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학교사회복지와 교육복지 연구동향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n School Social Welfare and Educational Welfare in Korea Using Text Network Analysi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5-51(27쪽)
KCI 피인용횟수
4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study set out to compare the trends of research papers on school social welfare and educational welfare, which had been recognized in the same vein in Korea, and to analyze the recent trends in these areas. Korean academic papers published from 1993 to 2018 were collected by using databases. A total of 562 academic papers were selected in the end, excluding papers that were not suitable for the research purpose or overlapped. The followings were the main findings applied to the text network analysis. First, there were 206 papers on school social welfare and 356 papers on educational welfare. Second, the most distinct differences in the two areas were ‘social workers’ intervention in families’ and ‘operations to guarantee learning rights for vulnerable groups’. Third, characteristics of school social welfare papers according to the times wer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school social welfare’, ‘adaptation of students’ school life’, and ‘applying school social welfare to prevent and manage violences or conflicts in schools’, respectively. Also,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welfare papers according to the times were ‘construction of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principles of educational welfare operations’, and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and change after implementation and practice’, respectively. Lastly, the sub-topics of recent research trends were ‘effects of programs’, ‘educational welfare as a practice’, and ‘educational welfare as a polic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current position of school social welfare research and educational welfare research was identified, and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erived.
더보기본 연구는 동일한 맥락으로 인식되어 오던 학교사회복지와 교육복지에 대해, 관련된 연구주제 논문의 경향을 비교 분석하고 최근의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에서 학교사회복지가 처음 시행된 1993년부터 2018년까지 발행된 국내 학술논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2,423편의 논문 중에서 연구목적에서 벗어나거나 중복된 논문들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총 562편의 학술논문을 선정하였다. 논문의 초록을 대상으로 하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적용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 학술논문에서 학교사회복지 관련 연구주제 논문은 206편이며, 교육복지 관련 연구주제 논문은 356편이었다.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2003년)과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2011년)의 실시를 기준으로 세 개의 시기별로 나누어 살펴본 출판 편수는 학교사회복지 관련 논문이 각각 48편, 93편, 65편이었고, 교육복지 관련 논문이 각각 8편, 125편, 223편이었다. 둘째, 학교사회복지 연구주제 논문과 교육복지 연구주제 논문은 중첩되는 영역과 고유한 영역이 나타났다. 가장 뚜렷한 경계가 나타나는 고유한 주제는 학교사회복지 영역의 ‘가족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개입’과 교육복지 영역의 ‘취약 계층에 대한 학습권 보장을 위한 운영’이었다. 셋째, 학교사회복지 관련 논문의 시기별 특성은 1기에 ‘학교사회복지의 발전 및 확대’, 2기에 ‘학생의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 그리고 3기에 ‘폭력과 갈등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학교사회복지의 적용’으로 나타났다. 교육복지 관련 논문의 시기별 특성은 각각 ‘교육복지사업의 구축’, ‘교육복지 운영의 원리’, 그리고 ‘수행과 실천에 따른 변화와 효과의 확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최근 연구의 동향 파악을 위해 분석하여 도출된 하위주제 그룹은 ‘프로그램의 효과’, ‘실천으로서의 교육복지’, 그리고 ‘정책으로서의 교육복지’ 클러스터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사회복지 연구와 교육복지 연구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미래 연구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학교사회사업 -> 학교사회복지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89 | 1.89 | 2.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19 | 2.1 | 2.712 | 0.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