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한국․일본․중국․홍콩 음악 교육과정의 전통음악 내용 비교 분석 =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Traditional Music Contents of the Music Curricula among Korea, Japan, China, and Hong Kong
저자
이경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7-114(18쪽)
KCI 피인용횟수
3
제공처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mplementations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the music curricula among Korea, Japan, China, and Hong Kong, specifically examine the ways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as been reflected in the curricula, and find some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analyzed the traditional music contents independently presented in the music curricula instead of the entire curriculum itself.
Based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results among the four curricula,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obtained:First, while Korea emphasized on the localization and autonomy of the curriculum in the introduction of the curriculum, Japan, China, and Hong Kong actively introduced throughout the music curriculum. Besides, Korea deal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music through folk songs and Sigimsae, but it was not done in the aspect of localization or autonomy. These findings demand Korean curriculum to identify and teach the various works that reflect local musical features in addition to the ones proposed by the national curriculum unde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he curriculum.
Second, the curricula presented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closely connected to th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or folk music and specifically pointed out that it could influence the establishment of the right music values in Japan, China and Hong Kong.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Korea needs to provide specific directions fo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n the curriculum.
Finally, the curriculum offered concrete alternatives rather than abstract and declaratory presentations of nature and objective to emphasiz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Japan, China, and Hong Kong. That is, they provided various aspects including common teaching materials, procurement of instruments, percentage of teaching material content, instruments and scores and offered practical approaches for textbook public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From these facts, Korea expects that emphasize traditional music in a more specific and practical manner in the curriculum.
본 연구에서는 한국․일본․중국․홍콩의 음악 교육과정에서 자국의 전통음악 내용이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 비교․분석해봄으로서 교육과정에서 전통음악 내용 반영 방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음악 교육과정 전체가 아니라 음악 교육과정 중 전통음악 관련 내용이 독립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것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네 곳의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의 지역화, 자율화 측면이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교육과정 총론에서 강조되고 그 방법이 제시되고 있는 데 반해 일본, 중국, 홍콩에서는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민요와 시김새 학습을 통해 지역별 음악의 특징을 다루기는 하지만 이것이 지역화나 자율화 차원에서 다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교육과정의 ‘내용’과 ‘교수․학습 방법’ 항에서 국가 교육과정에 제시한 악곡 외에 지역의 음악적 특색을 반영한 다양한 악곡을 발굴해 지도할 수 있도록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일본․중국․홍콩의 교육과정에서는 다문화 음악교육이 자국의 전통음악이나 민족음악의 이해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으며, 나아가 음악에 대한 올바른 가치 정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의 교육과정에서도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방향 제시가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전통음악교육의 강조가 성격이나 목표와 같이 추상적이고 선언적인 차원에서 그치지 않고 구체적인 대안으로 제시되어 있다. 즉, 공통 교재, 악기의 구비, 교재 내용의 비율, 악기와 악보 등 다양한 방면에서 제시되어 있어 교과서 편찬과 교수․학습 과정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게 되어 있다. 우리의 교육과정에서도 전통음악에 대한 강조가 좀 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7 | 0.97 | 1.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5 | 0.88 | 1.394 | 0.1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