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숭산 박길진의 1956년 세계일주 해외교화 여정 = Sungsan Park Gil-jin’s 1956 Won Buddhist Mission Journey Around-the-World
저자
박민영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9-176(38쪽)
제공처
소장기관
Sungsan Park Gil-jin traveled around the world visiting 12 countries in 44 days in 1956. From his departure on January 12, 1956, until his return on February 25, he visited Japan, the United States (including Hawaii), England, Norway, Sweden, Denmark, Germany, Switzerland, Egypt, India, Thailand and Hong Kong in turn.
Although no one paid attention, Sungsan’s overseas edification journey in 1956 was the first Korean to circumnavigate the world after liberation. In this respect, Sungsan’s overseas edification journey has a chronological meaning in Korean Contemporary history. Seungsan’s overseas edification journey in 1956 was closely related to the direction of ‘overseas edification’ of the Wo n Buddhist Order in the new era that greeted liberation and the end of the war. Therefore, since the nature of the 1956 around the world journey was overseas edification, it became the starting point for the overseas edification project of Wo n -Buddhism. Sungsan’s around the world journey was carried out with a secondary purpose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Wonkwang University, the most important institution for edification Wo n Buddhism. Asking for aid funds from various charities and aid foundations in New Yo r k and Washington, and requesting donations of books from libraries of universities and institutions, were all in order to prepare a turning point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fledgling Wonkwang University. In fact, the large number of books received as a result of Sungsan’s overseas tour became the basis of Wonkwang University’s library collection.
숭산 박길진은 1956년 44일 동안 12개국을 순방하는 세계일주를 하였다.
1956년 1월 12일 출국하여 2월 25일 귀국할 때까지 일본, 미국(하와이 포함), 영국,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 독일, 스위스, 이집트, 인도, 태국, 홍콩을 차례로 들렀던 것이다. 아무도 주목하지 않았지만, 숭산의 1956년 해외교화 여정은 해방 후 한국인 최초의 세계일주였다. 이런 점에서 숭산의 해외 교화여정은 한국현대사에서 연대기적 의미를 가진다.
숭산의 1956년 세계일주는 해방과 종전을 맞이한 새 시대 원불교단의 ‘해외교화’라는 방향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1956년 세계일주는 그 본질적 속성이 교화에 있었다는 점에서 원불교 해외교화사업의 기점이된다.
숭산의 세계일주는 원불교 교화의 중추기관인 원광대학의 발전을 도모하기위한 부차적 목적을 가지고 이루어졌다. 뉴욕과 워싱턴의 여러 자선, 원조 재단을 찾아 원조자금을 요청한 것과 유수한 여러 대학과 국가기관의 도서관을두루 들리면서 도서 기증을 요청한 것은 모두 신생 원광대학의 발전을 도모할전기를 마련하기 위해서였다. 실제로 숭산의 해외순방을 계기로 이루어진 다량의 도서 수증(受贈)은 원광대학 도서관 장서의 모체가 되었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