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임진전쟁 발발로 인한 明代 海防認識의 변화 : 『籌海圖編』과 『籌海重編』 속 海防地圖를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1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41-187(47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고는 임진전쟁의 발발이 명의 해방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籌海圖編』과 『籌海重編』에 수록된 연해 海防지도 분석을 중심으로 하되, 지도상에 표상된 16세기 중엽부터 16세기 말까지 명의 해방인식의 변화상을 포착하고, 나아가 그 변화상의 의미를 임진전쟁이라는 중요한 역사적 사건과 연결하여 해석을 시도한다.
임진전쟁의 발발로 인해 명나라는 기존의 동남 연해 중심의 해방 문제에서는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수도 북경과 가까운 발해만 일대 연해 해방의 중요성을 새롭게 포착하게 되었다. 당시 명은 수도 북경 방어에 있어 오랑캐의 침입에 대비한 육로 방어는 익숙했던 반면 해방은 취약했던 상황이었다. 명조는 해방의 미비점을 인식하고 보완하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였고, 그 과정에서 새롭게 동북 해방의 중요성이 급부상하게 되었다.
임진전쟁 발발로 인해 변화된 해방인식은 명대 해방지도 증보 제작에 영향을 미쳤다. 전쟁 발발 직후 제작된 『籌海圖編』의 증보본인 『籌海重編』 속 《萬里海圖》에는 이전에 없던 〈北直隸海圖〉가 새롭게 추가되었고, 그 안에는 기존의 정약증의 72폭 《萬里海防圖》에는 없었던 수도 방어를 위한 해방의 전략적 요충지인 천진위와 양성위가 처음 등장하게 되었다. 이처럼 해방지도에 나타난 작지만 유의미한 변화는 당시 임진전쟁 발발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고조된 동북 해방에 대한 명나라의 해방인식이 반영된 결과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the Imjin War outbreak in 1592 on Ming’s perception of coastal defense and its representation on maritime maps of the time. The research compares the differences in coastal maps presented in two books, Chouhai tubian (籌海圖編) and Chouhai zhongbian (籌海重編).
The outbreak of the Imjin War made Ming to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Northeast maritime defense, which had been overlooked due to the ’wokou’ issue in the Southeast during the mid-16th century. The war posed a major threat to Ming’s maritime security, directly linked to safeguarding the capital, Beijing. This change in perception is distinctly reflected in the coastal maps of Chouhai zhongbian, with the introduction of a new section labeled Beizhili haitu (北直隸海圖). An analysis of the Beizhili haitu reveals the addition of strategic points - Liangchengwei (梁城衛) and Tianjinwei (天津衛) - on the coastal map. These locations are crucial for maritime security, especially in defending the capital, Beijing. The new additions to the maritime maps significantly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shift in Ming’s perception of coastal defense strategies due to the Imjin War.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