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917년 독일포로 고려인이 부른 독립운동가요 = A study on Korean POWs songs recorded by German Anthropologist in 1917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KDC
91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5-106(32쪽)
KCI 피인용횟수
4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본 논문은 1917년 3월 22일 독일전선에서 러시아 군인으로 투입된 연해주 한국인(고려인)으로부터 독일인 인류학자 뮐러교수가 채록한 노래들 중에서 1900년대 초기 항일 독립운동가 3곡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1910년대부터 구전되어 가사에만 의존했던 독립운동노래를 1917년에 녹음된 자료에 의한 채보를 실현할 수 있었다는 것은 그 당시에 불렀던 항일가요의 복원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안중근의 작사로 알려진 <의거가>(만났도다)의 작사자를 분명히 밝히고, 노래선율을 채보하여 후세대에 전달 할 독립운동가요에 대한 음악적인 내용과 노래 가사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확인하였다. 우덕순이 작사한 <의거가>는 후세들에게 <우덕순가>, <만났도다>, <이등도살가>, <의거가> 등의 변형된 노래제목들과 함께 가사에서 핵심적인 내용은 같으나 후렴구가 첨가되거나 말이 현대어로 다듬어진 노랫말로 전수되었음을 밝혀내었다.
1910년대에는 같은 선율에 노래가사를 바꾸어 부르는 경우가 많았다. 가장 오래된 독립운동가로 추정되는 <대한사람은>은 한문을 외울 때 불렀던 노래와 유사한 선율로 노래했다. <조국강산>은 애국계몽가요로서 <만났도다>는 <조국강산>의 곡에 가사를 부친 것이다. <만났도다>는 그동안 국내에서 안중근의 노래로 소개되었으나, 1910년 『대동공보』의 기록이 발견되어 우덕순의 <의거가>임이 확인되었다. 우덕순의 <의거가>는 <만났도다>로 시작되는 노래로 많은 사람들이 가사를 알고 있었으나 선율의 전승이 끊기었다. 그러나 본 자료발굴로 인해 노래 선율이 밝혀졌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ree songs for independence sung in the promotion of anti-Japanese sentiment in the 1900s that I transcribed from the recording made by Professor Muller, German Ethnography scholar. He recorded Korean popular songs sung by the three Korean soldiers who happened to arrive at the front line of a battle field in German being transferred to the Russian Army on March 22, 1917. It is notable that this transcription contributes to restoring the songs for Independence that had been orally descended from the time to be a historical material.
I also found the fact the writer of ‘Euigeoga’(mannatdoda) is U deok-sun, not An Jung-geun by studying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his songs and their lyrics such as ‘U Deok-sunga’ ‘mannattdota’ ‘Ideung dosalga’ as well as ‘Euigeoga’. It is interesting that the lyrics appeared in all these songs are somewhat similar other than adding a different refrain part or using some modern term. In fact, in the 1900s it was common to sing the same song with different lyrics. The oldest independent song, ‘Daehansaram’ used to be sung with the same melody that Koreans used to memorize the Chinese characters. ‘mannatdoda’ is a song that adopted a different lyrics to the same melody of ‘Jogukgangsan’ which is a patriot’s song. By mistake, ‘mannatdoda’ was known as an An Jung-geun’s song. However, when ‘mannatdoda’ was revealed in ‘Daedonggongbo’ in 1910, it was confirmed that the writer of the Euigeoga song is U Deok-sun. Although Euigeoga was once popular, there was no record to show its melody. In this paper I restored the melody on the basis of the recording material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5-20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TUDIES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9 | 0.59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4 | 0.62 | 1.442 | 0.0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