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석암제 시조의 창법적 특징과 구조-배자법을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Seokamje Sijo Singing Style -Focused on the Rule of Baeja(排字: Position of syllables)-
저자
임미선 (전북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5-147(33쪽)
KCI 피인용횟수
4
제공처
Seokamje is the singing style of the great singer, Jung Kyungtae (1916~2004). He developed new sijo singing style to unify various regional and individually different styles of sijo singing. The newly created Seokamje sijo singing style was spreaded throughout the national sijo singing contest and nowadays most of sijo singing styles are almost unified as Seokamje.
In this paper, I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eokamje sijo that is the most popularly sung by many people in the whole country in these days.
Jung Kyungtae(鄭坰兌) considered that the sijo singing style of Koje, based on the three tone scales or tetrachord, was not correct. Therefore, he inserted several tones such as daeryeo, yubin, and namryeo, into the scale that was constructed with already used tones such as hwangjong, Jungryeo, Imjong and Muyeok. He also made a change of sijo melodies with the sokcheong technique based on the rule known as yulryoesangjo.
Besides this,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seokamje sijo singing style can be found from the rhythmic patterns, induced by the Rule of Baeja. This rhythmic pattern was standardized based on the rhythmic pattern of Koje that 3 and 5 points(點) was not accurately matched to the 5 and 8 beats(拍).
In other words, Seokamje showed quite big differences from the Kyongje. The reasons are as follows:first, three tone scales or tetrachord of koje was modified in Seokamje. Second, detailed melodies was improved in Seokamje. Third, the sijo rhythimc pattern was standardized in Seokamje.
석암제(石菴制)란 정경태(鄭坰兌:1916~2004)의 시조창법(時調唱法)을 말한다. 정경태는 지역 혹은 개인에 따라 다른 시조창법을 통일하고자 기존에 불리던 시조창을 독자적인 방식으로 변개하여 새로운 시조창을 만들었다. 그에 의해 새로 창작된 석암제 시조창은 시조경창대회를 통해 전국적으로 전파되었다. 고제를 변형시킨 석암제가 웅심하고 장중하며 점잖은 원형 창법에서 벗어나 속요화(俗謠化)되었다는 비판이 있는가 하면, 배우기도 쉽고 듣기도 좋다는 긍정적인 평가도 있다. 석암제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지만, 근자에 석암제 시조를 배워 부르는 전문음악인과 일반인이 크게 늘어나면서 경제와 향제의 구별은 물론, 향제의 지역적 차이는 거의 사라지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오늘날 전국적으로 가장 많이 불리고 있는 석암제 시조의 창법적 특징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석암제 시조창은 대부분 초장이 30박(5․8․8․5․4), 중장이 32박(5․8․8․5․6), 종장이 19박(5․8․6)의 총 81박에서 배자가 이루어진다. 각시조․엮음지름시조․굿거리시조 등 일부 시조창은 각이 늘어나서 81박 이상에서 배자가 이루어진다. 이는 경제에서 사설지름시조는 중장의 길이가 확대되지만, 석암제에서는 평시조와 같은 길이로 부르는 차이가 있다. 또한 석암제 시조창은 3~4음계를 변형하여 잔가락을 늘림에 따라 기본적인 배자법의 원칙하에 이루어진 가사의 배분에서 경제와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
정경태가 고제(古制)인 완제시조, 영제 등의 시조를 변개하여 만든 석암제 시조창에는 기존의 향제, 경제와도 다른 차이점이 명확하게 존재한다. 정경태가 서울로 이거하기 이전에 시조 교육을 펼쳤던 전북 지역 시조창인 완제와도 다름에도 전북지역에서 시조인들이 그들이 부르는 것을 완제창으로 오인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석암제가 고제인 경제, 향제와 다른 요소로서 본래 시조의 황종(黃)․중려(仲)․임종(林) 또는 황종(黃)․중려(仲)․임종(林)․무역(無)으로 되어 있는 3~4음음계의 계면조에 유빈(蕤)․남려(南) 등을 추가하여 선율을 변형하고 장단을 정형화하였다.
배자법에서 경제와 다른 차이점이 있는 요소는 배자가 들어가는 박, 배자가 되는 박(拍) 내의 음절 배분에서 크게는 각수의 구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이루어졌음을 알게 되었다. 전반적으로 석암제는 경제에 비해 사설을 촘촘히 붙이는 배자법을 많이 쓰는 특징도 도출되었다. 잔가락이 많이 들어가고 리듬이 세분됨에 따라 매개모음이 추가된다. 온지름시조와 같은 일부 시조창에서 부분적으로 가곡창과 같은 어단성장(語短聲長)의 효과가 나타나기도 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7 | 0.97 | 1.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5 | 0.88 | 1.394 | 0.1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