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여성의 화장행동이 심리적 안정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저자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2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 디자인학과 뷰티예술디자인 전공 , 2022. 2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한국어
DDC
746.726 판사항(23)
발행국(도시)
경기도
기타서명
The Effect of Working Women’s Makeup Behavior on Psychological St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형태사항
vii, 50 장 : 삽화 ; 30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이 재 천
단국대학교 학위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 장 41-43
UCI식별코드
I804:11017-000000197598
소장기관
현재 우리나라에서 여성은 여러 분야에서 남성과 대등하게 다양한 직업을 갖고 경제활동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제활동 중인 여성 인구는 앞으로 점점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확대되어 가고, 사회진출이 활발해짐에 따라서 여성이 외모를 표현하여 스스로를 타인에게 보여주는 것은 중요한 여성의 자산이자 경제력으로까지 인식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연구에서는 직장여성의 매일 일상적으로 행하는 화장행동이 이미지의 개선을 통해 어떠한 심리적인 변화를 주고, 결과적으로 대인관계에 어떠한 효과와 영향을 미치는지 실질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에 거주하는 20∼50대 직장여성이며, 2021년 08월부터 약 2주간에 걸쳐 준비한 설문지 270매를 배부하고 올바른 응답을 한 265매의 설문지를 취합하여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1. 직장여성의 화장행동이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2. 직장여성의 화장행동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3. 직장여성의 심리적 안정감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등이다.
연구문제를 전제로 설문조사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직장여성의 화장행동은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첫째, 심리적 안정감에서 외모 자신감, 심리적 의욕, 업무 자신감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인관계에서 의사소통, 신뢰감, 친근감, 민감성, 개방성, 이해성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직장여성의 화장행동이 심리적 안정감을 주어 결국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화장행동을 통한 심리적 안정감이 만족감, 의사소통, 신뢰감, 친근감, 민감성, 개방성, 이해성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변화되는 사회환경 속에서 화장행동은 단순한 미적 개념을 넘어서는 자산으로서 직장생활에서는 자신의 이미지를 구축하고 개선하는 여성의 성공을 지향하는 필수요소가 되고 있는 것이다. 즉, 직장여성의 화장행동은 자신의 이미지를 확립하고 지금보다 나은 직장여성의 꿈과 삶을 향해서 보다 좋은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여성에게 있어서 화장행동이 주는 심리적 안정감은 사회생활과 활동에 있어서 필수적인 개념으로 더욱 인식되어야만 하며, 이러한 화장행동의 긍정적인 측면은 향후 심오한 연구를 통해서 직장여성의 화장행동이 이미지의 개선을 통해 어떠한 심리적인 변화를 주고, 결과적으로 대인관계에 어떠한 효과와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이고 실질적으로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Currently, in Korea, women are engaged in economic activities in various fields on an equal basis with men in various fields, and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women in these economic activities will increase in the future. As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expands and social advancement becomes more active, it is a trend that women express their appearance and show themselves to others as important women's assets and economic power.
In this study, I tried to examine practically what kind of psychological change that working women's daily makeup behavior had on their self through image improvement and consequently the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study subjects were working women in their 20s and 50s residing across the country, and 270 questionnaires prepared over a period of about two weeks from August 2021 were distributed and 265 questionnaires with correct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used as research data.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1.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keup behavior of working women on psychological stability. 2.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working women's makeup behavior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3. The effect of psychological stability of working women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s investigated. etc.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premise of the research question, the makeup behavior of working women has the following positive effects.
First, psychological st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appearance confidence, psychological motivation, and work confidence.
Second, it had a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on, trust, intimacy, sensitivity, openness, and understanding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rd, the makeup behavior of working women gave psychological stability, which in turn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at is, psychological stability through makeup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communication, trust, friendliness, sensitivity, openness, and understanding.
As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expands and social advancement becomes more active, it is recognized as a woman's asset and an economic power for women to show themselves to others by expressing their appearance. Therefore, makeup behavior is an external asset of a woman who recognizes herself anew and is shown to others.
In the changing social environment, makeup behavior is an asset that goes beyond a simple aesthetic concept. In other words, the makeup behavior of working women is being used as a better tool to establish their own image and to achieve a better dream and life for working women.
For women, the psychological stability of makeup behavior should be recognized as an essential concept in social life and activities. It should be concretely and practically clarified what kind of effect and influence it ha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a result.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