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중일전쟁 시기 ‘한국청년’의 항일 선전·예술 활동과 항일음악 = Anti-Japanese Propaganda Arts Activities and Anti-Japanese Music of 'Korean Youth' during the Sino-Japanese War
저자
이명숙 (경희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05-247(43쪽)
제공처
중일전쟁 후 임시정부와 이동을 함께 했던 ‘한국청년’은 광복진선 대부대의 피난을 도우면서 독립운동 세력의 총결집을 추동하고 재중 동포들 의 대일항전의식을 고취하고자 했다. 이들은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와 한국청년전지공작대를 차례로 결성해 한국독립운동 세력의 통일조직체 수립과 한중연대 실현을 위한 활동을 전개했다. 두 공작대는 인적으로도 연계되어 있었으며, 주요 활동의 하나로 항일 선전·예술 활동을 실행했다 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류저우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대표해 부상 장병 위문금 모금공연을 펼친 청년공작대는 첫 창작 연극 「국경의 밤」을 통해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명확히 하며 ‘한국 독립군’과 한중연대 를 실현하면 대일항전에서 승리할 수 있음을 극화해 보였다. 중국군과 연 합해 활동한 전지공작대는 시안에서 아리랑 공연을 성황리에 진행했 다. 「국경의 밤」과 함께 초모활동의 성공 실화를 극화한 「한국의 한 용사 」, 항일가극 「아리랑」이 무대에 올랐다. 특히 연극·노래·무용이 모두 어 우러진 가극 「아리랑」은 총연출 한형석을 통해 중국 문화예술계 인사까 지 대거 참여하면서 공연 자체로 한중연대를 실현하였다. 개별 명성이 크지는 않았던 ‘한국청년’들은 두 공작대를 이어 항일 선전·예술 활동과 성공적 초모 활동을 진행함으로써 중국군·민뿐 아니라 한 국 독립운동세력에도 ‘한국청년’의 역량을 증명해 보였다. 새로운 2세대 독립운동가라 할 수 있는 이들의 성공적 활동은 임시정부 및 가족부대에 게 활력이 되는 한편 임시정부 간부 등 1세대 독립운동가에게는 자극제 가 되었을 것이다. 공연에 활용된 음악은 주요 관객인 중국군·민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유명 서양 가곡, 항전가요, 한국적 정서를 담은 한국 민요와 가곡 등이었 다. 「그리운 강남」, 「반달」, 「청년행진곡」, 「최후의 결전」, 「승기가」 등 의 항일음악과 일제에 침탈당한 상황과 이에 맞선 강인함, 투쟁 정신 등 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장미화」, 「데아볼로」 등이다. 특히 「승기가」, 「한국행진곡」 등 새로운 항일노래가 창작되었을뿐 아니라 형식적 측면 에서도 항일가극이라는 새로운 양식이 등장해 항일음악사에 큰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하겠다. 또 가극 「아리랑」 전반에서 한국적 가락과 정서 를 적극 표현했다는 점에서 이 시기 ‘한국청년’ 및 한국 독립운동세력의 대일항전 주체로서의 자신감을 일정부분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 다.
더보기After the Sino-Japanese War, the "Korean Youth," who moved with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helped evacuate a large battalion of the Liberation Advance Line and sought to promote the unit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raise the awareness of anti-Japanese warfare among Korean compatriots in China. They formed the Korea Liberation Front Youths Mission Corps and the Korean Youths Battlefield Mission Corps one after another to establish the unification ranks for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realize the Sino-Korean Solidarity. The two Mission Corps were also connected in terms of personnel and had the commonality of implementing anti-Japanese propaganda arts activities as one of their main activities. In Liuzhou, the Youths Mission Corps performed on behalf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to raise money for wounded soldiers, and through its first creative play, "The Night of the Border," it clarified its identity as a "Korean" and dramatized how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and the Sino-Korean Solidarity could bring victory to the war against Japan. The Battlefield Mission Corps, which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Chinese military, held a successful performance of "Arirang" in Xi'an. Along with "The Night of the Border," "A Korean Soldier," which dramatizes the true story of the success of the recruiting activities, and anti-Japanese opera "Arirang," were staged. In particular, "Arirang," which combines theater, song, and dance, realized the Sino-Korean Solidarity through its director, Han Hyung-seok, and the participation of many Chinese cultural figures. The "Korean Youth," which did not have much individual reputation, proved the capabilities of the "Korean Youth" not only to the Chinese military and the people but also to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by carrying out anti-Japanese propaganda arts activities and successful recruitment activities. The successful activities of these new second-generation independence fighters would have energized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family units, while stimulating the first-generation independence fighters, including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ficials. The music used in the performance included Western pop songs and combat songs, Korean folk songs and songs containing Korean emotions, as the main audience is the Chinese military and civilians. There were not only anti-Japanese songs such as "Nostalgic Gangnam," "Bandal," "Youth March Song," "The Last Battle," and "Seunggiga," but also "Jang Mi Hwa" and "Diavolo," which express the situation of Koreans in Japan's invasion and the spirit of struggle against it. In particular, not only were new anti-Japanese songs such as "Seunggiga" and "Korean Marching Song" created, but a new form of anti-Japanese opera emerged in terms of form, and there were great changes and developments in the history of anti-Japanese music. In addition, in that the opera Arirang actively expressed Korean rhythms and emotions in general, it can be seen as expressing some of the confidence of the "Korean Youth" an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forces as the main body of resistance against Japan during this period.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