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古朝鮮과 齊의 해상교류와 遼東 = Old Joseon and Qi’s Maritime Exchange and Liaodo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41(35쪽)
KCI 피인용횟수
13
제공처
소장기관
『管子』의 기록에 따르면 고조선(發朝鮮)과 중국의 관계는 기원전 7세기 무렵 춘추시대 齊와의 교류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이해된다. 하지만 『관자』에 전하는 고조선 기록은 춘추시대의 사정을 반영한다고 보기 어렵다. 제와 발조선의 교류는 산동반도 북부 東萊와 요동반도 남단 老鐵山을 연결하는 해상의 廟島列島를 통해 이루어졌다. 그런데 춘추시대 산동반도 東萊지역은 齊國과 적대 관계에 있던 萊國의 영역이었다. 동래지역이 제의 영역으로 편입된 것은 춘추시대 말기인 齊 景公 때(기원전 547~490년)이다. 따라서 기원전 7세기 춘추시대에 齊가 동래지역을 경유해 해상으로 발조선과 교류하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齊와 교류하였던 發朝鮮은 문피의 산지로 유명하였는데, 제와의 교통로를 고려할 때 遼東의 千山 산간지역에 위치했던 것으로 보인다. 기존 설에 따르면 『爾雅』의 斥山은 문피 산지가 아니라 문피가 중국에 수입되던 海口로 登州 文登縣 斥山(赤山)에 비정된다. 하지만 고대의 해로상 춘추전국시대 문등현 지역이 조선과의 교류에서 해구가 될 수 없다. 문등현 지역이 해구로 기능한 것은 황해중부횡단항로가 본격 이용되기 시작한 7세기 후반 이후이다. 『이아』의 斥山은 문피의 산지로 발조선 쪽의 지명이며, 그 위치는 산동지역과 해로로 연결되는 요동반도 지역에 위치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관자』의 주요 내용은 齊의 稷下學宮이 흥성했던 宣王ㆍ?王 시기(기원전 319~284)에 이루어졌다. 이 시기는 기원전 282~280년 燕이 朝鮮의 ‘서방’ 즉 요동지역의 發朝鮮(貊國)을 침공하여 齊와의 해상교류가 단절되기 직전에 해당한다. 따라서 산동반도 齊와 요동반도 發朝鮮이 해상 교류하였던 시기는 기원전 5세기 이후~기원전 3세기 초일 가능성이 높으며, 당시 발조선의 특산품인 文皮가 齊에 알려지면서 『管子』에 채록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es, it is widely accep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Old Joseon(古朝鮮) and Chinese dynasties began from an exchange with Qi(齊) at the Shandong area in the seventh century B.C., a time which was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春秋時代).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l-Joseon(發朝鮮) and Qi in the reign of Duke Huan of Qi(685~643 B.C), indicated from a record of Guanzi(管子). Yet, it is implausible that the record about Pal-Joseon in Guanzi was an account of the circumstance exactly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he exchanges between Qi and Pal-Joseon was conducted through Miaodao Archipelago(廟島列島), a series of islands connecting Donglai(東萊) in the northern Shandong Peninsular to Mountain Laotie(老鐵山) in the southern Liaodong Peninsular. Still, Donglai area was a territory of Lai(萊), which had a hostile relation with Qi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he time when the area became Qi’s territory was only at the end of the period, the Duke Jing(景公) of Qi’s reign(547~490 B.C.). Thus, it is hard to conclude that Qi conducted a maritime exchange with Pal-Joseon through this area in the seventh century B.C..
Pal-Joseon, a partner of Qi’s maritime exchange, was famous as spotted leather(文皮)-producing area. Considering routes to Qi, it would be the most probable that the country was located in the mountainous region of Liaodong. Until now, our academic circle has suggested that Chishan(Mountain Chi, 斥山) from the record of Erya referred to the present Chishan(斥山 or 赤山) in Wendeng county(文登縣) of Dengzhou(Deng province, 登州). This assumption was based on an inference that Chishan was a term for the mouth of a harbor where spotted leather was imported to Chinese mainland, rather than its producing area in Pal-Joseon. Yet, taking sea lanes in the ancient time into consideration, Wendeng county of the southern part of Dengzhou could not be a mouth of a harbor at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For the area introduced as a mouth of a harbor, it had to be after the late seventh century when an “Oblique Route to the Middle of the Yellow(黃海中部橫斷航路)” was used in full-scale. It is more possible that Chishan was a producing area or marketplace of spotted leather, and its location was in the Liaodong area, a place where was connected to Shandong through a sea route.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2-0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9-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8 | 1.28 | 1.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7 | 0.89 | 2.254 | 0.2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