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고독사 위험군의 심리적 활력을 위한 활동이론 기반의 커뮤니케이션 공간 연구 -북유럽 코하우징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mmunication Spaces Based on Activity Theory for Enhancing Psychological Vitality in High-Risk Groups of Lonely Death -Focused on Co-housing Cases in Northern Europe-
꾸준히 증가하는 고독사는 사회에서 관심을 두고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에 대한 대책으로 환경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시작하였다. 연구는 고독사 위험군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커뮤니케이션 공간과 활동이론의 관계성을 기반으로 조건 특성을 도출하여 심리적 활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환경의 조건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를 통해 활동이론에 대한 가능성과 특성 요소를 파악하고 커뮤니이션 공간 특성을 도출하였다. 활동이론의 특성은 ‘타인과의 공유’, ‘상호작용’, ‘단체활동’, ‘자발적 참여’, ‘비자발적 참여’, ‘필수적 행위’, ‘여가와 흥미’로 7 가지였으며, 커뮤니케이션 공간 특성은 ‘접근성’, ‘교류성’, ‘개방성’, ‘상호작용성’, ‘우연성’, ‘확장성’, ‘가변성’ 으로 총 7가지이다. 활동이론의 특성과 커뮤니케이션공간 특성은 연계성을 갖고 연결할 수 있다. 그러한 관계를 기준으로 하여 북유럽 코하우징 사례 분석을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다양한 형태의 커뮤니케이션공간 제공, 커뮤니케이션 공간과 개인공간의 평등한접근성에서는 다소 아쉬움이 남는다. 고독사 위험군에게 커뮤니케이션과 사회 활동의 상황에 노출시켜 얻을 수 있는 긍정적 요인들을 효과적으로 발현시킬 수 있는 섬세한 노력이 필요하다. 고독사 위험군의 공유와 사회적 활동을 통해 심리적 활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사회적 노력이 필요한 시기에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조건과 특성이 대책 마련과 지원 방향성의 기준점이 되기를 바란다.
더보기This study begins with the recognition that environmental support is necessary as a solution to the social issue of Lonely death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paces and environmental theories, which should be provided to groups at risk of lonely deaths, the study aims to identify environmental conditions that can enhance psychological vitality.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seven characteristics of activity theory were derived: ‘Interaction with others’, ‘Interaction’, ‘Group activities’, ‘Voluntary participation’, ‘Involuntary participation’, ‘Essential actions’ ,‘Leisure and interest’. Likewise, seven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space were identified: ‘Accessibility’, ‘Interactivity’, ‘Openness’, ‘Interaction’, ‘Serendipity’, ‘Expandability’, ‘Variability’, These characteristics of activity theory can be linked to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spaces.
Focusing on this relationship, a case study analysis of Nordic co-housing models was conducted. The analysis revealed a shortcoming in providing diverse forms of communication spaces and equal accessibility between communication and personal spaces. Efforts are needed to enhance psychological vitality through social activities that effectively manifest the positive factors gained from offering communication and social activity opportunities to groups at risk of lonely deaths. At this critical time, it is hoped that the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proposed by this study will serve as a guideline for developing solution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