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전통문화에 대한 가치인식과 선택기준속성에 관한 연구: 전통한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Value Recognition and Selection Criteria of Traditional Culture: Traditional Korean Snack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4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Studies of traditional culture, such as Korean snacks have mostly been conducted either in terms of culinary science or in terms of dining out. Accordingly,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cultural aspect of the management view. However, traditional Korean snacks contain the culture and emotions of our people. It is a very meaningful cultural product not only in economic value but also in social and cultural value.
This study verified the differences in value recognition of Korean snacks and selection criteria for product properties between male and female consumers. First, for value recognition of traditional Korean snacks according to sex, female consumers showed higher value recognition as representative products (Mmale=5.63 < Mfemale=5.75) and value as traditional assets (Mmale=5.16 < Mfemale=5.94) compared to male consumers. Also, for product property selection criteria of traditional Korean snacks, male consumers showed a tendency of purchasing based on symbolic significance < uniqueness < attractiveness < familiarity and female consumers showed a contrasting tendency of familiarity < symbolic significance < attractiveness < uniqueness. Results indicated that package design and marketing communication is vital for the industri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Korean snacks, besides the diversification of products, differentiated quality, simplified and mechanized manufacturing process, and storability of materials and products.
한과류와 같은 전통문화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조리과학적 혹은 외식업 측면에서 주로 진행되어왔다. 이에 따라 경영학 관점의 문화적 측면의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전통한과는 우리민족의 문화와 정서가 담겨 있다.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 가치에서도 매우 의미 있는 문화상품이다.
본 연구는 한과에 대한 가치인식과 제품선택속성에 대한 남녀 소비자별 선택기준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였다. 먼저 전통한과의 성별에 따른 가치인식은 대표상품으로서의 가치(M남=5.63 < M여=5.75)와 전통자산으로서의 가치(M남=5.16 < M여=9.94)에서 남성에 비해 여성소비자들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통한과의 제품선택 시 속성기준에서 남성소비자들은 상징성(M=4.58) < 고유성(M=4.74) < 매력성(M=5.11) < 친숙성(M=5.47)을 나타냈다, 그러나 이와는 다르게 여성소비자들은 친숙성 (M=4.69) < 상징성(M=4.81) < 매력성(M=4.88) < 고유성(5.06)을 기준으로 선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과류의 산업화 및 세계화를 위해서 제품의 다양화, 품질의 차별화, 제조공정의 간편화 및 기계화, 재료와 제품의 저장성뿐 아니라 포장 디자인 개선 및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의한 전통 한과류의 소비자 인식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