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방각본·필사본 계열 <김원전>의 특징과 선본(善本) 문제 = Characteristics of the Woodblock Print and Manuscript Edition of Kim Won Jeon and the Issue of the Best Edi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주제어
KDC
8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53-189(37쪽)
제공처
이 글은 방각본·필사본 계열 <김원전>의 특징과 위상, 선본(善本)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세 계열로 나뉘는 <김원전> 이본의 계열 가운데 한 계열인 방각본·필사본 계열에는 경판본 <김원전>, 연세대 소장 <김원전>, 하버드대 소장 <김원전>, 이화여대 소장 <김원전>이 포함된다. 그러나 그동안 <김원전> 연구는 대부분 경판본 <김원전>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기에, 연세대 소장 <김원전>, 하버드대 소장 <김원전>, 이화여대 소장 <김원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방각본·필사본 계열 <김원전>에서 확인되는 이본마다의 특징적 면모에 주목하고자 경판본 <김원전>과 연세대 소장 <김원전>, 하버드대 소장 <김원전>, 이화여대 소장 <김원전>을 각각 비교하였다.
연세대 소장 <김원전>은 경판본 <김원전>과 흡사한 이본으로, 경판본 <김원전>의 불분명한 표현을 바로잡을 수 있는 이본이라 데서 가치를 지닌다고 보았다. 하버드대 소장 <김원전>의 특징은 가문의 번성에 주목한 대목과 필사자의 필사 후기에서 발견되었다. 이화여대 소장 <김원전>의 특징은 작품 내 설정의 적절한 이행과 개연성을 제고한 정합적인 이야기 전개에서 포착되었다. 특히 이화여대 소장 <김원전>을 방각본·필사본 계열의 <김원전> 가운데 가장 정제된 이본이라고 논하면서, 이화여대 소장 <김원전>의 특징을 고려하여 경판본 <김원전>을 선본으로 여겨 온 그간의 시각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작품의 완성도를 통해 방각본·필사본 계열 <김원전>의 선본을 선정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이화여대 소장 <김원전>은 여전히 주목할 만한 이본이었다. 그동안 선본으로 알려진 경판본 <김원전>에 비해 이화여대 소장 <김원전>에서 더 정확하고 자세한 서술이 확인되기 때문이며, 경판본 <김원전>이 설정상의 오류와 서사 전개상의 결함을 드러내는 데 반해, 이화여대 소장 <김원전>은 설정상의 오류와 서사 전개상의 결함을 드러내지 않기 때문이었다. 이와 같은 사실을 고려하여 이 글에서는 작품 내설정을 적절히 이행하고 있고, 개연성을 제고한 정합적인 이야기 전개가 확인되며, 설정상의 오류와 서사 전개상의 결함도 적은 이화여대 소장 <김원전>을 방각본·필사본 계열 <김원전>의 선본으로 보아야 온당하다고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계명대·국립한글박물관 소장본 계열 <김원전>에 대한 논의가 이어져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the different versions of the Woodblock Print and Manuscript Edition of Kim Won Jeon and to address the issue of determining the best edition. Among the three editions of Kim Won Jeon’s different versions, the Woodblock Print and Manuscript Edition includes the Seoul edition of Kim Won Jeon, the Kim Won Jeon preserved at Yonsei University, the Kim Won Jeon housed at Harvard University, and the Kim Won Jeon in Ewha Womans University’s collection. As research on Kim Won Jeon has primarily focused on the Seoul edition, the Kim Won Jeon preserved at Yonsei University, Harvard University, and Ewha Womans University has been almost entirely unknown. Therefore, this paper compares the Seoul edition of Kim Won Jeon, the Kim Won Jeon preserved at Yonsei University, the Kim Won Jeon preserved at Harvard University, and the Kim Won Jeon preserved at Ewha Womans University to highlight the distinctive features of each different version found in the Woodblock Print and Manuscript Edition of Kim Won Jeon.
The version at Yonsei University closely resembles the Seoul edition and is valuable for clarifying ambiguities in the Seoul edition. The Harvard University version is notable for its focus on the prosperity of the family and for the manuscript writer’s comments in the postscript. The Ewha Womans University version stands out for its consistent story development, which enhances the plausibility and logical flow of the narrative. Particularly, this paper argues that the Ewha Womans University version is the most refined among the Woodblock Print and Manuscript Editions of Kim Won Jeon. Considering its characteristics, the long-standing view of the Seoul edition as the best edition needs reevaluation.
In a situation where the selection of the best edition of the Woodblock Print and Manuscript Edition of Kim Won Jeon must rely on the completeness of the work, the Kim Won Jeon preserved at Ewha Womans University remained a noteworthy version. This is because the Kim Won Jeon preserved at Ewha Womans University contains more accurate and detailed descriptions compared to the Seoul edition of Kim Won Jeon, which has been previously regarded as the best edition. While the Seoul edition of Kim Won Jeon reveals errors in its settings and flaws in its narrative development, the Kim Won Jeon preserved at Ewha Womans University does not exhibit such issues. Considering these facts,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Kim Won Jeon preserved at Ewha Womans University should rightfully be regarded as the best edition of the Woodblock Print and Manuscript Edition of Kim Won Jeon, as it appropriately adheres to its settings, demonstrates consistent storytelling that enhances plausibility, and has fewer errors in its settings and narrative development. Lastly, this paper explains the need for further discussion on the different versions of Kim Won Jeon preserved in the Keimyung University and National Hangeul Museum collection edit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