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국내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석사논문의 주제유형 조사연구 : 피아노 관련 주제유형을 중심으로 = Investigative Research on Subject Types of Master's Theses of Music Education Majors at Domestic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 Based on Subject Types Related to Piano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95-113(19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This study conducted the classification survey on the subject types related to the piano in master's theses of music education majors produced at 55 domestic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the period of 2006 ~ 2015 for the purpose of giving practical help, on the basis of the survey, in presenting directions and developing themes in the future researches by identifying and considering the research trends in this area. As a results, first,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frequency rate per detailed major type regarding over 6,000 relevant data in total through the search of keyword “Music education major” consisted of 15.6% for instrumental music, 8.9% for singing, and 75.5% for composition, theory,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others. Second, the subject types related to the piano among detailed majors were shown to account for 30% of instrumental music and were equivalent to 4.7% of total music education. Third, according to the classified results by detailed item of the subject types related to the piano, the type of 'teaching methods and guidance plan'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rate with about 50% our of total while the research type of infants and children target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in target-specific distribution. It was investigated to be followed by the second highest item, the type of 'analysis and study of textbooks, teaching methods and music' and the third highest item, ‘methods to utilize the piano for music lessons’. Fourth, the quantitative research types based on the case analysis, survey and experiment and practice turned out to account for 17.7% out of total and it is the time where the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study subject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need for quantitative study is required. From now on, more meticulous and in-depth analysis than the previous studies that have been achieved for the development of study subject in this field to date should follow whereas efforts are needed to harmonize and balance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within the relevant study area. It is expect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preparing the master's thesis at graduate schools as well as for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research topics in the relevant area.
더보기본 연구는 2006년∼2015년의 기간에 배출된 국내 55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석사논문의 피아노 관련 주제유형 분류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본 영역의 연구 동향을 파악, 고찰함으로써 추후 연구의 방향 제시 및 주제 개발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음악교육전공’키워드 검색을 통한 해당 자료 총 6,000여 편의 세부 전공 유형별 빈도율은 기악 15.6%, 성악 8.9%, 작곡, 이론, 국악 및 기타 75.5%로 조사되었다. 둘째, 세부 전공 중 피아노와 관련된 주제 유형은 기악의 30%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악교육 전체의 4.7%에 해당하였다. 셋째, 피아노 관련 주제유형의 세부항목별 분류 결과에 따르면 ‘교수방법 및 지도방안’유형이 전체의 약 50%로 가장 높은 빈도율을 보였으며 대상별 분포로는 유아 및 아동 대상의 연구 유형비율이 가장 높은 비율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교재, 교수법, 악곡 등의 분석 및 고찰’ 유형과 ‘음악수업을 위한 피아노 활용방안’유형이 각각 2위, 3위 항목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사례, 현황 조사 및 실험, 실습 등을 바탕으로 하는 양적연구 유형은 전체의 17.7%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적연구의 필요성 인식을 바탕으로 해당분야의 연구주제 개발 및 활성화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향후 본 분야의 연구주제의 개발을 위해 현재까지 이루어졌던 선행연구를 대상으로 보다 면밀하고 심도 있는 분석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며 영역 내 양적연구 및 질적연구 간의 균형과 조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가 해당분야의 연구주제 개발 및 확장과 아울러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작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10-1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Music Educational Technology ->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 KCI후보 |
2008-10-15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컴퓨터음악교육학회 -> 한국음악교육공학회영문명 : The Korean Computer Music Education Society -> The Korean Society of Music Education Technology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 | 0.7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67 | 0.785 | 0.3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