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왕수인과 서경덕의 격물(格物) 실행과 그 귀결 = Wang Su-in and Seo Gyeong-deok's practice of Geogmul (格物) and its results
저자
황광욱 (홍익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73-200(28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왕수인(王守仁)이 주자학이 아닌 다른 길을 향하게 되는 분기점은 대학의 격물(格物) 실행의 결과에 있다. 왕수인과 같이 주희가 제시한 격물을 실행한 것을 토대로 자신의 이론을 펼친 또 한 명의 학자가 있는데 그는 조선의 학자 서경덕(徐敬德)이다.
왕수인(1472~1529)과 서경덕(1489~1546)은 거의 같은 시간대를 살다 간 학자이다. 두 사람은 살던 장소는 다르지만 거의 같은 시간대에 주희의 격물론을 통해 공부에 대한 강한 계기와 방법에 눈을 떴고 또 실행한 것이다.
왕수인은 1507년에 이른바 용장(龍場)의 깨달음을 하게 되고, 서경덕은 1513년에 이치에 통한다. 이런 기록은 매우 흥미롭다. 주자학에 대한 비평적 전환의 씨앗이 명나라와 조선에서 거의 동시대에 ‘격물’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것이다.
왕수인은 대나무의 격물을 통해 스스로 성인이 될 자질이 부족하다는 자괴감을 얻는다. 그러나 그 자괴감을 통해 격물에 대한 근원적인 회의를 하며 격물 자체를 격하게 된다. 서경덕은 주희의 격물 방식을 철저하게 지속함으로써 경전의 지침과 일치하는 경지에 이른다. 하지만 서경덕은 주희가 확신하지 못한, 나아가 주돈이(周敦頤)와 소옹(邵雍)과 장재(張載)도 미처 다 말하지 못한 기(氣)의 근원성에 눈을 돌린다. 왕수인과 서경덕은 주희의 격물로부터 촉발되어 주희와는 다른 철학의 길을 가게 되는 셈이다.
왕수인은 격물을 격함으로써, 물(物)을 사물이 아니라 마음의 일[心事]로 전환시킨다. 즉 외재적 세계가 아니라 내향적 자신에게로 눈을 돌린 것이다. 서경덕은 격물의 물을 사물로 보았으되, 사물의 극처까지 밀고가 그곳에서 묘(妙)한 곳을 보았으니 내향적 자신이 아니라 오히려 외재적 세계의 모습을 본 셈이다. 즉, 왕수인의 격물로 인해 중국 유학은 심성론이 깊어졌고, 서경덕의 격물로 인해 조선 유학은 우주론이 넓어졌다고 할 수 있다.
The turning point where Wang Su-in(王守仁) took a different path from Zhu Xi's studies(朱子學) was the result of the practice of Geogmul (格物) in the Great Learning. Wang Su-in did not stop at theoretical inference and consistency by practicing Geogmul as Zhu Xi suggested, but rather verified whether theories with logical consistency could actually be reali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actice.
Another scholar who developed his own theory based on Geogmul suggested by Zhu Xi, like Wang Su-in, is Seo Gyeong-deok(徐敬德), a Joseon scholar. Wang Su-in (1472-1529) and Seo Gyeong-deok (1489-1546) lived at almost the same time. The two had never met and did not know each other through hearsay. However, although they both lived in different places, they opened their eyes to the strong motivation and method for studying through Zhu Xi’s Geogmul and put it into practice.
Wang Su-in achieved the so-called Yongjang (龍場) enlightenment in 1507, and Seo Gyeong-deok gained the understanding of reason in 1513. These records are very interesting. It means that the seeds of a critical shift in Zhu Xi's studieswere being planted in the Ming and Joseon Dynasties at almost the same time through ‘Geogmul.’ Wang Su-in, through his examination of bamboo, feels a sense of inferiority that he lacks the qualities to become a sage. However, through this sense of inferiority, he does not simply follow Zhu Xi’s examination of things, but changes to a fundamental skepticism about examination of things and to the direction of examining the examination itself. Seo Gyeong-deok thoroughly and continuously practices Zhu Xi’s examination method, and reaches a state where what he has discovered through contemplation matches the instructions of the scriptures. However, Seo Gyeong-deok turns his attention to the original nature of qi (氣) that Zhu Xi did not anticipate, and that even Zhou Dun-yi, Shao Yong, and Zhang Zai could not talk about. In this sense, Wang Su-in and Seo Gyeong-deok were inspired by Zhu Xi’s examination of things and took different philosophical paths from Zhu Xi.
Wang Su-in, by studying things, changed things from things to matters of the mind. In other words, he turned his eyes from the external world to his inward self. Seo Gyeong-deok viewed things through his studies as things, but he pushed things to the extreme and saw the wonderful places there, so he saw not his inward self but rather the external world.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Wang Su-in's studies deepened the theory of the mind in Chinese Confucianism, and Seo Gyeong-deok's studies broadened the theory of the universe in Joseon Confucianism.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