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위기와 재난의 시대를 위한 종교의 여성리더십에 관한 유형론적 연구-치유, 정의, 평화의 모델을 중심으로- = A Typological Study on Women’s Leadership in Religion in the Age of Crisis -Focusing on the Model of Healing, Justice, and Peac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7-86(30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paper will examine women’s leadership in religion, which creatively responds to three types of healing, justice, and peace to deepen various social problems and conflicts in the post-Corona era as a phenomenological typology. We pay attention to women’s leadership in religion in the age of disaster, especially in the age of disease, because of its scarcity and importance. Male leadership is remarkably revealed among established world religions, but female leadership is not easily found. In the 21st century, we would like to analyze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women’s leadership in the new religious trend amid the amplification of future uncertainties and social unrest in the political economy as mankind faces the crisis of COVID-19. As examples of white women, black women, and Asian women, Mary Baker Eddy (1821-1910) of Christian Science, Ida Bell Wells-Barnett (1862-1931), and Han Hakja of the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1943).
COVID-19 has changed daily lives in Korea and around the world.
The importance of mental and spiritual healing, such as Mary Eddy, a white woman, should also be reflected so that the global epidemic is not reduced by focusing only on physical treatment. In an era of non-face-to-face information, false information is rampant, and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women’s leadership that can honestly convey and embrace truth and differences like Ida Wells. Furthermore, the peace activities through the family association of President Han Hakja show female leadership in a wide area that is difficult to find in other new religions. The three female leaders should be more sympathetic and systematically reassess their activities and contributions in that they have worked for the peace and justice of mankind beyond the social conventions of the genders they have experienced.
본 논문은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여러 사회적 문제의 심화와 갈등에 대한 치유(healing)와 정의(justice) 그리고 평화(peace)의 세 가지 유형으로 창조적으로 대응하는 종교의 여성 리더십(women’s leadership in religion)을 현상학적 유형론으로 검토할 것이다. 재난의 시대, 특히 질병의 시대에 종교의 여성리더십에 주목하는 이유는 그 희소성과 중요성 때문이다. 기성 세계종교들 가운데 남성 리더십은 현저하게드러나지만, 여성 리더십은 쉽게 발견되지 않는다. 21세기 인류가 코로나의 위기에직면하면서 미래의 불확실성과 정치경제의 사회적 불안이 증폭되는 가운데 새로운종교적 흐름의 여성 리더십이 지닌 주요 특징과 한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백인 여성, 흑인 여성, 아시아 여성의 사례로서 크리스천 사이언스(Christian Science)의 에디(Mary Baker Eddy, 1821-1910), 감리교회의 웰즈-바닛(Ida Bell Wells-Barnett,1862-1931),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의 한학자(韓鶴子, 1943-)를 선택하였다. 코로나19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의 일상을 송두리째 변화시켰다. 세계적인 전염병이 물리적인 차원의 치료에만 집중되어 환원되지 않도록, 백인 여성 메리 에디와 같이 정신적이며 영적인 치유의 중요성도 함께 성찰되어야 할 것이다. 비대면의 시대에 무엇보다도 거짓 정보가 난무하고 있는 상황에서, 흑인 여성 웰즈처럼 진리와 차이를 정직하게 전달하며 포용할 수 있는 여성의 리더십이 절실히 필요하다. 나아가, 한학자의 가정연합을 통한 평화 활동은 다른 신종교들에서는 찾아보기힘든 넓은 영역에서의 여성 리더십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살펴본 세 여성 종교지도자들은 흑인, 백인, 아시아인이라는 인종의 범위에 머물지 않고, 그들이 경험한 젠더에 대한 사회문화적 통념을 뛰어넘어서 인류의 치유와 정의 그리고 평화를 위해 노력했다는 점에서 그들의 활동과 기여에 대한 보다 공감적이며 체계적인 재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