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우리말 권주가(勸酒歌)의 계통적(系統的) 연구 = Systematic study of Korean liquor recommending song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811.0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35(31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음주가 인간의 삶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문화이며 그 안에서 문학적 생성이 끊임없이 나타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 연구는 음주 문학 중에서도 권주라는 독특한 기능을 담당하는 시가, 특히 우리말 권주가의 특성을 살피고 동양 문학에서 그 연원이 오래된 ‘장진주’ 시가의 맥을 잇고 있는 우리말 권주가의 내용적 일체성과 작품군의 실상을 고찰한다. 우선 우리말 권주가가 갖는 주제의식과 그 표출 양상을 살폈다. 내용적으로 이 작품들은 모두 당나라 이백, 이하의 <장진주>에서 드러냈던 주제의식이라는 전통을 따르고 있다. ‘인생무상에서 오는 비애의 정감’과 그에 따른 ‘음주의 당위’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 주제의식은 <장진주사>부터 12가사류<권주가>까지를 모두 관류(貫流)하고 있다. 또 이 작품들은 이러한 주제를 나타내기 위하여 몇 가지 동일한 표출 양상을 보인다. 우선 이하의 <장진주>에서 비롯된 죽음 이후의 무의미함을 통해 인생무상을 노래한다. 사망 이후에 누가 술을 권하겠는가라고 지적하여 비애와 당위를 모두 드러내는 양상이다. 다음으로 권주의 대상 ‘君, 그대’가 표면적이거나 내면적으로 등장한다. 자작(自酌)이 아닌 수작(酬酌)의 기능을 담당하기 위한 노래이기에 대상의 존재는 필연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술 권하는 행위가 언사(言辭)로 나타난다. ‘잡으시오, 먹새그려’ 등의 직접적 명령이나 권유 외에 ‘안 먹으려 하는가’와 같은 간접적 요구도 등장한다. 이러한 어구들이 모두 권주의 실제적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장치로 사용되었던 것이다. 다음으로는 우리말 권주가의 세력에 대하여 파악하였다. 현재 확인할 수 있는 이 계통의 최초 작품은 <장진주사>라 할 수 있다. 이 노래와 함께 청구영언에 수록된 신흠·김천택·무명씨의 시조, 박인로의 <권주가>는 동시대에 향유되었다. 또한 12가사 <권주가> 역시 18세기에 형성되었는데 후대 가집에서 앞의 세 종과 혼재되어 나타난 양상을 보인다. 즉 네 노래가 일정 시간에 같은 연행 공간에서 향유되었다. 그런데 이들은 한 계통으로 파악되기보다는 개별 작품으로 취급되는 경향이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를 하나의 독립 계통으로 보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렇게 여러 형태의 노래를 하나의 계통으로 파악했던 예를 ‘어부가’에서 찾을 수 있다. 한시 ‘어부사’에 대비하여 우리말 노래를 ‘어부가’로 계통화한 것이다. 그에 비출 때, 우리말 권주가 역시 계통화가 충분히 가능하다고 파악하였다. 물론 각편 연구에서 얻어지는 의미도 크다고 하겠다. 그렇지만 계통화를 통해 국문시가의 폭과 영역이 확장되고 문학사의 지평도 확대될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말 권주가에 대한 시각을 거시화한다면 조선 후기 우리문학사가 풍성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우리가 현재 전수받은 작품들이라는 것은 그 세력이 강하든 약하든 생존하였다는 의의를 지니므로 이외의 작품 역시 그 가치가 크다. 더욱이 선인들 역시 <장진주사>의 존재가 막강함에도 다른 우리말 권주가를 향유하고 창작하였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김수장 시기에 「어부가」가 하나의 작품군으로 독립성을 지닌 것처럼 지금 시기에 우리말 권주가를 개별적 계통으로 인정해야 옳다고 여긴다.
더보기Drinking is a culture that occupies a huge part in human life. As a result, it is true that literary creations continue to appear within such culture. This research seeks to examine the features of poetries that play the role of the unique function called gwonju (offering drinks) among the drinking literature, and in particular, the features of Korean language gwonju songs. The substantive uniformity of the Korean language gwonju songs and the reality of the group of works that inherit the pulse of the poetry of ‘Jangjinju,’ which has long been originated from the eastern literature, will also be studied. First of all, this research examined the thematic consciousness and expression aspect of the Korean language gwonju songs. Substantively, the works all follow the tradition of the thematic consciousness appearing in ‘Jangjinju’ of Lee Baek and Lee Ha during the Tang dynasty. The thematic consciousness that can be organized into two themes, which are ‘the feeling of sorrows coming from vanity of human life’ and ‘the justification of drinking’ pursuant to such feeling, all flow through from ‘Jangjinjusa’ to ‘Gwonjuga,’ a 12 Lyrics Collection. In addition, these works show several of the same expression aspects to show such themes. First of all, vanity of human life is sang through the meaninglessness of post-death originating from ‘Jangjinju’ of Lee Ha. It shows an aspect of exhibiting both sorrow and justification by asking, who would recommend drinking after death. Next, the object of gwonju, ‘Mr., You,’ appears externallyor internally. It can be said that the existence of others was necessary because it was a song playing the role of the function of exchanging drinks by filling the other``s glass rather than drinking by oneself by filling one``s own glass. Lastly, the act of recommending drinking appears through the language. In addition to the direct orders or suggestions to drink, such as ‘Drink,’ or ‘Let’s drink,’ indirect demands such as ‘Are you not trying to drink?’ appear as well. These phrases are all used as a device to show the actual feature of gwonju. Next, this study examined the power of the Korean language gwonju songs and the possibility of its systematization. The first work of this category that may be confirmed at present is ‘Jangjinjusa.’ The Korean poems of Shin Heum, Cheon-taek Kim, and an anonymous poet and ‘Gwonjuga’ of Park In-ro that were included in Cheonggu-Yeongeon along with this song, were listed in the same collection of poems because they were enjoyed in the same era. In addition, ‘Gwonjuga’ in the 12 Lyrics Collection was also formed in the 18thcentury,whichshowtheaspectofappearingincombinationwiththethreeprevioustypes. Thus, four songs were enjoyed in the same entraining space at a certain time. However, there was a trend of treating these as individual works rather than under one system. This article made attempts to regard these as one independent system. An example of trying to understand various forms of songs under one system can be found in ‘Eobuga.’ It has systematizaed Korean language songs as ‘Eobuga’ in comparison to the Chinese poem, ‘Eobusa.’ In light of such, the Korean language gwonju songs were understood to be sufficiently likely to be systematizaed under one system. Of course, the meaning obtained in the study of each song is huge. However, the breadth and sectors of Korean language poetry can be expanded and the horizon of the literary history can be enlarged through systematization. Thus, the Korean literature history at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era can be expected to become richer when having a macroscopic view regarding Korean language gwonju songs. Moreover, the works that we inherit at present have meaning through its survival, whether or not they have strong or weak power, thus accordingly, other works also have huge value.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be reminded of the fact that our ancestors enjoyed and created other Korean language gwonju songs even when the existence of ‘Jangjinjusa’ was strong. Therefore, just as ‘Eobuga’ gained a status of an independent collection of works during the Kim Su-jang era, it would be proper to acknowledge the Korean language gwonju songs as an individual system this day.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9-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화학회 -> 한국시가문화학회영문명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The Society of Korean Poetry and Culture | KCI등재 |
2015-09-2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화연구 -> 한국시가문화연구외국어명 : The Studies in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The Studies in Korean Poetry and Culture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4-07-0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학회 -> 한국고시가문화학회영문명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KCI등재 |
2014-07-0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고시가연구 -> 한국고시가문화연구외국어명 : The Society Korean Classic Poetry -> The Studies in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4 | 0.64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8 | 0.45 | 1.123 | 0.2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