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보건소의 현황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 서울시내 여자대학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Activation Program Through the Evaluation of University Health Center : on the women's university in Seoul
저자
발행사항
서울 : 同德女子大學校 一般大學院, 2001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同德女子大學校 一般大學院 , 保健管理學科 保健學 專攻 , 2001
발행연도
2001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KDC
517.16 판사항(4)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vii, 86p. ; 26cm.
소장기관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보건소의 기능과 역할평가를 통해 대학보건사업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며 구체적으로는
첫째, 보건소의 시설, 인력, 보건서비스, 교육현황을 분석하여
둘째, 보건소의 역할과 기능을 평가하고
셋째, 대학 보건소의 활성화 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대학병원을 소유하지 않은 서울시내 5개 여자대학의 보건소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와 문헌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설문자료, 보건소 이용현황 및 시설, 인력 현황 등은 백분율을 이용한 기술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학교의 부칙에 나와 있는 보건소 요원에 대한 명시와는 달리 실제로 근무하는 인력은 근무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전문인력 부족으로 인해 보다 전문적이고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없었다.
의약품은 의용약은 모두 갖추고 있었으나 내복약의 경우 단순한 내복약만이 비치되어 있었으며, 의사의 지시가 있을 경우 처방하게 되어 있었다.
상근의사가 있는 학교에서는 종류별 개수뿐만 아니라 기자재의 질적인 측면도 뛰어 났다. 특히, 이 학교는 치과 진료를 하고 있어 흉부 간접촬영 카메라, 치과 X-RAY, UNIT, CHAIR(치과용 진료의자)의 기자재를 갖추고 있으며, 그 밖에 초음파, 심전도도 갖추고 있었다.
D여대의 경우 학생수에 비하여 침상수의 비율이 다른 네 학교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며, C여대는 학교 총 면적에 대한 보건소 면적이 다른 네 학교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건강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중 다섯 학교에서 모두 이루어지고 있는 사항으로는 건강상담을 들 수 있다. 특이 사항으로는 방역사업을 주관하고 하고 있는 학교도 있었다.
학교별로 실시하는 각종 검사는 학교별로 차이가 많았으며, 이와 같은 검사를 전혀 제공하지 않는 학교도 있었다.
예방접종은 주로 위탁을 통해 실시되었으며, 진료업무에 관한 사항으로는 기본적 업무는 모두 하므로 보건소의 진료 업무에 관한 사항은 잘 이루어지고 있었다.
대학별 비품 및 문서관리를 살펴보면, 모든 사항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한 학교의 경우에 학생 건강기록지가 없고 대신 일일기록지로 대체하고 있다.
여자대학의 특성상 여성건강과 관련된 보건교육이 많이 실시되고 있었으며, 각 대학에서 실시하는 보건교육의 내용은 성교육, 피임교육, 결핵예방 및 관리, 비만교육, 구강보건, 절주교육, 성인병교육, 정신건강교육, 응급처치 등이었다.
보건소의 이용률은 점차 증가하고 있었으며, 여자대학 특성상 이루어지고 있는 서비스 및 진료를 살펴보면, 성교육의 내용이 주를 이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5,000명 이상의 여학생과 교직원이 상주하고 있는 대학에서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증진을 위한 기능과 역할은 매우 위축되어 있으며, 학내 보건문제의 파악은 물론이고 교내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대학보건소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대학의 보건소가 건강관리의 중심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질적으로 수준 높은 건강증진, 예방사업(예방접종, 신체검사, 건강검진, 건강상담, X선검진, 임상검사), 학교 환경위생 유지관리와 개선, 모든 학생 및 교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 건강증진사업의 기반 확보(전문인력, 보건소 예산, 기자재 보유, 의뢰체계의 확립), 보건교육(보건학 강좌 개설, 건강강좌, 건강교실 및 시청각 교실 운영), 적극적인 홍보활동(인터넷, 공공장소 게시판 이용)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ment activation program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function and role of university health center. Data were collected from internet, questionnaire survey, university bulletins, utilization data of health center, and official documents of 5 women's universities do not have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from November 1, 2000 to November 15, 200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nly one university had full-time doctor, the other had part-time doctor, and the rest had only nurse unlike regulation of each university health center.
2. Drugs for internal and external use which could be medicated without doctors prescription and 23 kinds of medical devices were equipped for the students and school people.
3. The size of university health center were less than 0.1% of total campus area and number of beds for rest in health center were 4 to 8.
4. Health services provided by health center were health counseling, physical examination and various clinical examinations, medications, health education, and vaccination.
5. Number of visit to university health center were ranged 5,000 to 12,000 per year by student and school people and major symptom were minor digestive, respiratory, and muscular skeletal diseases such as indigestive, constipation, diarrhea, common cold and sprain.
6. Contents of health education provided by university health center were focussed on sex and contraceptives, quit smoking and drinking, obedity, mental health, oral health, and first aid.
7. The budget of university health center were less than 0.2% of total university budget.
In conclusion, the stratege to activate university health center is to development health promotion program based on health problems of university students, to secure budget and professional manpower to be able to implement health project form university authority, and to develop university health center homepage to inform health information and educate the student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