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둘째, 학교선택과정에서 학교군간 그룹의 특성에 따라 통학거리, 학교 경쟁률 및 교육환경요인들은 그룹간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경쟁률에 관한 공간분석결과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국지적으로는 공간상 이질적인 특성이 나타났는데, 학교단위 분석을 통해서 학교 경쟁률이 교육환경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러한 학교선택과정에서 발생되는 학교 경쟁률의 결과들은 학교자체의 문제라기 보다는 학교를 둘러싼 학교입지와 교육환경에 관한 문제일 수 있다.
    셋째, 학교 경쟁률은 학교내적요인과 학교외적요인들에 영향을 받았다. 학교발전기금, 전출학생수의 감소, 방과후학교프로그램의 활성화는 자녀들의 학습 동기를 고취시켜서 교육 성과에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기 때문에 학교 경쟁률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판단된다. 접근성비율이 높은 학교는 타학교군에서 지원하는 외부유입으로 인하여 학교 경쟁률이 높아지고 있었다. 이는 타학교군 지원자의 상당수가 학교군 경계에서 거주하여 통학거리가 주는 불편함보다 학교선택으로 인한 편익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전수자료인 서울시 배정데이타를 이용하여 고교선택제하에서 서울시 교육감선발 후기고등학교에 지원하는 학생과 학부모들의 학교선택기준과 교육환경이 고등학교 경쟁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통학거리 및 교육환경 요소들은 지역별로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어, 학교군 및 지역 특성을 고려한 정책이 필요함을 생각해볼 수 있다. 교육환경의 공간적 격차는 지역 격차뿐 아니라 비선호 학교의 규모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교육의 질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원거리 통학의 불리함에도 학생과 학부모들이 타 학교군의 고등학교를 선택하고자 하는 것은 학교의 문제가 아닌 지역 격차의 문제이며, 지역의 균형 발전을 위해서도 결코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이다. 앞으로 학령인구 수 자체가 감소하여 모든 학교의 규모가 축소될 것이 명확하기에 소외되는 선호도 낮은 학교들의 학생·학급 수의 격차가 커질 수 밖에 없다는 점이 문제가 될 것이다. 따라서 서울시교육청 및 서울시와 자치구들은 학교 간 격차뿐만 아니라, 학교군 및 자치구 간 교육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더보기
    • I.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의 범위 8
    • 3. 용어의 정의 9
    • 4. 연구의 흐름 11
    • II.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12
    • 1. 학교선택제 12
    • 1) 학교선택제의 이론적 배경 12
    • 2) 우리나라 학교선택제도 17
    • 3) 학교 경쟁률 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25
    • 2. 교육환경 33
    • 1) 도시공간에서의 교육환경 33
    • 2) 학교입지에 관한 도시계획이론 41
    • 3) 교육환경의 변화 47
    • III. 연구 방법 51
    • 1. 분석의 틀 51
    • 2. 연구문제의 설정 53
    • 3. 서울특별시 교육감 선발 후기고의 현황 57
    • 4. 측정변수 66
    • 1) 분석 자료 66
    • 2) 연구변수 선정 70
    • 3) 변수 측정 81
    • 5. 분석 모형의 설정 97
    • 1) ANOVA (분산분석) 97
    • 2) DID Method (이중차이분석) 97
    • 3) 공간계량 분석모델 98
    • IV. 결과분석 100
    • 1. 통학거리 변화분석 100
    • 1) 고교선택제 전후의 통학거리 차이 분석결과 100
    • 2) 통학거리 특성에 대한 분석결과 109
    • 2. 학교 경쟁률 요인 분석 114
    • 1) 전체표본 114
    • 2) 학교 경쟁률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결과 120
    • V. 결론 126
    • 1. 논의 및 결론 128
    • 2. 연구 의의와 한계 137
    • VI. 참고문헌 139
    • VII. 부록 160
    더보기
    • 1 김영화,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2010
    • 2 노승철, 이희연, "「고급통계분석론」", 문우사, 2013
    • 3 최현철, "「사회통계방법론」", 나남, 2008
    • 4 김경민, "도시개발, 길을 잃다", 시공사, 2011
    • 5 김유선, "“비정규직 규모와 실태”", 「노동사회」, 115: 11-43, 2006
    • 6 김성식, 류방란, "“계층간 교육격차의 양상”", 「교육비평」, 22: 52-66, 2007
    • 7 손낙구, "“부동산 격차와 교육격차”", 「문화과학사」, 63: 66-86, 2010
    • 8 남경희, "“학교선택제 도입과 전망”", 「교육정책포럼」, 197: 4-7.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2004), 토지이용계획론, 보성각, 2009
    • 9 김경근, "“학교선택제와 교육평등.”", 「교육사회학연구」, 12(3): 1-23, 2002
    • 10 이준구, "「소득분배의 이론과 현실」", 다산출판사, 1992
    • 11 장상수, "“가족배경, 문화자본, 성적”", 「한국사회학」, 42(3): 63-85, 2008
    • 12 김경민, 정재훈, "“교육의 공간 불평등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 47(2): 385-401, 2014
    • 13 이각범, "「현대자본주의와 노동시장」", 한울아카데미, 1989
    • 14 안광현, "생활서비스에 따른 지역유형분류", 「국가정책연구」, 24(3): 67-89, 2010
    • 15 김영철, 한유경, 최유경, 이종상, 윤종혁, 김정래, "「고교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3
    • 16 김윤태,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평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78
    • 17 곽수란, "“인문계 학생의 학업성취 결정요인”", 「교육사회학연구」, 16(2): 1-2, 2006
    • 18 강태중, 김영철,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의 개선방안」", 한국교육개발원, 1985
    • 19 김영철, 최돈민, 이인효, 김주훈,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의 개선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1995
    • 20 김미곤, 최현수, 여유진, 양시현, 김태완, "「빈곤과 불평등의 동향 및 요인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 21 김경근,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 「교육사회학연구」, 15(3): 1-27, 2005
    • 22 김윤태, "“학교 선택 정책에 관한 분석적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14(3): 232-264, 1996
    • 23 김용일, "“서울시 고교배정 개편과 오도된 정치“", 「초등우리교육」, 4: 96-97, 2007
    • 24 이형빈, 이호준, "「강원도 일반고등학교 발전 방안 연구」", 강원도교육연구원, 2017
    • 25 김태현, "「서울시내 주거이동의 시 공간적 특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8
    • 26 김신일, "평생학습도시 조성을 위한 추진모형 연구", 「평생교육학연구」, 10(3): 1-30, 2004
    • 27 염철현, "“공교육의 위기와 학교 선택권의 확장.”", 「교육학연구」, 39(4), 141-154, 2001
    • 28 박대권, "학령인구감소에 따른 학교 및 학급수 정책", 「교육비평」, 42: 58-91, 2018
    • 29 오유경, "「공공시설의 입지선정 갈등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30 김경근,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아동의 학업성취”", 「교육사회학 연구」, 10(1): 21-40, 2000
    • 31 이병희, 황덕순, 최강식, 정진호, "「소득불평등 및 빈곤의 실태와 정책 과제」", 서울:한국노동연구원, 2002
    • 32 강상진, "「고교 평준화 정책 효과의 실증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5
    • 33 장지연, "“소득불평등 심화의 메커니즘과 정책 선택”",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23: 71-109, 2013
    • 34 김현숙, "“도시개발과 학교 이전, 그리고 공간의 분절”", 「구술사연구」, 3(2): 79-127, 2012
    • 35 김정숙, 백병부, "“중3 학부모의 고등학교 선택 동기 결정요인.”", 「한국교육」, 37(3): 5-27, 2010
    • 36 김흥주, 윤종혁, "「천안지역 고교평준화정책 적용 타당성 검토」", 한국교육개발원, 2006
    • 37 이종각, "「한국의 교육열 세계의 교육열 : 해부와 대책」", 강원대학교 교육연구소, 2005
    • 38 유재원, "“도시한계론의 핵심 가정에 대한 경험적 검증”", 「한국행정학보」, 45(1): 101-121, 2011
    • 39 김수경, 김주영, "“우리나라 고등학교 학교선택 정책논리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6(4): 103-124, 2008
    • 40 김안나, 양승실, 박덕규, 김흥주, 김양분, "「경기도교육청의 고입학생배정방안 검토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1
    • 41 황지원, "「일반계 고등학교의 학력격차 변화 추이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3
    • 42 이제봉, "“대학교육에서 기회균형선발제의 근거와 쟁점”", 「교육실천연구」, 8(1): 125-143, 2009
    • 43 장수명, "“도시 및 교육 공간의 사회계층별 분리와 영향”", 「교육정치학연구」, 21(2): 55-97, 2014
    • 44 김윤태, "「고교 평준화 정책의 평가연구-1차년도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1978
    • 45 김윤태, "「고교 평준화 정책의 평가연구-2차년도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1979
    • 46 김경근, 변수용, "한국사회에서의 학업성취에 대한 문화자본의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17(1): 23-51, 2007
    • 47 김진영, "“부모 학력에 따른 학업성취도 격차의 국제비교”", 「재정학연구」, 7(2): 27-57, 2014
    • 48 최은영, "「서울의 거주지 분리 심화와 교육환경의 차별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49 성열관, "「서울특별시 후기고등학교 학생 배정 방안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연구용역보고서, 2011
    • 50 도종수, 박창남,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정책」, 22: 281-303, 2005
    • 51 정성수, 주현준, "서울시교육청 학교선택권 확대 정책의 실효성 분석", 「비교교육연구」, 20(4): 153-174, 2010
    • 52 김용석, 황여정, 위권일, 성열관, 백병부, 김학한, "「서울특별시 후기 고등학교 학교 배정 방안 연구」", 서울시교육청, 2011
    • 53 김장현, "「중학교 3학년 학생의 고등학교 선택에 대한 인식」",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54 우천식, "「사교육의 효과, 수요 및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연구보고, 2004
    • 55 신현림, "「선복수지원 후추첨배정 제도에 관한 공간적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56 김천기, "“평준화제도의 불평등성 논쟁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교육사회학연구」, 15(1): 65-88, 2005
    • 57 백병부, "“학교 내 사회자본이 학업성취 격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회」, 52(1): 221-249, 2014
    • 58 구자옥, 조성민, 이혜원, 박혜영, 김성숙,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연구:PISA 2015 결과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6-2-2, 2016
    • 59 김경근, 변수용, "“한국 고등학생의 교육결과에 대한 문화자본의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18(2): 53-82, 2008
    • 60 김경민, 박대권, "「서울특별시 일반고 신입생 배정방법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교육청, 2018
    • 61 송승훈, 정홍용, 정민석, 이정희, "「평준화지역 고등학교 입학전형 배정방법 개선 연구」", 전라남도교육연구정보원 교육연구정보 제 2013-34호, 2013
    • 62 김영식, "“서울시 일반고 학교선택권 확대 정책의 의의와 전망”", 「교육정책포럼」, 197: 8-12, 2009
    • 63 김경근, 장희진, "“자녀교육을 위해 거주지 이동을 선택한 가족의 특성”", 「한국교육학연구」, 11(2): 65-87, 2005
    • 64 곽삼근, "「평생학습사회에서의 여성의 평생교육기회 격차분석」", 교육인적자원부, 2000
    • 65 이자형, "“평준화지역 일반고 학생 배정방식 및 관련 쟁점 탐구”", 「중등교육연구」, 64(3): 725-749, 2016
    • 66 김영석, 윤용기, "“교육환경 평가제도 평가기준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연구소」, 1: 253-272, 2014
    • 67 박혜원, "․금잔디․박민정, “유아의 지능과 문제행동간의 관계”", 「인지발달중재학회지」, 5(2): 1-15, 2014
    • 68 박부권, "「고등학교 평준화정책의 진단과 보완방안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3
    • 69 김경근, 조상식, 전은희, 김유현, "「초‧중등교육 정상화를 위한 고교체제 개편방안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2015 교육정책연구과제연구보고서, 2015
    • 70 박성현, 이왕무, 유창호, 신승식, "“공공시설물(공공도서관)의 적정입지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지」, 19(3): 151-162, 2017
    • 71 윤정일, "“학교교육 붕괴위기의 종합적 분석과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1(2): 1-30, 2003
    • 72 백병부, 황여정, 성열관, "고교선택제가 배정결과만족도 및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22(4): 141-170, 2010
    • 73 오욱환, "교육격차의 원인에 대한 직시: 학교를 넘어서 가족과 사회로", 「교육사회학연구」, 18(3): 111-133, 2008
    • 74 박동찬, 최정민, "“주거환경 생활편의시설의 접근성 및 중요도에 관한 연구”", 「주거환경」, 18(1): 1-20, 2020
    • 75 이기성, "「서울특별시 고교선택제에서 학교 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76 신광영, 조돈문, 이성균, "「세계화와 소득 불평등 – 한국, 미국, 브라질의 사례연구」", 집문당, 2007
    • 77 박종철, 송시연, "“심리적 거리가 여행사 패키지 상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18(2): 251-265, 2017
    • 78 김현중, 이종길, 여관현, "“서울특별시 공공도서관 접근성의 지역 간 격차와 결정요인”", 「서울도시연구」, 16(4): 109-127, 2015
    • 79 김경민, 박대권, "「서울특별시 후기고등학교 신입생 배정방법 보완 개선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2015
    • 80 주희선, "「주거이동으로 인한 저소득층 밀집의 외부효과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81 김기석, "「평준화 정책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5
    • 82 유용택, "“GIS를 활용한 도시공공시설의 접근성 및 공간적 효율성 분석”", 「도시정책연구」, 4(1): 61-71, 2013
    • 83 강태중, 최길찬, 이종재, 류한구, 남명호, 김성식, 김기석, "「평준화 정책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5
    • 84 손흥숙, "“마산과 창원지역 학부모의 고등학교 선택 과정과 결과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8(1): 57-74, 1998
    • 85 김기석, "「춘천, 원주, 강릉 지역 고교 입시제도 개선 타당성 조사 연구」", 강원도교육청 연구용역보고서, 2011
    • 86 김재익, 정현욱, 여창환, "․서안나, "도시 근린공공시설의 서비스수준의 공간적 격차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 17(1): 55-71, 2005
    • 87 구연식, "「사립 초등학교 학부모의 학교 선택 배경 및 만족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88 강영혜, 이혜숙, 윤종혁, 김미숙, 김남걸, "「고교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 학교교육의 실태와 보완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05
    • 89 최기석, "「도시재생에 있어서 학교중심의 계획 요소와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90 이봉주,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학업성취 효과 종단적 분석”", 「한국아동복지학회」, 45: 161-190, 2014
    • 91 조금주,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문제점 및 재구조화를 위한 개선 과제”", 「청소년학연구」, 21(2): 491-513, 2014
    • 92 김현주, 이병훈,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가족배경, 사회자본 및 문화자본 의 영향", 「한국인구학」, 30(1): 125-148, 2007
    • 93 김태종, 이주호, 이영, 이명희, "「고교평준화 정책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증 분석」",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육개혁연구소, 2004
    • 94 김나리, 조미형, 유은영, 심재헌, 송미령, "「농촌 취약계층 생활실태 조사 및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
    • 95 이유정, "일반고, 자율고, 특목고 입학생의 고등학교 진학 결정 영향 요인 탐색", 「중등교육연구」, 66(1): 257-280, 2018
    • 96 김정숙, "“서울시교육청의 고교선택제 도입 효과: 바다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1(4): 57-87, 2011
    • 97 이두휴, "“평준화지역 고등학교 입학전형에서 학생의 쏠림현상에 관한 연구”", 「교육정치학연구」, 21(3): 61-91, 2014
    • 98 성열관, "거주지 분화와 교육격차: 미국의 현실이 우리나라 교육정책에 주는 함의", 「교육사회학연구」, 15(1): 139-161, 2005
    • 99 김왕준, 신태섭, "“Family and Student Characteristics and Exercise of Public School Choice Options in the U. S”", 「비교교육연구, 20(3): 165-193, 2010
    • 100 정제영, "“교사의 전문성 계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의 교육환경 요인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1(3): 321-342, 2014
    • 101 변수용, 주영효, "“학교선택 결정요인과 효과 분석: 서울교육종단연구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국교육」, 39(1): 5-33, 2012
    • 102 강태중, "․성기선, 「평준화 정책과 지적 수월성 교육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검토」",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포럼: 한국교육의 현실과 대안(2), 15-28: 5월 24일, 2001
    • 103 김기석, "「최근 평준화 논쟁의 주요 쟁점과 문제점: 사회대 입학생 분석의 재검토」", 서울대학교사범대학 한국교육사고 연구노트 제23호, 2004
    • 104 Ham, S.H., W.J, "Kim, “Do parents really choose schools based on school quality criteria? Evidence from NHES data”", 「교육행정학연구」, 30(1), 285-309, 2012
    • 105 성열관, "「호모 에코노미쿠스 시대의 교육: 교육과정과 학교에 대한 시장선택 논쟁」", 문음사, 2004
    • 106 김경민, 이준호, 엄홍민, 박대권, "“서울시 고교선택제 아래서 학교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외부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2(2): 161-183, 2014
    • 107 김기석, 류한구, 김성식, "“하향평준화 현상의 실증 분석: 고입 전형방식에 따른 학생 성적 변화의 비교”", 「교육사회학연구」, 19(1), 29-54, 2009
    • 108 이광현, "“학교선택이 수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PISA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17(4): 87-107, 2007
    • 109 김흥주, 양승실, "「2003학년도 경기도 고교평준화 적용지역 고입학생 배정시안 타당성 검토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2
    • 110 김미숙, 상종열, "“거주지 분리와 교육에 대한 사례연구: 성남시 수정구 어머니들의 경험과 인식”", 「교육사회학연구」, 24(2): 67-91, 2014
    • 111 성원희, "「학교선택제도의 교육적 의미와 실효성 연구 : 중학교 교사와 학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112 김미숙, "“거주지 분리와 교육에 대한 사례연구 : 성남시 수정구 어머니들의 경험과 인식”", 「교육사회학연구」, 24(2): 67-91, 2014
    • 113 강영혜, 이혜숙, 윤종혁, 김남걸, "「고교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 실태분석, 정책효과의 검증 및 개선방안 모색」", 한국교육개발원, 2005
    • 114 양승실, "․오정란․박호근․김영철, 「전남 일반고등학교 입학 전형 방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2
    • 115 양승호, "도시에서의 소득수준에 따른 거주지 분리가 거주민의 사회통 합의식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 116 김기민, 정성수, 오세희, "“경남의 평준화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간 학력격차에 대한 인식 및 해소방안 탐색”", 「수산해양교육연구」, 22(1): 52-66, 2010
    • 117 신명호, "왜 잘사는 집 아이들이 공부를 더 잘하나?: 사회계층 간 학업성적의 격차와 양육관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118 송기창, "“학교선택제의 이상과 실상: 국내 적용 가능성 탐색을 위한 미국의 학교선택제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5(3): 151-176, 2007
    • 119 김정숙, 황여정, "「학교선택의 결정요인 및 학교만족도 효과: 서울시교육청의 고교선택제를 중심으로」", 서울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발표논문집, 2012
    • 120 정회균, "「평준화지역 일반고등학교 전형 및 배정제도에 관한 연구 : 경기도 S학교군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12
    • 121 양정호, 전우홍, "“학교선택요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고용패널의 위계적 선형모형 연구”", 「교육재정경제연구」, 14(2): 109-135, 2005
    • 122 이성민, "“도시재개발 사업이 교육적 공간의 재편에 미치는 영향: 은평뉴 타운 사업을 중심으로.”", 「교육정치학연구」, 19(3): 79-103, 2012
    • 123 김영화, 박현진, "“가정의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이 영어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잠재성장모형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20(4): 55-82, 2010
    • 124 권용재, 이광현, "“사교육비와 사교육시간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분위회귀분석을 이용한 접근”", 「교육재정 경제연구」, 20(3): 99-133, 2011
    • 125 최돈민, "「교육정책 결정 및 추진 과정에서의 사회적 이해관계 분석: 고교평준화 정책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 126 안치호, "「택지개발사업에 의해 공급된 도시공공시설의 입지적정성 분석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 127 박선환, 안선회, "고교다양화와 고교선택제에 따른 학교 체제 변화 연구: 서울시 일반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정치학연구」, 20(4): 41-72, 2013
    • 128 이수정, "“명문대 중심 대입관과 사교육비 지출간의 관계 분석: 사교육 원인에 대한 사회심리적 접근”", 「교육행정학연구」, 25(4), 2007
    • 129 김경민, 이의준, 박대권, "“초 중 고등학교 수요가 서울시 구별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거주이주시기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65: 99-113, 2010
    • 130 강영혜, 양승실, 박덕규, 김흥주, 김안나, 곽병선, "․성기선, 「경기도 고교입시 제도 개선 연구: 성남시, 고양시, 부천시, 안양권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0
    • 131 김기석, "․성기선․박철희․김성식, 「경기도 광명, 안산, 의정부 지역 고교평준화 타당성 조사 연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 132 백성준, 최돈민, "․성기선․박인심, 「울산광역시 고등학교 평준화 실시에 따른 학교군 설정 및 학생 배정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1999
    • 133 황은주, "「지방도시 교육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거주지 분화에 따른 청주시 공간격차 사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134 김준일, 서환주, "“소득불평등, 정치적 불평등 그리고 기회불평등의 누적적 증가에 대하여: 복지제도와 노동조합의 새로운 역할”", 「사회경제평론」, 45: 231-275, 2014
    • 135 김경년, 이필남, "“개방등록제를 통한 비거주지 학교 선택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무작위배정을 통한 실험적인 접근의 결과”", 「교육재정경제연구」, 21(1): 161-190, 2012
    • 136 오경희, 한대동, "“고교평준화 지역에서의 학교선호도와 학교의 질의 관계: 학부모와 학생들의 선호학교와 기피학교 간 특성 차이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28(2): 307-330, 2010
    • 137 윤석윤, "「학교친화형 도시재정비 사업 모형」, 한국교육개발원. (2017), “도시재생 관점에서의 학교시설 복합화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 15(1): 97-111, 2016
    • 138 구본창, 안상진, 김승현, "․홍진아, 「자율형사립고 정책을 중심으로 본 고등학교 서열화 문제와 개선방안. 제4회 경기교육포럼 자사 고 평가 및 입학전형 개선 방향 발표논문집」", 경기도교육 연구원,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