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무대 뒤의 목소리와 무대미술가의 자기 인식―아르코예술기록원 소장 무대미술가 구술자료를 중심으로 = The Voice Behind the Stage and the Stage Artist’s Self-Perceptions ―Based on Oral Records of Stage Artists at the ARKO Arts Archiv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9-102(34쪽)
제공처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activities of stage artists who have been marginalized in existing theatrical history narratives, to reveal the aesthetic contributions of stage artists in the 1960s and 1970s, considered a turning point in Korean theatre, and to shed new light on the landscape of the theatre scene during this period, based on the oral histories of Choi Bokyung, Yang Junghyun, Byun Changsoon, and Lee Byungbok. They position themselves as ‘performance artists’ rather than ‘stage technicians’, emphasizing their professionalism and fighting against the low perception of the performing arts through narratives about their independence from the theatre company or director and their creative contribution to the performance. There is also a sense that they are part of the current trends and challenges of Korean theater, which is the search for what is Korean. While the oralists who worked on costumes and staging share a common emphasis on the fact that their work was a creative process based on images and symbols, rather than a reproductive process of realistically creating a “setting,” they also present distinct aesthetic perspectives, which allows u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 in Korean theater since the 1970s. To understand the unique features of their works and perspectives, one must examine their performances or the aesthetic foundation of the works in conjunction with plays and directing and examine them in a three-dimensional manner.
더보기이 연구는 최보경, 양정현, 변창순, 이병복의 구술채록문을 바탕으로 기존의 연극사 서술에서 소외되었던 무대미술가의 활동을 조명함으로써 한국 연극의 전환기로 일컬어지는 1960-70년대에 활동한 무대미술가들의 자기 인식과 미학적 기여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들은 극단이나 연출가로부터의 독립적 지위와 공연에 대한 창조적 기여에 대한 서술을 통해 무대미술에 대한 낮은 인식과 싸워왔던 자신들의 전문성을 강조하면서 ‘무대 기술자’가 아닌 ‘공연 예술가’로서 자신을 위치시킨다. 또한 이들에게는 전통의 현대화와 실험적 무대라는 한국 연극의 과제에 동참하고 있다는 인식이 나타나는데, 의상과 무대를 담당했던 구술자들은 자신들의 작업이 ‘배경’을 사실적으로 구현해내는 재현적인 작업에서 탈피하여 이미지와 상징에 기반한 창조적 작업이었음을 공통적으로 강조하면서도 서로 구분되는 미학적 관점을 제시한다. 이들이 각기 보여주는 관점과 작품의 특색은 1970년대 이후 한국 연극계에서 전통의 현대화가 진행된 방향을 다각도로 살필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주로 활동했던 극단의 공연이나 작품의 미학적 근거를 입체적으로 살펴보아야 함을 알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