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OPUS
KCI등재
SCIE
B형 간염 바이러스 DNA 정량의 임상적 의의 : Branched-DNA 방법과 Hybrid Capture 2방법의 비교와 장기간 추적관찰 결과 Comparison of the Branched-DNA Assay with the Second-Generation Digene Hybrid Capture Assay and Long-term Observation =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Quantitation of HBV DNA in Serum
저자
전은정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한준열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최황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장우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이태규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김영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김진일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박수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김재광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정규원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선희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발행기관
학술지명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10
등재정보
SCOPUS,KCI등재,SCIE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57-166(10쪽)
제공처
목적: 말초혈액의 HBV DNA 존재여부가 바이러스 증식을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가장 좋은 지표이다. 장기간 추적검사가 가능했던 환자에서 채취한 혈청을 bDNA와 HCII로 HBV DNA 정량 분석하여 비교하고, HBV 감염에 의한 만성 간질환의 자연경과에 따른 HBV DNA 정량검사의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HBsAg 양성인 만성 간질환 환자로서 8년 이상 주기적으로 추적관찰을 하였던 83명의 남자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처음 방문시 임상진단은 만성간염이 73명, 간경변이 10명이었으며, 평균 추적 기간은 11.8년이었다. 83명의 환자에서 채취한 324예의 냉동 혈청을 대상으로 bDNA로 HBV DNA 정량검사를 하여 연령, HBeAg, 혈청 ALT치 및 임상경과에 따라 비교분석 하였다. 만성간염인 시기에 채취한 혈청이 230예, 간경변인 시기에 채취한 혈청이 80예, 간암으로 진단된 후에 채취한 혈청이 14예 였다. 324예의 혈청 중 157예를 임의 선택하여 HCII로 정량하여 bDNA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1) bDNA와 HCII로 시행한 HBV DNA의 정량검사 결과는 거의 유사한 농도를 보였고 (r2=0.893, p< 0.0001), 일치율은 89.2% 였다. HBeAg 양성이었던 78예 중 60예 (76.9%)에서 bDNA 양성이었고, HCII로는 65예 (83.3%)가 양성이었다. (2)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HBeAg 양성률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p=0.053), HBV DNA 검출률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0.75). (3) ALT 치가 높을수록 HBV DNA 검출률이 높았다 ( p=3.62×10- 14). (4) 처음 방문시 만성간염으로 진단하였던 환자 73명 중 38명 (52.1%)에서 간경변으로 진행하였고, 9명 (12.3%)에서 간암이 발생하였다. 처음 방문시 간경변으로 진단하였던 환자 10명 중 5명 (50.0%)에서 간암이 발생하였다. (5) 만성간염, 간경변 및 간암의 시기에 채취한 혈청의 HBV DNA 검출률은 각각 70.6%, 64.0%, 42.9% 였고 ( p=0.08), HBeAg 양성률은 각각 57.8%, 55.0%, 14.3%였다 ( p=0.006). HBV DNA가 검출된 예의 평균 HBV DNA 농도는 만성간염이 505.0 MEq/mL, 간경변이 184.1 MEq/mL, 간암이 15.3 MEq/mL로서 간염의 경우가 가장 높았고, 간암의 경우가 가장 낮았다 ( p=0.036). (6) 주기적으로 측정한 혈청 HBV DNA 농도는 개인 내에서 변동이 심하였고, HBV DNA가 검출되지 않은 적이 있는 환자 50명 중 39명 (78%)은 추적 기간 중에 다시 HBV DNA가 검출되었다. (7) 처음 방문시 만성간염으로 진단하였던 환자 중 처음 채취한 혈청에서 HBV DNA가 검출되었던 환자의 50.9%와 HBV DNA가 검출되지 않았던 환자의 56.3%에서 간경변으로 이행하였다. 처음 방문시 HBV DNA가 검출되었던 환자의 15.0%와 HBV DNA가 검출되지 않았던 환자의 20.0%에서 추적 기간 중 간암이 발생하여, 첫 방문시의 HBV DNA 검출 여부로 간경변이나 간암의 발생을 예측할 수는 없었다. (8) 최초 진단이 만성간염이었던 73 명 중 최종진단이 만성간염, 간경변, 간암인 환자에서 처음으로 채취한 혈청의 HBeAg 양성률은 각각 70.6%, 73.3%, 44.4%로서 간암의 경우 가장 낮았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HBV DNA 검출률은 각각 79.4%, 76.7%, 77.8%로서 차이가 없었지만, HBV DNA가 검출된 환자의 평균 HBV DNA 농도는 각각 650.6 MEq/mL, 523.2 MEq/mL, 304.2 MEq/mL로서 간암 환자의 경우 가장 낮았다. 결론 : bDNA 법과 HCII법의 HBV DNA 정량검사 결과는 유사하였다. 처음 채취한 혈청의 HBV DNA 검출 여부로 간질환의 경과를 예측할 수는 없었다. 간암이 발생한 후에 채취한 혈청의 HBV DNA 양성률은 만성간염과 간경변과 차이가 없지만, HBV DNA 검출예의 HBV DNA 농도는 낮았고 HBeAg 양성률도 낮았던 점으로 보아 HBeAg이 음성이고 HBV DNA가 낮은 농도로 검출되는 경우 간암에 대한 정기적인 선별검사를 적극적으로 권유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더보기Backgrounds/Aims: Serum levels of hepatitis B virus (HBV) DNA are direct measures of viral replication in epatocytes. We compared branched- DNA assay (QuantiplexT M, bDNA) and Hybridization Capture II (HCII), and evaluated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HBV DNA quantitation in the natural course of HBV infection. Methods: We analyzed results of bDNA in 324 serum samples from 83 untreated male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Mean follow up period was 11.8 years. HCII was also performed in 157 arbitrarily selected samples. Results: HBV DNA levels measured with two assays were very similar (r2=0.893, p< 0.0001). HBV DNA detection rate of HCII was 6.4% higher than that of bDNA in HBeAg positive samples. HBV DNA detection rate was higher in cases with higher ALT . Among 73 patients with initial diagnosis of chronic hepatitis, 38 patients (52.1%) experienced progression to cirrhosi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was developed in 9(12.3%). HCC was developed in 5 (50.0%) of 10 patients with initial diagnosis of cirrhosis. While HBeAg positive rates during chronic hepatitis, cirrhosis and HCC were 57.8%, 55.0% and 14.3%, respectively ( p=0.006), HBV DNA detection rates were 70.6%, 64.0% and 42.9%, respectively ( p=0.08). Especially in HCC, the discrepancy between HBeAg positive rate and HBV DNA detection rate may suggest the appearance of variants which cannot produce HBeAg. Conclusion: Both HCII and bDNA were similar HBV DNA quantitation assays for clinical use. HBV DNA level correlated with the severity of liver disease. Screening tests for HCC should be recommended in patients whose HBeAg is negative and have detectable HBV DNA. (Korean J Hepatol 2002;8:157-166)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