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성윤리 의식 조사와 교육적 방안 : 가톨릭 교리를 중심으로 = A research of the sexual ethical consciousness of the youth and the pedagogical suggestion : Focused on catechesis of the Catholic church
저자
발행사항
서울 :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신학과 , 2011. 8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147 p. ; 26cm
소장기관
Doctrine regarding sexual morals in the Catholic church is clear and it has practical way. However, educational solutions for realization correct value are necessary because teenager's sexual morals and behaviors often cause problems and conflicts against the Catholic doctrine. This research first fundamentally explains the concept of respect for life and studies contraception, premarital sex and doctrinal, ethical and social aspects regarding abortion that the teenager are curious about.
In the Catholic church, life is the noblest value that no one can arrogate on purpose. Sex is human's internal feature that can create new life, and it should be understood in the form of life. contraception, premarital sex and abortion are closely related to creation of life. Thus, contraception is crossing the will of creation of life as it blocks insemination between sperm and ovum. And, church does not permit premarital sex because sex is an ac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as they wish to have a child. Abortion means killing new creation that can be a human after insemination in church.
With such doctrine, students' sense of sexual morals were survey conducted. Four high schools were studied and the survey was analyzed with a variety of ways. As a result of analysis, their score in ethics was mostly low. The rate of double answers was quite high through cross analysis. Among the whole questionnaires, 20 question scores based on Catholic doctrine was lower than the half. Through score check, differences among schools were compar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whole materials, students do not have responsibilities on what they did, and here, that was partially because of ignorance of concept and knowledge regarding sexual ethics, lack of understanding and egoistical minds.
In accordance with such result, educational solutions for four education place are made to educate correct sexual ethics. Since sexual ethics is a lesson from church, mainly with diocese, parish church should support and it leads families through cure of souls. Diocese trains professional sexual ethics instructors, make and support books can be used in parish church, home and school and prepare the overall educational program. Parish church do mandatory and high-approached education for the faithful so that the most fundamental education should be taught in parish church. Also, home is a place that parents and children learn together and parents teach their children personally what they learned. Finally, for the local approach of education, much of supports and interest are necessary from school education. Especially, as it is an education that the non-faithful face, discussion class model is suggested for them. This is conducted by professionally prepared teachers and it can be a place for the non-faithful to become closer regarding doctrine over church-parish church-home.
Sexual ethics includes much important lessons so that we can share the originality and life which is the best value over doctrine and theory. The value of life can make a bond of sympathy all over the world over the church's doctrine. The Catholic church that contains the correct truth regarding sex and life is wished to declare the truth naturally for the non-faithful through the concept of importance of life.
가톨릭 교회의 성윤리에 관한 교리는 명확하며 그 실천적 방향 또한 갖추고 있다. 그러나 청소년들의 성윤리 의식과 행동들이 교회의 교리와 자주 마찰과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볼 때 올바른 가치구현을 위한 교육적 방안이 시급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생명존중이라는 근본적인 윤리를 먼저 개념으로 설명하고 청소년들에게 밀접하고 호기심이 높은 피임, 혼전성관계, 낙태에 대한 교리적, 윤리적, 사회적 측면에 대해 살펴본다.
가톨릭 교회에서 생명이란 인위적으로 침해 되어서는 안 되는 가장 고귀한 가치이다. 성은 생명을 탄생시키는 인간의 내적 특성이므로 생명의 틀 안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피임, 혼전성관계, 낙태 이 세 가지는 생명탄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우선 피임은 정자와 난자의 수정을 막음으로써 생명탄생을 거스르는 행위가 된다. 그리고 교회는 성관계가 생명탄생을 전제로 하는 부부간에 행위이므로 혼인 전 성관계를 허용하지 않으며, 낙태는 수정 이후 인간이 될 수 있는 생명을 죽이는 행위로 규정한다.
이러한 교리를 기준으로 학생들의 성윤리 의식을 조사했다. 고등학교 4곳을 조사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설문을 분석했다. 설문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윤리의식은 대체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교차분석을 통한 이중응답의 비율도 상당했으며 전체 문제 중 가톨릭 교리를 기준으로 출제된 20문제의 점수를 스코어 검정으로 분석한 결과도 절반이하로 분석되었다. 스코어 검정을 통해 학교간의 차이도 비교할 수 있었다. 전체적인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자신의 행위에 대한 책임의식이 부족했고 여기에는 성윤리에 대한 지식과 개념의 무지, 그리고 몰이해와 자기중심적인 사고관이 그릇된 성윤리 의식에 한몫을 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맞추어 올바른 성윤리를 교육할 수 있는 네 곳의 교육현장별 교육적 방안을 마련한다. 성윤리는 교회의 가르침 이므로 교구가 중심이 되어 본당을 지원해주고 본당은 본당 사목을 통해 가정을 이끌어 준다. 교구는 성윤리 전문 교사를 양성하고 일선 본당, 가정, 학교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교재를 제작 지원하며 전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한다. 본당은 신자들을 위한 접근성 높은 교육을 의무적으로 실시하여 본당 안에서 가장 기초적인 교육이 이뤄지도록 돕는다. 또한 가정은 부모와 자녀가 함께 배우고 부모는 개별적으로 배운 것을 가정에서 자녀에게 가르치는 교육의 장이 된다. 마지막으로 교육현장적인 접근을 위해 학교 교육에도 교회의 많은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 특히 비신자들을 직접 찾아가는 교육인 만큼 비신자들의 교육을 위해 토론을 중심으로 한 수업모델을 제안한다. 이는 전문적으로 양성된 교사에 의해 진행되며 교회-본당-신자가정을 넘어 비신자들에게도 교리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교육현장이 된다.
성윤리는 교리나 이론을 넘어 최상의 가치인 생명과 본질을 공유할 만큼 중대한 가르침을 포함하고 있다. 생명이라는 가치는 교회의 교리를 넘어 전 인류적인 공감대 형성이 가능한 가치이다. 성과 생명에 대해 가장 올바른 진리를 간직하고 있는 가톨릭 교회가 생명의 소중함이라는 개념을 통해 많은 비신자들에게도 참된 진리를 자연스럽게 선포 할 수 있기를 바란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