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원불교 처처불상 사사불공을 통한 기후위기 극복방안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how to overcome the climate crisis through Wo n -Buddhism’s mantra of ‘Cheocheobulsang Sasabulgong’
저자
김정희 (전북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7-100(34쪽)
제공처
소장기관
The global pandemic caused by COVID-19 still remains a real threat. People can contract COVID-19 in a variety of ways, but a large contingent of researchers say that recent infectious diseases could be caused by the destruction of our ecosystem and climate change brought on by human greed. Sotaesan, the founder of Won- Buddhism, asserted the concept of “Jeongsingaebyeok (Great Opening of Spirit)” based on his belief that fundamentally, a great opening in the human spirit is a prerequisite in solving the various crises human civilizations can expect to face in the future. Sotaesan also presented a new Buddhist practice suited to the new era as one of the specific methods to attain mental enlightenment. In response to this assertion, this author set out to seek ideological and practical ways to solve the climate crisis through the Won-Buddhist teachings for this thesis, based on the subject of “A study on how to overcome the climate crisis through Won-Buddhism’s mantra of ‘Everywhere a buddha image, Every act a buddha offering’. From the standpoint of Won-Buddhism, the role of the Won-Buddhist environmental movement is crucial when it comes to interfacing an individual’s religious values with universal values. Sotaesan, had he experienced today’s climate crisis, would have earnestly hoped to overcome the climate crisis with Buddha’s teachings.
더보기코로나 19 바이러스의 세계적 펜데믹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코로나 19의발생 원인은 다양하지만, 많은 연구가는 최근의 감염병들이 인류의 욕심이 빚어낸 생태계 파괴와 기후변화가 원인이라고 한다. 원불교를 창교한 소태산은인류가 안게 될 각종 문명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인간 정신의 대 변혁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면서 ‘정신개벽(精神開闢)’을 외쳤다. 그리고 소태산은 정신개벽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 중 하나로 새 시대에 맞는 새로운 불공법을 제시하였다. 이에 논자는 「원불교 처처불상 사사불공을통한 기후위기 극복방안에 대한 연구」를 논제로 하여 원불교 불공법을 통한기후위기의 해결 방안에 대한 사상적 ·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고자함을 이 논문의 목적으로 삼았다. 원불교의 입장에서 자신의 종교적 가치가 세계 보편의 가치와 소통되기 위해서는 원불교 환경운동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소태산은 처처불상 사사불공의 불공법을 통한 기후위기의 극복을 간절히 바랄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