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치유 관광콘텐츠로서의 카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afes as Healing Tourism Conten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미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75-310(36쪽)
제공처
본 연구는 치유관광콘텐츠 관점에서 카페 공간이 사람들의 일상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삶에 지친 사람들을 위로하는 공간으로서 상당한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는 등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밝히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카페는 과거부터 사람들이 소통하는 공간 이외에도 사색하고 탐구하고 토론하는 과정에서 삶의 동반자로서 자리 잡아 치유의 공간이 되어왔다. 특히, 사람들 간의 관계를 유지하며 사회를 발전시켜 나가는 발전소 역할도 하며, 사람들의 생각을 자극하고 확장하는 역할을 통해 사회 발전의 역할을 해왔다는 의미이다.
최근에 카페는 사람들 간의 문화적 연결고리 역할도 하며 사회적인 소통을 촉진하여 인간관계를 강화하고 유지하는 데 크나큰 이바지를 하고 있다. 본 연구가 치유관광콘텐츠로서 카페를 다루는 것은 카페가 치유관광콘텐츠로서 가능성이 있으며, 카페 공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카페 문화의 외연을 확장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더욱 다양한 커피산업의 콘텐츠를 확보하는 데 이바지할 것이다.
본 연구가 치유관광콘텐츠 관점에서 카페 공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은, 첫째, 문화 교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둘째, 커피의 상징적 의미와 문화적 가치를 강조하는 의미이다. 셋째, 인간 심리와 생활양식의 연구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이런 측면에서 다양한 치유관광콘텐츠 중 카페 공간을 분석한 결과, 첫째, 유럽 커피하우스처럼 다른 사람과의 소통과 대화를 통해 치유의 시간을 제공하는 역할 공간, 둘째, 카페가 사람들의 정신적·심리적 안정감에 이바지하는 역할 공간, 셋째, 생태관광 및 지속가능성을 주도하는 공간으로서의 카페 역할 강화, 넷째, 문화 및 치유 관광 체험공간으로서의 카페 역할 강화를 제시하였다.
특히, 치유 관광 관련 법률이 제정되고 시행되는 상황에서 카페 공간 발전 방향을 우선, 치유 관광콘텐츠로서의 카페의 포지셔닝과 잠재적 가치 활용, 둘째, 치유관광콘텐츠로서 카페를 통한 제3의 공간 관련 지식 확장의 가능성 확보, 셋째, 본 연구가 제안한 내용의 유효성과 한계에 관한 검증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이론적 시사점으로 치유 관광콘텐츠로서의 카페의 향후 연구 방향을 지속해서 추진할 동기 부여를 했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ignificant role that cafe spaces play in shaping people’s daily lives, providing meaning and offering value as comforting spaces for those fatigued by life, viewed through the lens of healing tourism. Historically, cafes have served as spaces for healing—not only as places for people to connect but also as companions in the processes of thinking, exploring and discussing life. In this way, cafes have acted as “powerhouses,” maintaining relationships and fostering social development by stimulating and expanding people’s thoughts. More recently, cafes have emerged as cultural bridges, enhancing social communication and significantly contributing to the reinforcement and maintenance of human relationships. This study focuses on cafes as healing tourism content due to their inherent potential as healing spaces, aiming to deepen understanding of cafe spaces. This approach will not only help expand the cultural scope of cafes but will also contribute to diversifying content within the coffee industry.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afe spaces from a healing tourism perspective for three main reasons. First, it aligns with the importance of cultural exchange. Second, it highlights the symbolic meaning and cultural value of coffee. Third, it contributes to the study of human psychology and lifestyle. Thus, through an analysis of cafe spaces within healing tourism,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first, cafes are spaces that provide healing through conversation, akin to European coffee houses; second, they contribute to ment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they promote ecotourism and sustainability; and fourth, they offer experiences of cultural and healing tourism. Given the recent implementation of laws related to healing tourism, the development of cafes as healing tourism spaces is prioritized. This includes, first, positioning cafes as healing tourism content and utilizing their potential value; second, expanding knowledge of “third spaces” through cafes as healing tourism; and third, validating the ideas presented in this study. These findings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ongoing research into the evolving role of cafes as healing tourism space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