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부정적 편향을 나타내는 ‘-을까 말까 하다’ 구문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주제어
KDC
71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5-63(29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을까 말까 하다’가 부정적 편향을 지니는 경우가 있음을 보이고 부정적 편향을 나타내는 특정한 문맥이 무엇인지를 설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영어에서 부정적 편향을 나타내는 척도 표현의 특성을 바탕으로, 한국어에서는 낮은 척도에 위치한 표현이 부정적 편향을 강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을까 말까 하다’ 구문에서는 낮은 지점의 척도 표현이 부정적 편향을 나타내면서도 영어와 달리 부정극어로 취급되지 않는 차이를 확인하였다.
‘-을까 말까 하다’ 구문과 결합할 수 있는 양의 척도와 빈도 척도를 살펴보았으며, 사태 발생 가능성이 매우 낮음을 표현하기 위한 방책을 제시하였다. 양의 척도가 사용될 경우, ‘-을까 말까 하다’는 주로 특정 개체가 참조값에 도달할 가능성이 낮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빈도 척도와 결합할 경우, ‘-을까 말까 하다’는 사태 발생 가능성이 극히 낮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양의 척도 또는 빈도 척도가 쓰인 ‘-을까 말까 하다’가 관형 형식으로써 후행 형용사의 심한 정도를 극대화하여 나타내기도 한다. 한편, 사태의 발생 가능성을 극히 낮다는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극단적인 사태를 최소 조건으로 설정하거나 가능성이 낮은 사태와 비교하는 방책을 사용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을까 말까 하다’ 구문은 화자의 경험과 세상 지식을 바탕으로 개념 척도에 대한 정교한 추론을 표현하는 중요한 언어적 수단임을 입증하였다.
향후 과제로서 ‘편향’이라는 의미론적 개념을 한국어학적으로 체계화하기 위해 이를 나타내는 다양한 한국어 구문과 구성을 수집하고 체계화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한국어의 구문과 구성이 지니는 고유한 의미적 기능과 통사적 특징을 심도 있게 모색하고 ‘편향’을 나타내는 언어적 방책을 유형화함으로써, ‘편향’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정교한 이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specific contexts and diverse syntactic features of the negative bias expressed by the construction ‘-lkka malkka hada’. Firs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calar expressions that indicate negative bias in English, it was demonstrated that expressions located at the low scale play a crucial role in emphasizing negative bias in Korean.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unlike English, scalar expressions in the ‘-lkka malkka hada’ construction, while indicating negative bias, are not treated as negative polarity items.
The study examined the amount scales and the frequency scales that can combine with the ‘-lkka malkka hada’ construction and proposed strategies to express an extremely low likelihood of an event occurring. When an amount scales is used, ‘-lkka malkka hada’ conveys the meaning that the likelihood of a specific entity reaching the reference value is low. When combined with a frequency scale, the construction indicates that the possibility of the event occurring is extremely low. In cases where either a positive scale or a frequency scale is used, ‘-lkka malkka hada’ in its adnominal form can also convey the extreme degree of the following adjective. Additionally, strategies such as setting an extreme event as the minimum condition or comparing it with an even less likely event were identified to emphasize the exceedingly low probability of occurrence.
This analysis demonstrates that the ‘-lkka malkka hada’ construction serves as an important linguistic tool for expressing refined inferences about scales based on the speaker’s experience and knowledge. As a future research direction, the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systematically collecting and analyzing various constru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express the semantic concept of ‘bias’ in Korean linguistics. By categorizing the linguistic strategies for representing ‘bias’ in Korean and deeply examining the unique semantic functions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each construction, this research aims to contribute to a more systematic and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f ‘bia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